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ference of Women Cosmetics Consumption Value on SNS Features of Cosmetics Brands

여성의 화장품 소비가치에 따른 화장품 브랜드의 SNS 특성 선호도

  • 김초롱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 곽태기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6.06.17
  • Accepted : 2016.09.25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In order to use cosmetics brands SNS effectively and establish strate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onsumer date. According to cosmetics consumption value groups, this study examined each cosmetics consumption value group's level of concern of three cosmetics brands SNS features, informativity, enjoyment and interactivity. For the data, questionnaire was collected by 198 women, and the data were measured by ANOVA,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Ducan test. According to cluster analysis cosmetics consumption value group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unconcern group, hedonic value pursuit group, function of brand value pursuit group, high concern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igh concern group thought highly of all cosmetics brands SNS features, including informativity, enjoyment and interactivity. In addition all consumer groups were concerned informativity rather then enjoyment and interactivity. Second, comparing with high concern group, other groups which include unconcern group, hedonic value pursuit group and function of brand value pursuit group were not concerned about cosmetics brands SNS features' enjoyment and interactivity. Except informativity, hedonic value pursuit group and unconcern group were more concerned interactivity than enjoyment. While, high concern group and function of brand value pursuit group were more concerned enjoyment than interactivity.

Keywords

References

  1. 김난도, 전미영, 이향은, 이준영, 김서영. (2015). 트렌드 코리아 2016. 서울: 미래의창
  2. 김병곤. (2012).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특성이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19(4), 213-225.
  3. 곽성문. (2015). 2015 소비자형태조사 보고서,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file:///C:/Users/USER/Desktop/2015%20MCR.pdf
  4. 김은주. (2014. 11. 12). 뜨는 '화장품' 가성비 탁월...입소문 타고 '훨훨'. 컨슈머치. 자료검색일 2016. 8. 13, 자료출처 http://www.consumuch.com/news/articleView.html?idxno=15512
  5. 고은지. (2015. 11. 17). 디지털이 뷰티산업의 혁신이끈다. LG경제연구원. 자료검색일 2015. 11. 26, 자료출처 http://www.lgeri.com/industry/chemical/article.asp?grouping=01030300&seq=275
  6. 강이주, 신자빈. (2006). 소비성향에 따른 화장품 소비자의 구매결정요인 분석. 소비문화연구, 9(4), 83-103.
  7. 김용환. 박지홍.(2009). SNS 이용자의 모르는 사람 (stranger)과의 사회네트워크 구축 행태에 관한 탐구.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08, 17-35.
  8. 경종수. 김명수. (2012). SNS의 서비스특성과 상호 작용성이 신뢰와 결속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13(3), 3-25.
  9. 김태형. (2016. 8. 16). 똑똑해진 SNS 사용자가 공감하는 동영상 '언니의 화장품'. 브릿지경제. 자료검색일 2016. 8. 30, 자료출처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160816010004249
  10. 김혜나, 김나연, 서예지. (2016. 5. 9). 10대 노리는 SNS광고, 화장품 1위 앱 광고 2위. 중앙일보. 자료검색일 2016. 8. 15, 자료출처 http://news.joins.com/article/19997165
  11. 김희숙. (2002). 청소년잡지에 나타난 화장품광고의 소구유형 및 소비가치의 변화에 관한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4), 492-502.
  12. 네이버사전. (2016). 자료검색일 2016. 8. 9, 자료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70305&cid=55570&categoryId=55570
  13. 박경신. (2012). SNS 매체적 특성과 법적용의 한계.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15(3), 127-157.
  14. 박성희. 이선명. (2009). 온라인 구전 정보 방향성이 화장품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패션과 니트, 12(7), 52-60.
  15. 뷰티경제. (2015. 8. 3). '콘텐츠가 소비를 만든다!'... 유통업계, 크리슈머(Cresumer)에 주목!. 뷰티경제. 자료검색일 2016. 6. 2, 자료출처 http://www.thebk.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6646
  16. 심성욱. 김운한. (2011) 대학생들의 소셜미디어 이용동기가 소셜미디어 광고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13(2), 342-376.
  17. 손용석. 이선. 유건우. (2014). 온라인 화장품 구전 정보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시장에서 기초/색조 화장품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16(2), 105-128.
