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BM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6초

2인 제로섬 게임 기반의 효과적인 SLBM 탐지를 위한 구축함 배치 최적화 (Optimization of Destroyer Deployment for Effectively Detecting an SLBM based on a Two-Person Zero-Sum Game)

  • 이진호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39-49
    • /
    • 2018
  • 잠수함으로부터 발사되는 SLBM은 은밀성으로 인해 탐지가 매우 제한적이며 이는 안보에 심각한 위협으로 인식된다. 본 연구는 SLBM의 효과적인 탐지를 위한 구축함 배치 최적화 문제를 고려한다. 최적화 모델은 2인 제로섬 게임을 기반으로 하여, 상대방의 입장에서 SLBM이 최대한 탐지되지 않는 발사 및 도착 지점과 비행궤적을 결정하고자 하며, 우리의 입장에서는 상대방의 SLBM 탐지를 최대화할 수 있는 구축함의 배치 계획을 수립한다. 제시된 2인 제로섬 게임 모델은 선형계획법으로 변환하여 최적해를 구할 수 있으며, 가상의 임의 구역과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계산 실험을 수행하고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모델을 통해 게임에서의 상대방과 우리의 최적 혼합전략을 도출한 결과를 보여준다.

북한 SLBM의 비행특성 해석 (Analysis of the Flight Trajectory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 SLBM)

  • 이경행;서형필;권용수;김지원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9-1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의 비행궤적을 시뮬레이션하고 발사방법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였다. 최근 북한은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의 비행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이는 국제적인 안보에 상당한 위협이 되고 있다. 북한은 러시아의 퇴역 잠수함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 관련 기술을 확보하였고, 이와 관련된 실험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 개발이 완료되고 실전 배치된다면, 이는 우리나라에 비대칭적인 위협 요소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위협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의 위협에 대한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의 운동 모델을 작성하고 이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또한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의 자세각을 조절하여 사거리를 조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특성변화에 대해 기술하였다. 도출된 SLBM 비행궤적을 고려할 때 중간 단계부터 종말 단계까지의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해상기반 탄도미사일 방어체계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진다.

A study on Applicability in Super Cavitation with SLBM of North Korea

  • Oh, Kyunngwon;Lee, Kyounghai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제3권2호
    • /
    • pp.9-13
    • /
    • 2016
  • This study is about technical analysis in launching SLBM of North Korea. We expect that North Korea develop ICBM and SLBM by improving the technique called R-27. Also it is expected that they attempt to achievement in covertness and ambush by completing technique of cold launching. Recently, SLBM of North Korea rised 40 ~ 50 m on surface after launching in an underwater when they showed the scene of firing SLBM. We expect that they actively use not general technique but super cavitation technique. Also, they might improve the launching technique by doing SLBM launching test. This type is about that whole rocket is separated two parts and ignited with high velocity and we might think that 1st rocket is used in solid propellant to maneuver in high velocity in an underwater. After then, they might use liquid propellant for the long-range ballistic missile.

북한 SLBM 위협과 대응방향 (ROKN's Response Strategy to North Korea's SLBM Threat)

  • 문창환
    • Strategy21
    • /
    • 통권40호
    • /
    • pp.82-11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progress of North Korea's SLBM threat, and to assess the technological capacity and threat level of its SLBMs. Currently, North Korea has approximately 1000 ballistic missiles, such as the SCUD, Musudan, and Nodong, in stock. This article pays close attention to the background and strategical implication behind North Korea's obsession with developing SLBMs despite possessing sufficient means to launch provocations with its current arsenal of ground based ballistic missiles and conventional weapon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analysis, this article will recommend possible response directions for the ROK Armed Forces to North Korea's SLBM threat. It is highly difficult to detect SLBMs due to its stealthy nature, as it is launched underwater after covert infiltration. North Korea's SLBM is considered a game changer in that even one SLBM can significantly change the strategic balance of North East Asia. North Korea's SLBM test launch in August has made a 500km flight, landing 80km inside the JADIZ (Japan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and as such, it is assessed that North Korea already possesses underwater ejection and cold launch capabilities. The most realistic response to North Korea's imminent SLBM threat is bolstering anti-submarine capabilities. ROK Armed Forces need to upgrade its underwater kill-chain by modernizing and introducing new airborne anti-submarine assets and nuclear-powered submarines, among many options. Moreover, we should integrate SM-3 missiles with the Aegis Combat system that possess strong detection capabilities and flexibility, thereby establishing a sea-based Ballistic Missle Defense (BMD) system centered around the Aegis Combat System, as sea-based ballistic missile threats are best countered out in the seas. Finally, the capabilities gap that could arise as a result of budgetary concerns and timing of fielding new assets should be filled by establishing firm ROK-US-Japan combined defense posture.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 탐지를 위한 해상 센서플랫폼의 배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ployment of a Sea Based Sensor Platform for the Detection of a SLBM)

