• 제목/요약/키워드: SNS Addiction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32초

자아존중감 및 성인애착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elf Esteem and Adult Attachment on SNS(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Tendency)

  • 권예진;김다빈;서보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47-59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SNS 중독 경향성 실태를 파악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자아존중감 및 성인애착 중 불안정 애착(애착불안, 애착 회피)이 SNS 중독경향성과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도권 4년제 대학교 재학생 330명을 오프라인과 온라인 질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고, 그 중 유효한 271명을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변량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87.4%가 SNS를 사용하고 있었고, 주로 사용하는 SNS는 '페이스북(82.3%)'이었다. 일별 SNS 사용시간은 '1시간 이상~2시간 미만(24.7%)'가 가장 많았다. 둘째, 여성이 남성보다 SNS중독경향성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SNS 중독경향성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인애착의 불안정 애착 중에 애착불안와 애착회피는 SNS 중독경향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다섯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은 SNS 중독경향성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불안정 애착 중 애착불안만이 중독경향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대학생의 신분적 특성에 따른 SNS 중독 위험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소셜미디어 사용자의 중독에 관한 정책적 함의 연구 : 한국형 SNS 중독지수(KSAI) 제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licy Implication on the Addiction of Social Media Service User : Focusing on the Proposal of Korean SNS Addiction Index (KSAI))

  • 이상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255-265
    • /
    • 2013
  • 본 연구는 급증하는 소셜미디어서비스의 중독과 진단을 통한 정책 제안을 중점으로 다루고 있다. 연구자는 SNS의 중독을 정의하고, 척도를 개발하여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보았다. 그 이유는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SNS의 이용은 더욱 편리해졌고, 인터넷 중독 대응 정책을 마련한 것과 같이 SNS의 중독성이 심각하다는 판단에서였다. 연구자는 연구주제를 세가지로 제시하였는데 첫 번째, SNS중독 변인을 도출하여 검증하고, 둘째 SNS중독 변인들간의 경로 모형을 검증하고 논의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셋째, 연구자가 제안한 중독척도와 진단결과를 집단별로 확인 후 논의하는 것을 주제로 하였다. 연구결과 중독 척도는 시간적 내성, 생활 장애, 중단 시도 실패, 금단 불안 등 각 네개의 요소로 측정할 수 있는데, SNS중독의 순차적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자가 제시한 중독지수를 측정하여 현실적인 중독자 수준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정부의 정책당국자에게 SNS의 건전한 이용과 사용자의 자기 관리를 교육, 홍보하도록 제안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가 장차 일반인과 청소년의 과업에 방해되지 않고, 올바른 SNS사용이 사회적 문제, 청소년범죄를 예방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과 학습태도에 관한 탐색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Undergraduates' SNS Addiction Tendencies and Learning Attitudes)

  • 백유미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31-24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line through scatter diagram analysis on correlation between SNS addiction tendencies and learning attitudes, figure out the knee point influencing learning attitudes negatively in detail, and examine influence among subareas. To address the goal, study questions are formulated as follows. First, this author did screening on the data of variables measured and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Second, this researcher produced the trend line by drawing a scatter diagram in order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SNS addiction tendencies, withdrawal symptoms, excessive communication, and excessive time wasting, and learning attitudes exploratorily. Third, to explore correlation between self-evaluation, learning participation, and developmental attitudes, the subfactors of learning attitudes related to SNS addiction tendencies, this author drew a scatter diagram and analyzed the threshold of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 To verify the study questions, the SNS addiction tendency scale and learning attitude scale were applied to 301 university students in Chungcheong area.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irst, their learning attitudes are influenced by SNS addiction tendencies, excessive communication and excessive time wasting, and they are not influenced by withdrawal symptoms that much. Second, excessive communication, a factor of SNS addiction tendencies, and self-evaluation and developmental attitudes, factors of learning attitudes, show positive correlation to some extent and indicate negative correlation after the threshold. However, excessive communication and learning participation are found to show no correlation.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correlation with learning attitudes by dividing them into excessive communication and excessive time wasting groups with the knee point of 1.40, as the symptom of excessive communication is found more, it influences self-evaluation, learning participation, developmental attitudes, and learning attitudes more negatively in general.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foundational material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o prevent undergraduates' excessive SNS use and SNS addiction which can be used in the scenes of counseling or education.

기본심리욕구와 facebook 중독 및 지속사용의도의 구조적 관계 규명 (Identification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Facebook addiction and Continuance)

  • 주영주;정애경;강정진;이민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83-191
    • /
    • 2016
  • 스마트폰의 확산과 더불어 SNS는 눈부시게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SNS의 사용이 과해짐에 따라 SNS 중독이라는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한편 SNS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때문에 사용자가 SNS를 떠나는 것 역시 문제로 떠올랐다. 이와 같이 SNS의 중독 및 지속사용 모두 SNS의 사용에 있어 중요한 문제이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본심리욕구를 원인 변인으로 선정하여 그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Facebook 사용자 204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자율성 및 유능성은 Facebook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자율성, 유능성 및 관계성은 Facebook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효능감, 사회비교 성향,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재한 중국 유학생을 중심으로 (Effects of SNS Self-Efficacy, Comparison Orientation, Fear of Missing Out on SNS Addiction Proneness : Focusing on Chinese Students in Korea)

