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NS 소비가치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41초

여성의 화장품 소비가치에 따른 화장품 브랜드의 SNS 특성 선호도 (Preference of Women Cosmetics Consumption Value on SNS Features of Cosmetics Brands)

  • 김초롱;곽태기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99-111
    • /
    • 2016
  • In order to use cosmetics brands SNS effectively and establish strate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onsumer date. According to cosmetics consumption value groups, this study examined each cosmetics consumption value group's level of concern of three cosmetics brands SNS features, informativity, enjoyment and interactivity. For the data, questionnaire was collected by 198 women, and the data were measured by ANOVA,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Ducan test. According to cluster analysis cosmetics consumption value group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unconcern group, hedonic value pursuit group, function of brand value pursuit group, high concern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igh concern group thought highly of all cosmetics brands SNS features, including informativity, enjoyment and interactivity. In addition all consumer groups were concerned informativity rather then enjoyment and interactivity. Second, comparing with high concern group, other groups which include unconcern group, hedonic value pursuit group and function of brand value pursuit group were not concerned about cosmetics brands SNS features' enjoyment and interactivity. Except informativity, hedonic value pursuit group and unconcern group were more concerned interactivity than enjoyment. While, high concern group and function of brand value pursuit group were more concerned enjoyment than interactivity.

  • PDF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의 SNS 정보전달 유형의 효과 -SNS 소비가치, 제품태도, 구매의도의 관계- (Effects on SNS Communication Types of Fashion Designer Brands -SNS Consumption Value, Product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 이수진;이유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996-1011
    • /
    • 2023
  • This study introduces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for fashion SMEs and small designer brands utilizing Instagram as a social networking platform. The research compared the impact of two information delivery types (native advertisements vs. live streaming after native ads) and two types of promotional messages (scarcity vs. price discount) on SNS consumption value, and product attitude toward fashion designer brands. The study involved surveying 251 Korean women aged 25-55 with experience in buying designer products and using SN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6.0 and Process Macro v3.5. Results indicated that both native advertisements and live streaming enhance economic and social values in SNS consumption. Live streaming with price discount messages generates higher perceived SNS consumption values compared to scarcity messages. Consumers showed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designer brand products when watching the live streaming of price discount messages rather than scarcity messages. The findings emphasize that the broadcast host actively induced participation to reveal viewers' social presence through comments or emphasized discount messages such as ultra-special prices during live streaming on Instagram.

밀레니얼세대의 모바일 뉴스소비와 소셜미디어의 영향 (Millennial Generation's Mobile News Consumption and the Impact of Social Media)

  • 설진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23-133
    • /
    • 2018
  • 이 연구는 모바일 뉴스의 핵심 소비층으로 부상하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가 모바일과 SNS를 통해 어떤 뉴스콘텐츠와 뉴스가치를 선호하며, 뉴스기사에 대하여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밀레니 세대가 뉴스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SNS 창구는 카카오톡과 페이스북이었으며, 하루에 평균 한 번 이상 SNS를 통해 뉴스를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레니얼들은 인구학적 특성별로 뉴스유형 선호와 뉴스기사에 대한 반응정도가 달랐으며, 뉴스주제별로 반응정도도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밀레니얼들의 뉴스 소비 경로는 SNS가 전국일간지와 지상파TV, 인터넷신문, 종편채널 등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선호하고 중요하게 생각하는 뉴스가치로는 '영향성'과 '유용성'이 '속보성'이나 '흥미성'보다 높게 평가되었다.

Z세대 라이프스타일과 SNS 현황을 바탕으로 한 영상광고 제작 방향 분석 (Analysis of Video Advertisement Production Direction based on Generation Z Lifestyle and SNS Status)

  • 조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539-54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Z세대의 라이프 스타일과 SNS 현황을 기반으로 한 영상 광고를 제작하는 데에는 중요한 측면을 연구하였다. SNS의 특성상 Z세대는 참여와 상호작용에 높은 가치를 둔다. 그래서 SNS 광고는 시청자들과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유도하고 피드백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본론 부분의 내용으로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Z세대의 다양한 콘텐츠 형식을 선호하며, 이를 통해 정보를 소비한다. 광고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형식으로 제작되어야 하며, 여러 플랫폼에 적합한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플랫폼의 특화로 각 SNS 플랫폼은 고유한 특성이 있어, 본연구에서는 광고 해당 플랫폼의 특성을 분석하고 최적화된 플랫폼에 맞는 콘텐츠 전략을 구사해야 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가치 제안 강조로 제품이나 브랜드가 어떤 가치를 제공하는지에 집중하도록 광고컨셉 설정을 제안한다. 영상 광고에서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유익성과 고유 가치를 명확하게 강조하는 것이 중요하며, 결론에서는 제작 방향에 대한 것으로, 미적 디자인과 시각적 효과의 매력적이고 독특한 디자인의 방식으로서 스토리텔링의 현대적이고 트렌디한 디자인을 채택하여 주목성을 높인 사례를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가치는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Z세대의 라이프스타일과 SNS 사용 특성에 부합하는 영상 광고의 기획과 디자인에 맞는 새로운 SNS 마케팅 전략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편의점 PB상품의 온라인 마케팅을 통한 소비자 구매 요인 분석 (Analysis of Consumer Purchase Factors through Online Marketing of Convenience Store PB Products)

