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7초

인류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UN의 밀레니엄 발전 목표(MDGs)와 지속가능 발전 목표(SDGs)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of UN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Human Life)

  • 박성현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29-542
    • /
    • 2014
  • Purpose: Eight goals in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 and temporary 12 goals i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as the UN projects are investigated in detail. Methods: Investigation of statistics for life qualities, diseases, and life costs. Results: By examining the shortcomings of MDGs, temporary goals of SDGs are suggested. In addition, four countermeasures are recommended for further consideratio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ooperate MDGs with more interest and prepare the new age for SDGs by compensating the shortcomings of MDGs. Finally, this paper suggests creative directions for SDGs which will be supposed to start in 2016.

UN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의 관점에서 벡터공간모델을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한 한국농촌계획학회의 연구동향, 1995-2016 (U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Oriented Research Trend in Publications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995-2016: quantitatively analyzed with the Vector Space Model)

  • 이제명
    • 농촌계획
    • /
    • 제23권2호
    • /
    • pp.29-42
    • /
    • 2017
  • Sustainable development is no longer an option, but a requirement. Under this awareness, UN adopted 17 goals for a new sustainable development agenda on September 2015, named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KSRP) is established on July 1994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rural areas. On the purpose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KSRP's publications with the viewpoint of SDGs, the qualitative documents of 17 SDGs and 771 publications were mathematically transformed into vectors and the similarity was numerically measured with the 'Vector Space Model(VSM)'. The results show that 'Sustainable cities and communities(SDG 11)', 'Zero hunger(SDG 2)', 'Life on land(SDG 15)' and 'Responsi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SDG 12)' have strong relationships with KSRP, while those of 'Affordable and clean energy(SDG 7)', 'Peace, justice and strong institution(SDG 16)' and 'Gender equality(SDG 5)' are weak. It is also found that the relationships of KSRP publications with 'energy' and 'climate change' issues(SDG 7, 13) were greatly increased during the period of 1995-2016, in spite of their weak relationships.

Determinan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rovision

  • JOHAN, Suwinto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1호
    • /
    • pp.891-899
    • /
    • 2021
  • The United Nations'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 has become a goal to create a sustainable life. The MDGs' target was to be achieved in 2015, but it missed that date. The MDGs' target has turned into a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to be achieved by 2030 The SDGs require financial support from companies. Funds are one of the resources to implement the SDGs. Government and private companies need to cooperate in achieving the SDGs target. The company has a responsibility to implemen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 company'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part of the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SDGs. One of the essential industries that have responsibility for SDGs is the financial industr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terminan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funds in financial institutions in ASEAN countries. This study uses panel data to test the determinant variables on CSF provision. This study uses 45 sustainable development reports from 2015-2019. The total number of banks in the sample came from three countries, namely, Indonesia, Malaysia, and Thailand. This study concludes that firm size, profitability, efficiency, and the age of the CEO ar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siz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funds.

새천년개발목표(MDGs)에서 지속가능개발목표(SDGs)로의 이행: 그 기회와 한계 (Transition from Millenium Development Goals(MDGs) to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 Its Opportunities and Limits)

  • 권상철;박경환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2-88
    • /
    • 2017
  • 오늘날 전세계적 양극화가 다양한 스케일에서 심화되고 있다. 가난한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는 빈곤과 불평등, 그리고 이로 인해 파생되는 기아, 질병, 환경파괴, 난민 등의 문제는 보다 복잡한 지리적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런 문제는 특정 국가나 지역에 국한된 문제처럼 보이지만, 유럽 식민주의 이후의 지리적 상호연결성이 파생해 온 역사적 결과이다. 이런 측면에서 196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전개되어 온 국제개발협력은 빈곤과 불평등을 해결하는 데에 기여해 왔지만, 이런 과정에는 공적개발원조와 관련된 보다 복잡한 지정학적 이해관계가 얽혀 있다. 특히, 2015년에는 2000년에 시작된 새천년 개발목표(MDGs) 프로젝트가 종료되는 대신 2030년을 목표로 하는 지속가능개발목표(SDGs)가 새롭게 수립됨에 따라, 이를 달성하려고 하는 국제 사회의 노력과 전략은 더욱 복잡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지리적 측면에서 볼 때 SDGs는 훨씬 폭넓고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방향으로 설정되었지만 동시에 많은 한계와 난점도 갖고 있다.

