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T

검색결과 1,459건 처리시간 0.027초

PARSIVEL 측정 자료를 활용한 대관령 산악지역 강수입자분포 모형 연구 (A Study on a Model of Rainfall Drop-Size Distribution over Daegwanryeong Mountainous Area Using PARSIVEL Observations)

  • 박래설;장민;오성남;홍윤기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518-52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대관령 지역에서의 광학우적계(PARSIVEL disdrometer) 강수관측으로부터 산출된 강수율에 따른 강수입자분포 자료를 바탕으로 기존의 강수입자분포 모형을 개선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제안한 다양한 강수입자분포 모형과 측정 자료와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대관령 지역에 적용 가능한 원형 모형은 개선된 ${\Gamma}$ 분포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원형 모형을 대관령 지역에 적용할 수 있도록, 민감도 실험을 통해 최적의 매개변수들(${\alpha}$, A, B)을 산정하였으며, 다섯 가지 강수율에 대한 강수입자분포 모형을 제안하였다. 강수율에 따른 강수입자분포 모형의 결과는 관측에서 측정된 값과 높은 상관성($R^2=0.975$)을 보였다. 강수율에 따라 표현되는 강수입자분포 모형을 일반화 형태로 개선하기 위해 강수율과 매개변수의 상관성을 도출하여 일반식을 결정하였다. 일반화된 강수입자분포 모형은 대관령 지역의 강수입자분포 측정 자료와 높은 상관성($R^2=0.953$)을 보였으며, 이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이 대관령 지역의 강수입자분포를 모의하는데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안된 강수입자분포 모형은 대관령 지역의 강수입자분포에만 최적화 되었다는 한계성이 있어, 따라서 한반도를 대표하는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다른 지역에 대한 광범위한 측정이 필요하다.

휠체어 추진속도 및 등받이 경사각도에 따른 둔부 압력 변화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Buttock Interface Pressure According to Wheelchair Propulsion Speed and Various Back Reclined Seating Position)

  • 권혁철;공진용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0
    • /
    • 2005
  • Pressure ulcers are serious complications of tissue damage that can develop in patients with diminished pain sensation and diminished mobility. Pressure ulcers can result in irreversible tissue damage caused by ischemia resulting from external loading. There are many intrinsic and extrinsic contributors to the problem, including interface tissue pressure, shear, temperature, moisture, hygiene, nutrition, tissue tolerance, sensory and motor dysfunction, disease and infection, posture, and body support system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uttock interface pressure and seating position, wheelchair propulsion speed. Seated-interface pressure was measured using the Force Sensing Array pressure mapping system. Twenty subjects propelled wheelchair handrim on a motor-driven treadmill at different velocities (40, 60, 80 m/min) and seating position used recline ($100^{\circ}$, $110^{\circ}$, $120^{\circ}$) with a wheelchair simulator. Interface pressure consists of average (mean of the pressure sensor values) and maximum pressure (highest individual sensor valu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No significant correlation in maximum/average pressure was found between a static position and a 40 m/min wheelchair propulsion (p>.05). However, a significant increase in maximum/average pressure were identified between conditions of a static position and 60 m/min, and 80 m/min wheelchair propulsion (p<.05). No significant correlation in maximum pressure were found between a $90^{\circ}$ recline (neutral position) and a $100^{\circ}$, $110^{\circ}$, or $120^{\circ}$ recline of the wheelchair back (p>.05).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pressure was found between conditions of a $90^{\circ}$ recline and both a $100^{\circ}$ and $110^{\circ}$ recline of wheelchair back. However, a significant reduction in average pressure was identified between conditions of a $90^{\circ}$ and $120^{\circ}$ recline of wheelchair back (p<.05). This study has shown some interesting results that reclining the seat by $120^{\circ}$ reduced average interface pressure, including the reduction or prevention in edema. And interface pressure was greater during dynamic wheelchair propulsion compared with static seating. Therefore, the optimal seating position and seating system ought to provide postural control and pressure relief. We need an education on optimal seating position and a suitable propulsion speeds for wheelchair users.