  • 김지원;권용수;김남기;김동민;박영한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363-369
    • /
    • 2015
  • 본 논문은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LBM) 탐지를 위한 해상 센서플랫폼의 배치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 북한은 SLBM의 수중 사출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이는 국제사회에 심각한 안보 위협이 되고 있다. 이러한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기동이 가능한 해상 센서플랫폼은 SLBM의 탐지 가능성이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전형적인 레이더 센서체계의 최대탐지거리 특성은 표적의 비행궤적과 레이더 반사 단면적(RCS)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SLBM의 전술적 특성에 따른 비행궤적을 분석하고, RCS를 계산하였다. 또한 센서 플랫폼의 위치에 따른 탐지 시간을 분석하여 효과적으로 SLBM을 탐지할 수 있는 해상 센서 플랫폼의 위치를 제시하였다.

북한 SLBM 탐지를 위한 레이다 수신전력 간편 추정 방법 (Convenient Radar Received Power Prediction Method for North Korea SLBM Detection)

  • 서형필;박형훈;이경행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51-5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을 거친 북한의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의 비행궤적에 대하여 레이더 수신전력에 대한 간편 추정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최근 북한은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의 비행시험에 성공하였으며, 이는 국제적인 안보에 상당한 위협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협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의 위협에 대해 레이더를 이용한 탐지특성에 대한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잠수함 발사탄도미사일의 비행궤적에 따른 레이더의 탐지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레이더 반사 면적(RCS)과 전파특성에 대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북한 SLBM 평가와 한국 해군의 대응방안 (North Korean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 (SLBM) and Reaction of Republic of Korea Navy)

  • 윤석준
    • Strategy21
    • /
    • 통권39호
    • /
    • pp.47-81
    • /
    • 2016
  • This paper has attempted to examine the political and operational contexts within which North Korea's latest acts of nuclear blackmail, its test-firing of an SLBM on April 23rd 2016 and its fourth nuclear test on January 6th 2016, should be understood. Analysis of the KN-11 SLBM and the Sinpo-class SSB is based on official South Korean, US and others sources, especially the ROK MND, as well as other resources from South Korea, US and others. Unfortunately, the results of this exploration are inconclusive: there is simply not enough evidence available at present to either confirm or refute the existence of a functional North Korean SLBM and SSB. Nevertheless, the North Korean determination to possess such assets should not be taken lightly. But even accepting North Korea's claims about its SLBMs at face value, which is undermined by news of apparently unsuccessful follow-up test-firings in November, and probably December 2015, there is little proof that North Korea has yet succeeded in miniaturizing its nuclear warhead, so the most extravagant fears are not yet justified. Taken together with North Korea's latest announcement of a supposed successful SLBM ejection-test, on March 23th 2016, the KN-11 SLBM claims should probably be seen as primarily about proving North Korea's status as a nuclear power, both to exert external political pressure and to bolster internal political support for Kim Jong-un's rule. In conclusion, this paper recommends formulating a preemptive anti-access strategy for the ROKN, proposes acquiring an ASW CV and SSNs to implement submarine strategic deterrent patrols, and urges extending the existing limited AORs to facilitate the preemptive anti-access strategy. Other deterrence options may be suggested, but it is surely significant that the ROKN has recently publically referred to the deployment of an ASW CV and SSNs for the first time.

북한 SLBM 개발과 핵전략 : 해군력 건설 방향과 한미 해군협력 (North Korea's Nuclear Strategy and SLBM Development)

