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7.17.01.701

The Discourse Research on Pop Culture Text through SNS - Focused on the Difference in Aesthetic Interpretation of IU's Song  

Woo, Jihye (성균관대학교)
Baek, Seon Gi (성균관대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Criticism is related with recognition activity which is interpreting and evaluating the text based on the particular criteria. It reflects the awareness system of a particular time-period in that it is a work of social meanings beyond individual impressions. However, the standards of criticism have changed, like the awareness system has changed as economy, culture or technology has evolved. The emergence of SNS has influenced the field of popular culture. It improves the role and participation of the public in criticism. Moreover, it breaks the previous paradigm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cultural industry. These changes bring not only the positive ones, such as improvement of diversity and freedom of criticism, but also the negative one, confusion of values due to the absence of criteria. This study mainly concerned debates and discourses of SNS on , a new song of IU, and focused on changes of aesthetic evaluations of culture performer, producer and audience. Especially, the authors tried to find out how such new technology has changed the criticism, and how it has influenced on our aesthetic consciousness.
Keywords
Popular Culture; Pop Culture Criticism; Aesthetic Interpretation; IU ; SN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윤주한, 예술작품의 해석과 예술가의 의도의 관계에 대한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학과, 석사학위 논문, 2013.
2 신운화, 예술작품에 대한 해석적 다원론에 관한 연구-J. 마골리스의 상대주의 해석 이론을 중심을,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학과, 박사학위 논문, 2014.
3 S. Hall, Representation: Cultural Representation and Signifying Practices, Sage, 1997.
4 김정미, 대중문화 수용에 있어서 대중의 주체성 모색: 스튜어트홀의 문화 연구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영문학과, 석사학위 논문, 2015.
5 U. Eco, Les Limites de l'interpretation, 1990, 김광현(역), 해석의 한계, 열린책들, 2009.
6 오병남, 미학강의,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7 N. Fairclough, Language and Power, London and New York: Longman, 1989.
8 정미정, 백선기, "한국신문의 영화에 관한 보도 담론의 특징과 의미: 산업담론과 문화담론의 대립적 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3 호, pp.28-53, 2011.
9 백선기, 김강석,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보도와 담론 및 그 이데올로기적 의미: 기호네트워크 분석방법(SNA)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12, pp.483-503, 2009.
10 https://www.facebook.com/dongnyokpub/posts/439616442895016:0
11 https://www.facebook.com/iu.loen/posts/899916456760779
12 백선기, 김소라, "지배 담론과 대항 담론: 동성애에 대한 '매스 미디어' 와 '게이 커뮤니티'의 담론 관계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연구, pp.78-114, 1998.
13 신현기, 우지숙, "트위터에서 일어나는 정치적 담론활동에 대한 탐색적 연구: 2010년 6.2 지방선거 관련 트윗글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제19권, 제3호, pp.45-76, 2011.
14 백선기, "사회적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표출되는 표현들의 기호적 속성과 의미의 함축성: 주요 사회 의제에 관한 트위터 내용들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기호학연구, 제30권, pp.37-75, 2011.
15 강동현, 위계와 분화: SNS 사회운동의 두 가지 조직화 양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 학위논문, 2016.
16 C. Barker and D. Galasinski, Cultural Studies and Discourse Analysis, Sage, 2001, 백선기(역), 문화연구와 담론분석: 언어와 정체성에 대한 담화,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17 M. Foucault, L' archeologie du savoir, Gallimard, 1969, 이정우(역), 지식의 고고학, 민음사, 1992.
18 D. Hebdige, Subculture: The Meaning of Style, London: Routledge, 1979, 이동연(역), 하위문화: 스타일의 의미, 현실문화연구, 1998.
19 J. Curran, D Morley, and V. Walkerdine, Cultural Studies and Communications, 1996, 백선기(역), 대중문화와 문화연구, 한울, 1999.
20 J. Fiske, Reading the Popular, 1989, 박만준 (역), 대중과 대중문화,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21 FKII 조사연구팀, "소셜 미디어란 무엇인가?," 정보산업, 통권 제242호, 2006.
22 곽송호, SNS 서비스 재현성에 대한 시뮬라시옹 현상,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인터랙션디자인전공, 석사학위 논문, 2013.
23 정재철, 문화연구의 핵심 개념,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24 유영석, 롤랑 바르트의 후기구조주의 텍스트 이론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4.
25 백선기, "대중 문화 텍스트의 '다의성'과 수용자 '해독' - 서태지와 아이들의 에 대한 윌리스의 분석틀 적용을 중심으로," 기호학연구, 제2권, 제1호, pp.211-258, 1996.
26 정기한, 정지희, 신재익, "기업의 SNS 활동이 브랜드 및 구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0, pp.1-8, 2010.
27 A. Toffler, The Third Wave, Pan Macmillan Limited, 1981, 김진욱(역), 제3의 물결, 범우사, 2014.
28 이경락, SNS 정치담론의 의제형성과 의미구성 연구 : 제18대 대선 관련 트윗에 관한 담론분석과 사회연결망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박사학위 논문, 2013.
29 N. B. Ellison, C. Steinfield, and C. Lampe, "A face(book) in the crowd: social searching vs. social browsing," Proceedings of the 2006 20th anniversary conference on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pp.167-170, 2006.
30 M. Poster, The second media age, Polity Press, 1995.
31 M. Kapor, "Civil Liberties in Cybersapce," Scientific American, Vol.265, No.3,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