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ED-2D

Search Result 7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Prediction of River Bed Change after Removing A Low Dam (SMS모형을 이용한 보 철거 후의 하상 변동)

  • 김현석;노영신;이진수;윤병만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898-90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보천거로 인해 발생되는 보 상하류의 하상변동을 예측하여 보았다. 대상 지역은 최근 철거된 경안천 장지보 부근으로 양벌보에서 경안 1교까지 3.5km 구간이다. 흐름분석은 RMA-2를 이용하였으며 하상변동은 SED-2D모형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모의 결과 보 철거로 인할 유속의 증가로 보 상류에서 침식이 발생하였고, 하류부는 유속 감소로 인할 최적이 발생하였다. 보 철거로 인한 하상변동의 영향이 보 주변에만 국한되지 않고 하류구간에 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모형은 장기하상변동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보철거로 인한 2차원 장기하상변동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모형의 개발이 요구된다.

  • PDF

Prediction of Sediment distribution in Reservoir Using 2-D Numerical Model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저수지 내 퇴사분포 예측)

  • Kim, Ki Chul;Kim, Jong Hae;Chong, Koo-Yol;Kim, Hyeon 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8
    • /
    • pp.729-742
    • /
    • 2014
  • This study predicted long-term sediment distribution for 76 years by using RMA-2 which is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and SED2D which is the sediment transport model to quantitatively analyze sediment distribution in the reservoir based on sediment intrusion and efficiently manage the reservoir. For water level-discharge-sediment data required in boundary conditions of the model, real-time data measured by the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were used. The sediment input data was calculated using K-DRUM model. Sedimentation depth was compared with results of model by collecting cross-section core in the reservoir during the dry season. As the result of validation, the sediment depth in the reservoir was similar to actually measured value. For prediction of long-term sediment distribution, terrain data measured in 2012 was used as starting crosssection and simulations for 76 years until 2088 were made. As the results of simulations, sediment distributions of 1.63~1.26 m and 1.45~0.007 m were shown in upstream and downstream of Hapcheon Dam, respectively.

An analysis of bridge perimeter of river channel change and sediment concentration distribution characeristic (교량 주변 하도구간에서 하상변동 및 유사농도 분포 특성분석)

  • Lee, Hyo-Jung;Jung, Do-June;Ahn, Seung-Seop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207-210
    • /
    • 2008
  • Recently many studys have been continued Nak-Dong river. This study recognized the importance about a rivers floor change. The Nak-Dong main river of railroad bridge(2.423Km) waegwan-eup, Cilgok-gun, Gyeongsangbuk-do analyzed to the SED2D-WES model. This study recognized the difference of the model according to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the bridge piers. At a result of mean velocity current is higher in bridge option appeared in this case. As well sediment transportation model show that river bed change appear the part of velocity is low.

  • PDF

Characteristics of Enterotoxigenic genes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Tomato Farms in Western Gyeongnam (서부 경남지역 토마토 농장에서 분리된 Staphylococcus aureus의 내독소 유전자의 특성과 항생제 감수성)

  • Kim, Jin-Soo;Lee, Jin-Ha;Kim, Ji-Hun;Choi, Ju-Mi;Kim, Se-Ri;Ha, Sang-Do;Kim, Keun-Sung;Lee, Kyu-Ho;Kim, Min-Gon;Kim, Kwang-Yup;Kim, Cheol-Ho;Chung, Duck-Hwa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8 no.2
    • /
    • pp.295-303
    • /
    • 2006
  • To provide microbial information for the safety of agricultural production, the presence of enterotoxin genes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14 isolated Staphylococcus aureus (11.7%) strains were investigated using PCR-based methods and disk diffusion method, respectively. Among enterotoxin-encoding genes, sea was detected from two isolates (14.3%), sea and sed genes were co-detected from three isolates (21.4%), and sea, sed, and see genes in seven isolates (50.0%), whereas seb, sec, and tsst were not detected in any isolate. Nine (64.3%), eight (57.1%), six (42.9%), two (14.3%), and one (7.2%) isolates were resistant to penicillin, novobiocin, amphicillin, erythromycin and oxacillin, and doxycycline and kanamycin, respectively. Methicilline-resistant S. aureus was found in roller of B farm and in hydroponic solution of D farm.