  • 박정훈;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399-404
    • /
    • 2020
  • 본 연구는 편의점 브랜드가 새로운 PB 상품을 온라인에서 마케팅하였을 때, 소비자의 구매 행동과 그에 따른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2030 밀레니얼 세대를 대상으로 편의점 PB 상품의 구매 행태와 PB 상품을 접하게 되는 경로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 결과, 편의점 PB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은 SNS나 유튜브를 통해 상품을 접하게 되었으며 구매 후 SNS에 게시함으로써 트렌드에 합류하고자 하는 경향이었다. 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런 소비 형태를 가지게 되는 밀레니얼 세대의 소비 트렌드와 그에게 영향을 주는 온라인 마케팅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며, 일시적인 구매가 아닌 지속적인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기업은 소비자 리서치를 참고해 향후 방안을 개선하여 앞으로의 소비자의 구매 요인이 트렌드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지속해서 가치 있는 소비로 이끌어 가길 바란다.

소셜 데이터의 감성 분석을 위한 신조어 및 이모티콘 감성 사전 구축 (Building a Newly-coined Words and Emoticon Emotional Dictionary for Emotional Analysis of Social Data)

  • 양진솔;윤경일;조영훈;정광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14-917
    • /
    • 2019
  • SNS 의 발전으로 기업이나 공공단체는 소셜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감성이나 의견, 여론 등을 분석해서 신흥 가치를 창출하려 한다. 소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감성 분석은 사람들의 소비 측면 및 제품 평가 파악은 물론 기업 매출 및 정책 수립 등에서 도움이 된다. 하지만 소셜 데이터는 각종 신조어 및 이모티콘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기존 감성 분석 방법으로는 정확한 분석을 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신조어 및 이모티콘 감성 사전을 구축하고, 분석 과정에서 기존 감성 사전과 본 논문에서 구축된 신조어 및 이모티콘 감성 사전을 사용하여 감성 분석 정확도를 비교한다.

대중문화 텍스트에 관한 SNS 비평 담론 연구 - 아이유 를 둘러싼 미학적 해석의 차이를 중심으로 (The Discourse Research on Pop Culture Text through SNS - Focused on the Difference in Aesthetic Interpretation of IU's Song )

  • 우지혜;백선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701-717
    • /
    • 2017
  • 비평은 텍스트의 의미를 해석하고 평가하는 일종의 인식 행위다. 이는 개인의 감상을 넘어 작품에 대한 사회적 의미를 부여하는 작업이라는 점에서 한 시대의 인식 체계를 반영한다. 그런데 인식 체계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경제 문화 기술의 발전에 따라 변화 하듯이, 비평의 기준 또한 사회의 변화에 의해 달라진다. 오늘날 SNS의 등장은 대중문화 비평에 있어 대중의 역할과 참여를 비약적으로 증대시키고, 대중문화 생산-소비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는 등 기존의 비평과 다른 환경을 제공하였다. 이는 비평의 다양성 및 자유 확대 등 긍정적 변화들을 가져왔으나, 한편으로는 무비판적인 비난 혹은 옹호, 비평의 기준 부재로 인한 가치 혼란이라는 부정적 결과 또한 초래했다. 이처럼 새로운 기술의 도입은 기존의 비평 행위와 그 이면의 인식 틀에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는 아이유의 관련 논쟁에 대해 SNS을 통해 전개되는 담론에서 문화 행위자, 생산자 및 수용자의 비평 행위가 어떻게 전개되며 그로 인한 파장이 어떠한 가에 대해 분석했다. 궁극적으로는 SNS라는 새로운 매체 기술을 통해 비평의 행위가 기존과 어떻게 달라졌으며, 나아가 우리의 인식 체계, 특히 미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고찰했다.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정보의 수요 공급 기반 뉴스 가치 평가 방안 (A Method for Evaluating News Value based on Supply and Demand of Information Using Text Analysis)