  18. 심재영. (2015. 8. 16). 모바일 성장 화장품 마케팅 패러다임 변화. CMN. 자료검색일 2016. 6. 2, 자료 출처 http://www.cmn.co.kr/sub/news/news_view.asp?news_idx=16209
  19. 손현주. (2015. 12. 16). [2015 송년 특집] 2015년 화장품 유통 결산- 오픈마켓, 소셜커머스. 전자신문. 자료검색일 2016. 6. 2, http://www.etnews.com/20151216000468
  20. 이강호. (2011). 연구논문: 기업의 트위터 활용유형에 따른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37(0), 279-297.
  21. 안대천. 김상훈. (2012). SNS유형별 광고속성 평가 및 태도에 관한 연구: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의 비교. 광고학연구, 23(3), 53-84.
  22. 이세윤, 박준기, 이혜정, 이정우. (2013,11). SNS 지속 사용 의도의 선행 요인 연구: 쾌락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 2013년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179-184.
  23. 이석용. 정이상. (2010). 웹 2.0시대의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관한 고찰. 대한경영정보학회, 29(4), 142-167.
  24. 이성준. (2014). SNS 광고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관여도의 역할에 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 14(9), 118-202.
  25. 이윤경, 호사기, 강혜승. (2014). 한국과 중국의 SNS를 활용한 광고 전략 비교 분석.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44(-), 111-120.
  26. 이정수. 이영곤. (2012).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특성이 고객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유통경영학회, 15(3), 49-65.
  27. 유재미. (201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SNS)를 활용한 마케팅 사례 연구. 경영경제연구, 35(2), 101-123.
  28. 오정민, 노정동. (2015. 12. 14). 올해 홈쇼핑 히트상품 키워드는?...'알뜰패션.포미족'. 한국경제. 자료검색일 2016. 8. 27, 자료출처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12146661g
  29. 오제인. (2013). SNS 특성과 개인적 특성이 고객 관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정우. 김미영. (2010). 화장품소비가치에 따른 화장품유형 및 국내.외상표선택. 한국의류학회, 34(7), 1149-1161. https://doi.org/10.5850/JKSCT.2010.34.7.1149
  31. 유창조. 정혜은 홍성태. (2006). 여성의 화장에 대한 욕구와 그에 따른 화장품 소비행위에 대한 심층 연구. 경영학연구, 35(1), 21-49.
  32. 조경섭, 송형철. (2002). 온라인 구매자 집단과 비구매자 집단의 쇼핑성향의 차이. 마케팅과학연구, 10(1), 71-90.
  33. 정나래. 김영란. (2014). SNS특성에 의한 소비자의 화장품 구매태도가 관련정보와 구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피부미용학회지, 12(4), 565-573.
  34. 장윤희. (2012). 소셜미디어 마케팅 성과에 관한 연구: 포탈 광고, 블로그, SNS 채널의 특징과 성과 비교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0(8), 119-133. https://doi.org/10.14400/JDPM.2012.10.8.119
  35. 정진수. (2016). 인스타그램으로 SNS마케팅을 선점하라. 서울: 나비의활주로.
  36. 정주임. (2000). 소비자의 화장품 상표충성도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주순화. (2012). SNS 활용정도와 화장품 관여도가 SNS 화장품 마케팅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의약 식품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최지은. 이두희 (2013).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네트워크 특성이 사용자의 사회자본(Social Capital)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42(3), 719-741.
  39. 현근식. 이동일. (2014). SNS에서 제품정보 전달 유형에 따른 소비자 반응 차이연구. 한국경영학회 2014년 통합학술발표논문집, 4010-4025.
  40. 한태숙. (2014). 호텔 기업의 SNS속성이 태도, 만족, 그리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Baek, K., Holton, A., Harp, D., & Yaschur, C. (2011). The links that bind: Uncovering novel motivations for linking on Facebook. Computer in Human Behavior, 27(6), 2243-2248. https://doi.org/10.1016/j.chb.2011.07.003
  42. Yang, J., Zhang, M., & Zou, Z. (2015). The effect of In-Game advertising in SNS on brand equity. Journal of service science and management, 8(1), 107-144. https://doi.org/10.4236/jssm.2015.81013
  43. Keller, K, L.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equity, Jounal of marketing, 57(1), 1-22. https://doi.org/10.1177/002224299305700401
  44. Kim,Y., Sohn, D., & Choi, S. (2011). Cultural difference in motivations for using social network sites: A comparative study of American and Korean college studen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7(1), 365-372. https://doi.org/10.1016/j.chb.2010.08.015
  45. Park, N., Kee, K. F., & Valenzuela, S. (2009). Being immersed in social networking environment: facebook groups, uses and gratifications, and social outcomes. Cyber psychology & behavior. 12(6), 729-733. https://doi.org/10.1089/cpb.2009.0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