  • PDF

포지션별 농구용 휠체어가 추진동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ree basketball wheelchairs on propulsion movement)

  • 임비오;유연주;서정석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15-227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인 휠체어 농구 선수 8명을 대상으로 추진 및 방향전환 동작의 소요시간 측정 및 운동학적 분석을 통하여 포지션별 농구용 휠체어가 추진동작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포지션별(포드, 센타, 가드) 휠체어의 한 주기(핸드림 접촉에서 다음 핸드림 접촉까지)를 2차원 DLT 방식을 이용하여 구하고자 하는 변인을 산출하였다. 가드용 휠체어는 직선 구간 및 방향전환 구간 모두에서 가장 빠르게 나타났으며, 센타용 휠체어는 방향전환 구간에서 제일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 속도가 가장 빠른 가드용 휠체어는 손이 TDC(Top Dead Center)에 더 가깝게 접촉하며, 더 오랫동안 핸드림에 힘을 가해서 추진하며, 분당 추진빈도는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센타용 휠체어는 손이 TDC에서 가장 멀리 접촉하며, 가장 짧은 범위에서 핸드림에 힘을 가해서 추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드용 휠체어는 핸드림 접촉시 팔꿈치를 가장 많이 굽히고 몸통을 가장 많이 세우며, 센타용 휠체어는 핸드림 접촉시 팔꿈치를 가장 많이 펴고 몸통을 많이 굽히며 핸드림 이지시 가드용 휠체어에 비해 팔꿈치를 많이 펴는 것으로 나타났다. 휠체어 추진시 좌석의 높이가 가장 낮은 가드용 휠체어는 포드용 및 센타용 휠체어보다 팔꿈치 및 몸통각의 범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몸통 최대 각속도에서 가드용 휠체어는 다른 휠체어와 비교해서 가장 큰 값을 나타냈다.

분말 폐타이어와 분말 수지를 함유한 환경친화적 고인성 시멘트계 무수축 그라우트재의 개발 (Development of Green Cement Type Grouting Materials with High Toughness and Non-Shrinkage Including Powder of Waste Tire and Resin)

  • 박석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623-630
    • /
    • 2007
  • 주로 교량 슈 (shoe)나 기계 기초 등과 하부 콘크리트 구조체간의 공극을 충전시켜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을 일체화하는데 사용되는 그라우트재는 구조물의 특성상 주로 큰 하중을 받는 부위에 시공되기 때문에 높은 압축강도를 갖는 제품 위주로 개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고강성 위주로 제품이 개발되어 한계응력 이상에서는 구조체가 갑자기 파괴되는 취성체라는 구조적 문제점을 안고 있고, 연속 및 반복하중 등의 응력에 의한 누적 피로에 의해 균열 등의 성능 저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초기 고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발열 특성이 높은 속경성 재료를 과다하게 사용함으로써 대형 부재인 경우 수화열 등에 의한 균열발생 우려의 문제 등도 안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해, 탄성재료인 분말 폐타이어 및 분말 수지를 이용하여 기존의 고유동, 무수축, 고강도 특성 이외에 고인성과 고내구성을 부여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시공될 수 있으며, 모체와의 일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그라우트재의 분체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또한, 부수적으로 분말 폐타이어 및 플라이애쉬와 같은 산업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환경친화적인 건설 재료를 제공하는 데에도 기여하였다. 이를 위해 총 7가지 배합 조건별 실험이 진행되었고, 이를 통해 최적 배합 조건을 선정하였다.

향상된 장애물 극복형 실내 이·승강 전동휠체어의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Manufacture of Improved Obstacle-Overcoming type Indoor Moving and Lifting Electric Wheelchair)

  • 김영필;함헌주;홍성희;고석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851-860
    • /
    • 2020
  • 인구 고령화와 건강 복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재활복지기를 포함한 실버 및 헬스케어 산업과 관련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1차적으로 설계·제작되었던 이·승강 전동휠체어를 사용자 측면에서 보다 더 안전성과 편의성을 갖도록 개선하고자 하였다. 사용자 체형을 고려한 헤드레스트 높이조절 기능의 시트 디자인, 사용성 증대를 위한 암레스트의 길이조절 및 95° 회전 기능, 사용자 탑승 편의성을 위한 바닥까지의 시트하강 및 운행 시 승강할 수 있는 기능, 캐스터 회전반경 및 안전성 증대를 위한 발판 추가 및 풋레스트 길이 조절 기능, 승·하강 시 흔들림 방지를 위한 프레임 및 승·하강 링크 설계 등을 개선시켰다. 또한 안전주행을 위한 컨트롤러 및 드라이브 부문과 사용자 편의성 측면의 기능들을 추가적으로 설계·제작하였다. 추가 기능을 보완하여 제작된 실내 전동휠체어의 동작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구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속 주행시간, 회전반경, 승·하강 최대 하중, 최대 승강 높이, 소음레벨, 운행 보조센서 센싱 최소거리, 서버 및 앱 프로그램 상호연동 및 기기호환성, 듀티 사이클 최대 오차율의 성능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더 개선하여 설계·제작한 전동휠체어는 시험 목표 값을 달성하였으며, 성공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로는 개선하여 제작된 이·승강 전동휠체어에 대해 사용자 측면에서의 사용성 평가를 수행할 것이다.