  • 이동훈;최호창;김남규
    • 지능정보연구
    • /
    • 제22권4호
    • /
    • pp.45-67
    • /
    • 2016
  • 최근 정보 유통의 주요 매체인 인터넷 뉴스와 SNS의 매체 간 특성 차이를 주목한 많은 연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양 매체의 차이를 정보의 수요 및 공급 관점에서 파악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하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정보는 언론사의 뉴스 기사를 통해 대중에게 노출되고, 대중은 이러한 기사에 대한 의견 또는 추가정보를 SNS를 통해 공유함으로써 해당 정보를 수용함과 동시에 확산시킨다. 이러한 측면에서 언론사가 뉴스를 제공하는 행위를 정보의 공급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대중은 SNS를 통해 이에 대한 관심을 능동적으로 나타냄으로써 해당 정보에 대한 소비 수요를 표출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이 수요와 공급의 관계에 의해 결정되는 것과 유사한 원리로, 정보의 가치를 정보 수요와 정보 공급의 관계에 기반을 두어 측정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 공급의 대표 매체로 인터넷 뉴스 기사를, 정보 수요를 나타내는 대표 매체로 트위터를 선정하고, 특정 이슈에 대한 뉴스의 정보로서의 가치를 이와 관련된 트위터의 양으로 평가하는 뉴스가치지수(NVI, News Value Index)를 고안하여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제안 방법론은 각 이슈별로 NVI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정보 가치의 변화를 시각화하여 나타낸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제안 방법론의 실무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터넷 뉴스 387,018건과 트윗 31,674,795건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이슈가 전체 정보 시장의 평균 가치에 수렴하는 형태로 변화함을 알 수 있었으며, 꾸준히 평균 이상의 가치를 가지며 정보 시장을 장악하는 등 특이한 양상을 보이는 흥미로운 이슈도 존재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인터넷 비즈니스 소셜커머스 충성도에 관한 연구 -중국소비자들을 중심으로- (Study on internet social commerce business loyalty -Focusing on Chinese consumers-)

  • 정인숙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471-482
    • /
    • 2015
  • 최근 IT업계의 최대 이슈는 소셜커머스이며, 유통시장의 거대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소셜커머스의 시장은 앞으로 성장성이 높을 것이라 기대하며, 소셜커머스 업체들이 급속도로 생겨날 것이다. 현재 한국과 중국 모두 소셜커머스 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중국소비자들의 소셜커머스 이용에 있어 고려하는 요인과 만족요인 그리고 손실요인과 소셜커머스 쇼핑가치 요인은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첫째, 소셜커머스 이용에서 고려요인은 가격요인, 편의요인, 제품요인 그리고 사이트 요인의 4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소셜커머스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만족요인을 확인하였다. 셋째, 소셜커머스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손실요인을 확인하였다. 넷째, 소셜커머스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쇼핑가치요인은 쾌락요인과 실용적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소비자들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중국인의 인터넷 소비문화에 대한 이해와 중국 온라인 시장에서의 문화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환경관심, 환경지식, 소비가치가 업사이클 제품의 구매의도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Environmental Concern, Environmental Knowledge, and Consumer Value on Purchase Intention and Behavior of Up-cycled Products )

  • 전찬호;박상혁;오승희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31권1호
    • /
    • pp.123-138
    • /
    • 2024
  • With the increase in online shopping and delivery food consumption since the pandemic,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single-use packaging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Upcycling' is a combination of 'Upgrade' and 'Recycle', and it is the rebirth of obsolete or discarded objects by adding new value to them, and there are currently various upcycled products on the market. In order to activate upcycling, consumers' awareness of the environment and their values for consumption are very importan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tudents' environmental concern, environmental experience, and consumption value on their purchase intention of upcycled products.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environmental concern, environmental experience, and consumption value, hypotheses were set, an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university students nationwide to test the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nvironmental concern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of upcycled products. It can be seen that the more environmental concerns such as global warming and waste disposal problems increase, th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upcycled products increase. Second, the research hypothesis that environmental knowledge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upcycled products is rejected. It was found that environmental knowledge is acquired through environmental education and many SNS, but it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upcycled product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consumption value of college stud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upcycled products by increasing their positive perception of upcycled products. Fourth, college students' purchase intention of upcycled produc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behavioral intention to purchase upcycled product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relevant organizations such as universities and companies to effectively design upcycling-related education. It is also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use of upcycled products by providing basic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who purchase upcycled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