  • PDF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K-SDGs)의 영유아 관련 세부목표의 우선순위 분석 (Priority Analysis of Sub-goals Related to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Korea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K-SDGs) Using the Delphi Technique)

  • 전효정;고은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17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prioritize sub-goal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mong the Korea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K-SDGs). Methods: The expert panel of this study consisted of 15 faculty members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r children's studies at 12 universities and was put together in order to conduct a Delphi survey.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 total of 16 sub-goals were developed in order to target infants and young children. Second, the 16 sub-goals were then ranked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and urgency, and the most important goal were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and prevention of drug abuse (K-SDG 3-2)'. And 'the elimination of violen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girls (K-SDG 5-1, 5-2)', 'the safe and inclusive learning environment (K-SDG 4-8)' and 'end of abuse, trafficking, exploitation and all forms of violence against children (K-SDG 16-2)' were the next important and urgent goals. These priority objectives reflect the inviolable rights that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Korea should be guaranteed by default.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provided a basis for its effective implementation by identifying goals and prioritie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comprehensive and interdependent K-SDGs.

국내 산림정책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간의 연관성 분석 (Analysis on the Linkage between SDGs Framework and Forest Policy in Korea)

  • 문주연;김나희;송철호;이슬기;김문일;임철희;차성은;김강선;이우균;손요환;양수길;진새봄;손영모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25-442
    • /
    • 2017
  • This study analysed the linkage between national forest policy in Korea, namely the $5^{th}$ National Forest Master Plan, 2016 Korea Forest Service Performance Management Plan, the $3^{rd}$ National Sustainable Development Plan, and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The 7 strategies of the $5^{th}$ National Forest Master Plan were related to 11 Goals of SDGs, and 5 strategies of 2016 Korea Forest Service Performance Management Plan were associated with 7 areas of SDGs, and 4 strategies within $3^{rd}$ National Sustainable Development Plan were linked to 7 Goals of SDGs. Among 87 national forest indicators compiled from three respective forest-related policies of Korea, 45 national indicators were related to 18 SDGs indicators. This indicates that 52% of national indicators of Korean forest policy are reflecting the language of SDGs. However, seeing from SDGs perspective, only 18 out of 241, which accounts for 7.8% of SDGs indicators are related to national indicators. The findings imply that a number of national forest-related indicators do not meet the diverse dimension of SDGs which provides potential areas for forest to contribute. Based on the findings,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1) the term used in forest policy should be aligned to SDGs targets so that it can be embedded in national policies, and 2) indicators should be further contextualized as well as in its assessment system. Lastly, it suggests for leveraging 3) '5 Processes of sub-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and the core concept of REDD+ MRV which could provide fundamental background for implementing SDGs framework to national forest policy.

가정교과 내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Lesson Plans in the Human Development & Family Domain of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to Achiev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 임정하;김경민;최정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41-5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가정교과 내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서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학습목표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분석단계에서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각 내용요소와 SDGs 세부목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할 내용요소로 [변화하는 가족과 건강가정]을 선정하였다. 설계단계에서 문제해결형 프로젝트 수업으로 총 3차시를 설계하였다. 개발단계에서 각 차시별 교수·학습과정안과 학생용 개인 및 모둠 활동지와 교사용 수업자료를 개발하였다. 평가 및 수정 단계에서 가정교과 교육과정 관련 평가지표와 SDGs 관련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교수·학습과정안 평가문항을 구성하였다.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교수·학습과정안 초안의 적절성을 검토받아 수정 및 보완작업을 거쳐 교수·학습과정안 최종안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교 가정교과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서 교육과정의 학습목표와 SDGs 모두를 달성하기 위한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여 학교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예시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SDGs 지속가능한 디자인 교과목 운영 사례연구 - 패션디자인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Sustainable Design Curriculum for the implement SDGs focus on fashion design major)