  • 이장근;임한;유가우;정용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137-149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에서 유학하고 있는 중국 유학생 242명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개인의 성향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개인의 성향을 SNS 효능감, 사회비교 성향, FoMO로 구분하고 각 성향이 일상생활장애 및 조절실패, 가상세계 지향성 및 금단, 몰입과 내성 등 중독 경향성의 3가지 하위 차원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FoMO는 SNS 중독경향성의 모든 하위차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SNS 효능감과 사회비교 성향은 일부 차원과 정적인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SNS 이용동기, 대인관계지향성이 MSNS(Mobile Social Network Service)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Usage Motivation of S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ientation on MSNS(Mobile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Proneness Addition tendencies)

  • 박종순;이종만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45-16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fluences of usage motivation of S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ientation on Mobile Social Network Service(MSNS) addition pronenes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including MSNS addition Proneness scale, usage motivation of SNS scal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ientation scale were administered to 250 college students in Seou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usage motivation of SNS showed influenc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ientation. The Usage motivation of SNS showed influences of MSNS addiction pronen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ientation showed partial influence MSNS addiction proneness.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cated that level of MSNS addiction tendencies needs to be considered for counseling with used of SNS motives. This study findings would contribute in development of preventive interventions for SNS addiction and improvement program for interpersonal competence in college students. Futhermore, exploration of various ways to satisfy motiv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 would be helpful to reduce SNS addiction tendencies. Finally, based on the result, implications of finding, limit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SNS Addiction Tendency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 권여은;이지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5권2호
    • /
    • pp.17-29
    • /
    • 201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effect of perceive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SNS addiction tendency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ove variables. 567 students who were registered in three high schools located in D city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NS addiction tendency, and self-control.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research model (complete mediating effect) and the competing model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bootstrapping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with SPSS 23.0 and AMOS 23.0.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while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did not directly have an effect the SNS addiction tendency, the self-control had a direct effect on the SNS addiction tendency. Second, the research model was selected as a final model which implied that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SNS addiction tendency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ird, self-control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high school students' SNS addiction tenden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had an indirect effect rather than a direct effect through self-control on high school students' SNS addiction tendency.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SNS addiction tendency rate of high school student can be lowered, by mediating self-control.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mplicit points on counseling methods to remedy self-control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hortcomings and limits of this study and advice for follow-up studies all be discussed.

대학생들의 SNS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 만족도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SNS addiction proneness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 김소연;박미지;박부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454-46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 만족도를 파악하고, 두 변수간의 상간관계를 파악하여, 대학생의 대인관계 향상 및 SNS 중독 예방을 위한 중재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D시와 K 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16명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6월 30일부터 7월 30일까지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온라인 설문을 이용하여 자가 보고식으로 수집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SNS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만족도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57, p<.01)를 보여주어 SNS중독경향성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만족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성별(t=.05, p=.963), SNS인맥수(t=.66, p=.513), SNS에서만 유지하는 인맥정도(t=-1.24, p=.216)에 따른 SNS중독경향성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SNS사용목적 중 정보수집을 위해 SNS이용하는 경우 대인관계 만족도가 더 높았지만(t=3.02, p=.030), SNS사용목적에 따른 SNS중독경향성의 유이한 차이는 없었다(t=0.39, p=.759). 따라서 대학생의 대인관계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 시 본 연구에서 규명된 자료를 기초로 하여 대학생의 SNS중독을 예방하고 대인관계를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우울과 의사소통능력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NS addiction, Depression and Communication skill of nursing students)

  • 권명진;김지현;정선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05-41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우울 및 의사소통능력 정도를 알아보고 SNS 중독경향성 관련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2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10월 11일부터 11월 24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LSD와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이 되었고 다중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SNS 중독경향성 차이는 연령(t=2.47, p=.044), SNS 사용시간(F=10.20, p<.001), SNS 사용 장소(t=2.54, p=.01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을 보면, SNS 중독경향성은 우울과 양의 정적상관관계를 보여 우울이 높을수록 SNS 중독경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냈다. 의사소통능력과 SNS 중독경향성은 유이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의 SNS 중독경향성의 영향변수로는 우울(${\beta}=.265$, p<.001), SNS 사용시간(${\beta}=.265$, p<.001)이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SNS 중독경향성을 15.5%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며, 대학생의 SNS 중독을 조기 선별할 수 있는 검사의 필요와 취약 그룹에 대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이 요구되어진다.

전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s of Covert Narcissism on SNS Addiction Proneness of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Styles)

  • 김종운;이수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30-54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전문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470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SNS 중독경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한 후, 상관분석과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내현적 자기애,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SNS 중독경향성 간의 유의미한 상관이 있으며,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내현적 자기애를 가진 사람들이 스트레스 해소의 방법으로 SNS를 더 자주 사용하고 중독이 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SNS 중독경향성에 대한 이해와 치료적 교육적 접근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