Prediction of River Bed Change due to Yongdam Dam Discharge (용담댐 방류에 따른 하상변동 예측)

  • Kim, Young-Bok;Jung, Seung-Kwon;Shim, Soon-B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6 no.1 s.20
    • /
    • pp.69-8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ownstream influences due to the dam discharge by using 2-dimensional model, SMS(Surface water Modeling System). RMA-2 and SED-2D in SMS were applied to Yongdam multipurpose dam watershed located in Gum river basin. Through the simulation, erosion and deposit quantitative analysis of sinuous channels and scour pattern analysis of bridges have been done. A differences erosion depths between deposit are simulated as $-102.4 mm{\sim}54.2 mm$ at No.176(1.4 km) and $-104.1 mm{\sim}28.9 mm$ at No.146(7.4 km), sinuous channel. The river bed at Kamdong bridge in straight channal is simulated as uniform erosion. However, the river bed at Dumdul bridge in sinuous channal has been shown as different erosion depths at each sides. Consequently, the parts that could not be simulated on the existing 1-dimensional model, can be improved results by using a 2-dimensional model, about weakness points for hydraulic modeling such as extreme bend, tributary confluence.

Numerical Modeling for Sediment Depositional Changes due to Channel Contraction (하천에서의 하도 축소로 인한 퇴사거동 수치모의)

  • Kim, Kwun-Han;Han, Seung-Wun;Ji, Un;Park, Sang-Kil;Yeo, Woon-K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734-739
    • /
    • 2009
  • 낙동강하구둑은 바다로부터의 염수칩입을 방지하고 하구둑 상류의 지속적인 용수 공급을 위해 1987년에 건설되었으며 이로 인해 낙동강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유사가 낙동강하구둑 근처에서의 유속 감소로 인해 상류 접근수로에 퇴적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낙동강하구둑 상류의 퇴적되는 유사로 인해 낙동강하류의 하상이 상승되고 통수단면이 축소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홍수범람의 위험성을 가중 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매년 하구둑 상류 접근수로에서는 퇴적되는 유사를 제거하기 위해 하구둑 건설 이후에 매년 준설 작업이 수행되고 있으며 최근에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여러 방법들이 여러 연구를 통해 검토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하폭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하구둑 상류 2 km 지점은 매년 준설 작업 전에 시행되는 측량 자료에 의하면 이 지점에 많은 양의 유사가 퇴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낙동강하구둑 접근수로에서 매년 준설되는 퇴사를 하구둑 상류 2 km 지점 우안 쪽을 매립함으로써 하도를 인위적으로 축소시켜 유속을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퇴사량을 경감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하도 축소를 이용한 퇴사 저감 방법의 적용성 검토를 위해 2차원 수치모형인 RMA2 모형과 SED2D 모형을 이용하여 흐름 및 하상변동 분석하였다.

  • PDF

Modeling Mixing of Suspended Sediments in Paldang Lake (팔당호의 부유사 확산 거동 모의)

  • Seo, Il-Won;Jun, In-Ok;Choi, Nam-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664-1668
    • /
    • 2008
  • 팔당호는 수도권의 상수원수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팔당호의 수도권 상수도 공급량은 전체 공급량에 32%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 4개의 취수구에서 상수원수가 취수되고 있다. 취수장의 총 취수시설 용량은 $9.02{\times}10^6\;m^3/day$ 규모이고, 실제 취수되는 양은 약 $4{\times}10^6\;m^3/day$이다. 따라서 팔당호의 지속적인 수질관리 및 수질예측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팔당호는 여러 가지 수질 문제를 안고 있다. 팔당호 상류의 인구가 증가하고 도시화되면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양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런 상황에서 상수원수로서 필요한 수질을 확보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집중호우 시 호수 및 하천에 발생하는 부유사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다. 하천에서 부유사 문제는 수자원 이용뿐만 아니라 하천 생태계까지 피해를 미치게 된다. 따라서 부유사 거동에 대해 해석하는 모형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듯 중요성과 문제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팔당호의 수질을 예측, 관리를 위해 2차원 수질모델을 이용하여 부유물질 확산거동을 예측하고자 한다. 수로연장이 길고 수심이 깊은 댐이나 호수에서는 x-z방향으로 구획을 나누고 하천, 하구나 만에서는 수심보다 수평방향 면적이 넓기 때문에 x-y방향으로 구획을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며, 팔당호의 경우 수리학적으로 큰 규모의 호수이기 때문에 이러한 2차원 모형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수질 해석모델인 SED-2D를 이용하여 부유사 확산 거동에 대한 해석모델 개발을 연구하였다.