자전거 사고로 입원한 환자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the In-Patients Who were Admitted due to Bicycle Related Injuries)

  • 이동훈;김병국;윤형구;신동은;이인성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8-64
    • /
    • 2010
  • 목적: 최근 교통 수단 및 레저 수단으로써 자전거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자전거 관련 수상 환자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저자들은 자전거 사고로 인해 입원 치료를 시행한 환자들의 사고 유형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08년 01월 01일부터 2009년 05월 31일까지 자전거 주행중 사고로 인해 본원에 입원한 75명의 환자 중 추시 가능하였던 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54명 및 여자 17명이었고 평균 나이는 36.7세였다. 수상 정도, 수상 부위, 수상 기전, 수상 장소, 자전거 종류, 자전거 이용 목적, 동반 탑승 혹은 화물 적재 여부, 계절 그리고 보호구 착용 여부 등을 Injury Severity Score( I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Injury Severity Score 는 1점이 11례, 4점이 41례, 5점이 2례, 9점이 13례, 13점이 1례,16점이 2례 및 29점이 1례였다. 상지 및 하지의 골절 46례중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하였던 환자는 36례였고, 이는 전체 환자의 50.7 %였으며, 척추체 골절, 안면부 손상 및 복부장기 손상으로 인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는 각각 2례,8례 및 1례였다. 두부 손상은 전체 10례였는데, 이중 중환자실 치료를 필요로 할 정도로 심각한 손상은 3례로 전체 환자의 4.2%였다. 결론: 자전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자전거 전용 도로 확충, 안전 교육 및 헬멧을 포함한 상지 및 하지 보호대 착용 등의 사고 예방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차량용 휠체어 이송수납메커니즘의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Development of Wheelchair Transfer-Storage Mechanism for Car)

  • 임구;김용석;레콴환;정영만;오동관;오지우;여찬호;양순용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10호
    • /
    • pp.1109-1116
    • /
    • 2014
  • 본 연구에서 제안된 차량용 휠체어 수송메커니즘은 크게 이송메커니즘과 수납메커니즘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휠체어 이송메커니즘은 매니퓰레이터로 구성되며,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어 운전석에서 트렁크의 위치까지 휠체어를 이송하는 기능을 한다. 휠체어 수납메커니즘은 리프팅 호이스트로 구성되며, 차량의 트렁크에 설치되어 이송된 휠체어를 트렁크 내부로 수납하고 안전하게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휠체어 이송메커니즘의 조건을 고려한 매니퓰레이터의 방식선정을 위해 수직방식, 수평방식, 텔레스코픽방식 등에 대하여 분석하고 검토하여 하중지지에 강하고 수납보관에 유리한 텔레스코픽방식을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또한 휠체어 수납메커니즘에서는 슬라이드 레일과 리프트와이어에 의한 슬라이드 호이스트방식과 웜기어와 링크로 구성된 회전메커니즘에 의한 회전링크 호이스트방식에 대하여 분석하고 검토하여 트렁크 공간 활용에 유리한 슬라이드 호이스트방식을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차량용 휠체어 이송메커니즘은 기존의 휠체어 이용자 이동지원을 위한 차량용 휠체어 이송시스템의 단점을 해소하고 국내 장애인복지차량 구조에 부합하도록 제안하였다.

조선시대 족보(族譜)에 게재된 산도(山圖)의 특성과 지형표현 - "기계유씨족보(杞溪兪氏族譜)"와 "반남박씨세보(潘南朴氏世譜)"를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of Landform in Feng-shui Map on Genealogical Table in the Choson Dynasty)