  • 오순근
    • Strategy21
    • /
    • 통권41호
    • /
    • pp.333-370
    • /
    • 2017
  • 북한의 SLBM 위협이 대한민국 안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그동안 많은 논의가 있어 왔지만, 북의 잠수함에서 발사하는 탄도미사일이 보유한 진정한 위협에 대한 인식은 아직도 부족한 듯하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논의가 북 SLBM 기술의 성숙도와 완성시기 등 기술적 수준에 관심이 치우쳐져 있기 때문이다. 핵전략과 억제전략의 관점에서 본다면 북한의 SLBM 개발은 한미동맹의 제1격에 대한 완벽한 제2격 능력 보유에 그 핵심이 있다. 즉 향후 개발될 북한의 SLBM은 평양 김정은 정권의 생존을 보장할 직접적이고 핵심적인 전력이 될 것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한미 군사동맹과 북한의 현 군사력 균형을 깨뜨리고 앞으로 북의 군사도발 가능성을 더욱 높이는 결과를 가지고 올 것이다. 북의 핵전략은 현재 확증보복(assured retaliation) 단계로 발전하고 있으며, 결국에는 전쟁에 사용될 전술적 핵무기 능력(war-fighting capability)을 갖게 될 것이다. 이에 대한민국 해군은 우리의 강점을 활용하여 적의 약점을 공략할 수 있는 상쇄전략(offset strategy)을 개발하여야 한다. 북한의 현 제한된 잠수함 기술력과 대잠작전 능력을 고려할 때 한국해군은 수중영역에서의 공세적 대잠전(offensive ASW) 개념을 보다 발전시켜야만 할 것이다. 이는 미 해군이 냉전기간 중 소련해군 핵추진전략잠수함(SSBN) 대응을 위해 발전시킨 전략대잠전(strategic ASW) 개념에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미 해군은 소련 해군의 SSBN 을 억제하기 위해 공세적인 전략대잠전을 수행했고 그 결과 소련해군은 자국의 연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요새전략(bastion strategy)를 추구할 수밖에 없었다. 당시 미 해군의 전략대잠전은 공격잠수함(SSN), 대잠초계기, 수중 탐지체계(SOSUS), 공격기뢰 등의 전력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북한 SLBM 에 대한 한국해군의 전략개념은 북의 핵전략(제 2 격능력)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정립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해군력 건설은 대잠전 능력 강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우리 해군은 장기적으로 핵추진잠수함을 비롯하여 성능이 향상된 대잠초계기, 한반도 해역을 중심으로 한 미 해군의 SOSUS 와 유사한 수중탐지장비 그리고 장시간 수중작전이 가능한 무인잠수정(UUV)을 도입해야만 한다. 단기적으로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KAMD 체계에 SM-3 를 보유한 이지스함을 포함시켜, 북 SLBM 에 대한 요격능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한미동맹은 북 핵전략의 핵심전력인 SLBM 개발에 대한 위협인식을 공유해야만 하다. 작전적 수준에서는 양국 해군 간 대잠전 및 대유도탄전 작전운용성 증대에 우선순위를 두고, 기존의 한미 간 연합작전능력 강화뿐 아니라 위기시를 대비하여 미일 간 구축되어 있는 대잠전 및 대유도탄전 능력도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지스함의 탄도미사일 방어를 위한 운용개념 도출 (Derivation of Operational Concept for the BMD of the Aegis Ship)

  • 이경행;백병선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44-51
    • /
    • 2016
  • This paper describes the operational concept of the Aegis ship's missile defense. Recently, North Korea conducted a fourth nuclear-weapon test that involved the launch of a long-range missile and the underwater launch of an SLBM. The ground-based BMD (Ballistic Missile Defense) system is very limited for the SLBM of a miniaturized nuclear warhea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uild a reliable sea-based missile-defense system. The ROK Navy has, however, only utilized the Aegis ship that is designed with a search-and-tracking sensor but is without a ballistic-missile interception capability. Given this information, this work focuses on the operational concept of the Aegis BMD by comparing the BMD capabilities of the ROK with those of the U.S.

북한의 국방개혁: 기술개발을 통한 전략적 역량 확보 (North Korean Defense Reform: Strategic Strength through R&D)

  • 양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209-217
    • /
    • 2020
  • 북한은 국방력 강화를 위하여 꾸준한 국방개혁을 실시해왔으며, 특히 군사기술개발과 군수산업역량 강화를 국방개혁의 중점으로 삼아왔다. 이러한 북한의 국방개혁은 궁극적으로는 핵전력 확보를 목표로 했으며, 김정은 시기에 이르러 기술적 성과가 축적됨에 따라 수소탄과 ICBM/SLBM 등 전력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이렇게 핵전력을 확보한 북한은 또다시 국방개혁을 통하여 재래식 무기체계의 첨단화를 추구함으로써 전략적 우위를 확보함으로써 재래전력에서의 대칭성까지 추구하고 있다. 여태까지 북한의 국방개혁은 성공적이었으며, 김정은의 새로운 집권체제 확립과 대미협상 등의 동력을 만드는데 성공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