  • PDF

Weir Relocation for Scenery Improvement of Geum River (금강의 경관 향상을 위한 보의 위치변화)

  • Jeong, Sang-Man;Shin, Kwang-Seob;Park, Seok-Chae;Lee, Joo-Heon;Han, Kyu-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239-1243
    • /
    • 2007
  • 현재 우리나라에는 기능을 상실하고 노후화된 보가 경제적인 문제 등으로 인하여 철거되거나 적정한 위치로 이동되지 않고 그대로 방치되어 있다. 이러한 다수의 보는 상 하류간 단절을 가져와 하천 경관을 나쁘게 하고 국부적인 세굴로 인하여 하상을 불규칙하게 만든다. 본 연구에서는 공주시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공산성이 위치하고 있는 금강의 중류를 대상구간으로 설정하였으며, 해당 구간에는 2003년에 설치된 돌보를 기준으로 하류부에 불량한 경관이 발생하고 있다. 공산성 앞의 하천 구간은 공주대교 아래에 설치된 돌보로 인하여 보의 상류는 충분한 유량으로 인해 하천경관이 좋은 반면, 하류는 경관을 위한 유지유량이 부족하여 아름다운 하천 경관을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경관 향상을 위한 유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보의 철거나 위치변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주대교 아래에 설치된 보의 위치를 공산성 하류로 이동시키는 대안을 선정하여 그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보 위치변화의 적정성을 검토하기 위한 2차원 해석 모형으로는 하천의 흐름특성 및 하상변동을 모의할 수 있는 SMS(Surface Water Modeling System ver.8.1)의 RMA2와 SED2D를 이용하였다. 2차원 해석 결과 보를 공산성 하류로 이동시켰을 때 유량의 증가와 하상복원으로 인하여 수위가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구간에서의 모의 결과 보의 위치변화가 적정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공산성에서 바라보는 금강의 경관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n Behavior of Sediment Deposition in a Reservoir using a Numerical model (수치모형을 이용한 저수지내 퇴사 거동에 관한 연구)

  • L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888-892
    • /
    • 2008
  • 저수지의 퇴사는 저수량을 감소시켜 수명을 단축시키고 저수피해를 가중시킴과 동시에 용수공급에도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자연하천에서 흐르던 유사는 댐이라는 수공구조물로 인해 흐름에 방해를 받으며, 홍수기 홍수조절을 위한 방류시 하류 하천의 하상변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100년을 내용수명으로 하는 다목적댐은 한번 건설되면 저수상태에서 장기간 유지관리를 필요로 하므로 저수지내 퇴사에 대한 예측은 설계 단계에서 부터 신중한 검토와 적용이 요구된다. 저수지내에서 유사의 퇴적으로 인한 하상변동은 유역내에서 유입되는 유사입자의 크기와 형상, 하천의 계절적 유량변화와 유사량 변화, 저수지의 형태와 크기, 그리고 저수지의 홍수기 방류량과 운영계획 등 상호 관련된 많은 요소에 의해 좌우된다. 따라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하천 및 저수지의 정비와 관리를 위해서는 적절한 수치모형을 이용한 저수지의 퇴사분포 예측과 퇴사량 예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기간 저수지로 유입되는 홍수량을 대상으로 퇴사거동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차원 수치모형인 SMS(Surface-Water Modeling System)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모형내에 내장되어 있는 RMA-2와 SED-2D에 대한 모형의 특성 사용법 입력자료를 분석하고 대상유역에 대한 기 조사된 하천 종 횡단 자료를 토대로 지형자료를 작성하여 기본계획 단계에 있는 김천시 부항다목적댐을 대상으로 100년 빈도 홍수량 유입시 공간적 퇴사거동 현상을 모의하였으며, 유속분포 퇴사의 공간적범위를 고려하여 저수지내 구조물 위치 선정 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