  • 신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325-335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패션디자인학과에서 다양한 디자인 전공 학생들의 융합 교육에 따른 SDGs 지속가능한 디자인 교과목 운영 사례를 연구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교과목 운영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수업설계, 실행, 운영 결과로 교과목을 분석하였다. 지속가능한 디자인 교과목은 2~4학년 학생의 통합 구성으로 패션디자인 및 다양한 디자인 전공 학생이 수강하여 SDGs 과제에 따른 전공 심화와 주제 중심 통합교육에 따른 융합 역량을 강화하였다. 수업에서의 교육내용은 문제 발견과 해결을 통한 디자이너의 지속가능한 가치 추구를 위해 지역업체에서 개발된 폐페트병 섬유의 업싸이클 디자인을 통한 지속가능 발전 목표를 실현하고 다양한 업싸이클 상품 디자인을 개발하고 평가 지표 및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SDGs의 실현 가치를 이해하고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디자인적 접근을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 기여와 다양한 디자인 전공과의 융합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을 위한 지속가능한 식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the Sustainable Dietary Life Teaching-Learning Plans to Implement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 이정은;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49-16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식생활 단원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연계한 학습 요소와 수업 주제를 선정하고, 교수·학습 과정안 및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타당성 및 현장 적합성을 검증받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분석, 설계, 개발, 평가 단계를 거쳐 실행되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단계에서는 17개 지속가능목표, 169개 세부목표 중 식생활과 관련한 세부목표를 추출하고,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5종의 식생활 단원 내용을 분석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할 교수·학습 과정안에서 다룰 수 있는 학습 요소를 추출하였다. 둘째, 설계 단계에서는 교과서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청소년의 바람직한 식생활', '식품의 생산', '식품의 유통', '식품의 소비 및 폐기'로 수업 주제를 선정하였다. 효과적인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체 수업의 총괄목표를 설정하고 개발될 식생활 영역 차시별 수업의 학습 목표, 학습 내용, 학습 방법과 함께 관련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연계하여 수업을 설계하였다. 셋째, 개발 단계에서는 총 9개 주제, 11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과 전문가에게 검증받을 타당도 평가지를 개발하였다. 넷째, 평가 단계에서는 가정과 교사 5인의 전문가를 통해 교수·학습 과정안의 현장 적합성과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검토의견을 토대로 총 9개 주제, 13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으로 수정·보완하여 완성하였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창업분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연구동향 분석 (A Bibliometric Study o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Research Trends in Entrepreneurship)

  • 안승권;최민정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2호
    • /
    • pp.21-34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가 유엔총회에서 결의된 이후 전 세계적으로 창업분야에서 SDGs 연구가 얼마나 수행되었는지 살펴보고, 해외 및 국내 연구동향을 비교하여 국내 SDGs 이행을 위한 창업분야의 연구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검색어를 선정한 후 Web of Science(Wos), KCI, DBpia 등 세 개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창업분야의 SDGs 연구물을 추출하였다. 데이터 정제를 거쳐 해외는 총 356편의 연구물을, 국내는 총 4편의 연구물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국내 연구물은 숫자가 너무 적어 해외 연구물만 빈도분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빈도분석에서는 창업분야 SDGs 연구가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용어들을 중심으로 비즈니스 모델, 혁신, 창업교육, 전략 등과 함께 연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도별 빈도분석을 통해 창업분야 SDGs 정책, SDGs 이행에 있어 여성 창업가들의 역할, 에너지 창업분야의 SDGs, 경영대학원의 SDGs 이행 방향성과 SDGs 교육, SDGs 이행과 평가를 위한 지표, 지속가능성을 위한 기술 등으로 매년 주제가 다양하게 확장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연구제목과 저자 키워드, 초록을 모두 포함하여 분석한 결과, 비즈니스, 지속가능성, SDGs, 혁신, 창업가정신, 비즈니스 모델, 교육 등의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연구범위가 창업생태계, 변화와 전략, 윤리, 기후 등으로 확장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해외 창업분야의 SDGs 연구동향을 제시함으로써 불모지에 가까운 국내 창업분야 SDGs 연구의 발판을 마련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