  • 이형륜;성동환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0-57
    • /
    • 2011
  • 山圖(산도)는 풍수지리적 길지, 즉 혈(穴)과 명당의 국면을 표현한 지도이다. 산도는 가정 이상적이라고 생각하고 관찰한 자연지형을 풍수지리적 공간모형에 빗대어 표현한 것이다.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족보 중 "기계유씨족보(杞溪兪氏族譜)"와 "반남박씨세보(潘南朴氏世譜)"에 게재된 2개의 산도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족보(族譜)에 게재된 산도의 제작기법, 지형표현의 특징을 산도의 구도, 시점, 중심지향적 지도, 물의 흐름, 산론 등의 세부항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 산도는 이원적 축척과 부감법을 사용하였으며 묘지를 중심으로 지형을 묘사하고 중요지형을 실제 지형보다 과장해서 표현하였다. 또한 묘지에서 관찰되지 않는 중요지형은 시점이동을 통해 관찰하고 이를 세밀하게 표현하였다. 산론(山論) 부분에는 지리적 위치와 산맥의 흐름과 체계, 풍수적 특징, 묘지의 좌향과 주변지형을 설명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 PDF

농용트랙터 보호구조물 사용실태 및 좌석벨트 편이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the Tractor ROPS and Seatbelt use of Korean Farmers)

  • 김혁주;김관우;최선;김종선;김유용;김진오;김학규;권순홍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5권5호
    • /
    • pp.294-301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the ROPS and seatbelt of tractors in Korea. We surveyed the ROPS and seatbelt use and the tractor related accidents through the personal interviews for 141 farmers. And comfort test for tractor seatbelts is done for 4 different subjects by measuring the body pressure distribution. The survey showed that 79.3% of the tractor accidents was overturning accidents. And, in case the tractor has ROPS and seatbelt, there was no serious injuries. With this results, we could confirm that ROPS and seatbelt is very effective devices for protecting drivers in overturning accidents. But, in case farmers didn't wear seatbelt, there was some fatal injuries. This shows the importance of the seatbelt use in working and driving tractors. Therefore, we tested the comfort of the tractor seatbelt for 4 different subjects operating the pedal in tractor seat simulator and in the tractor running on various roads. From the results of the static test in the Lab, it was shown that more the seatbelt anchorage point is far form SIP point, more the body pressure of the belly became higher, and more the subjects feel uncomfortable. Not only in the static test in the simulator, but also in the dynamic test in riding tractors, it was shown that non retractable seatbelt was more uncomfortable than retractable seatbelt. According to this study, we concluded that we need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the ROPS and seatbelt use. And, the non retractable seatbelt need to be replaced by retractable seatbelt. Also, we recommend that the seatbelt anchorage position should to be in the seatbelt anchorage area of the ISO 3776 standard.

수송 트레일러의 충격흡수장치 개발(III) -평판 스프링 현가장치- (Development of Vibration Absorption Device for the Transportation-Trailer System (III) - Leaf Spring Suspension Device -)

  • 홍종호;박원엽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3권4호
    • /
    • pp.224-229
    • /
    • 2008
  • This study was aimed to minimize the impact force and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transporting materials from the trailer and wheel shaft by installing the leaf spring suspension device at the space between the wheel shaft and frame of power tiller trailer. The developed trailer equipped with leaf spring suspension device was compared to the existing trailer without suspension device, in order to identify the vibration absorption effect of the leaf sp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length and the maximum bending amount of the leaf spring were designed as 1,000 mm and 42 mm, respectively, considering the possible space for installing at below the trailer. When 4 leaf springs were installed on both wheel shafts, the allowable maximum load was identified as 9,418 N. (2) The average vibration accelerations for the frequency less than 20 Hz, where the severe transporting loss could be represented, were $0.017\;m/s^2$ and $0.133\;m/s^2$ for the developed and the existing trailer, respectively, showing the vibration absorption effect of about 87%. And the average vibration accelerations on the driver's seat for the frequency less than 20 Hz were $0.01\;m/s^2$ and $0.20\;m/s^2$ for the developed and the existing trailer, respectively, which showed the similar vibration absorption effect. (3) The change of the average vibration accelerations for the frequency from 20 Hz to 80 Hz showed the similar tendency with the result for the frequency less than 20 Hz, but the effect for developed trailer was reduced slightly. And the effect of vibration absorption for the above 80 Hz was reduced highly. However, by installing the leaf spring suspension device at the trailer, the low frequency below 40 Hz, which could affect on transporting loss severely, could be reduced highly. (4) The maximum vibration acceleration for the frequency less than 20 Hz were $0.027\;m/s^2$ and $1.267\;m/s^2$ for the developed and the existing trailer, respectively. And the change of maximum acceleration between 20 Hz and 120 Hz was showed similar tendency with the result for the frequency less than 20 Hz, but the width of change was reduced high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