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D-22

검색결과 565건 처리시간 0.024초

양만장 사육조에서 분리한 Edwardsiella tarda의 약제 내성과 R Plasmid (Antibiotic Resistance and R Plasmids in Edwardsiella tarda)

  • 최민순;김영길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7-46
    • /
    • 1994
  • 서해안 일원의 가온 양만장 사육조로부터 분리한 E. tarda균에 대한 약제내성검사 및 내성균의 내성인자 전달 시험을 실시하였다. 공시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률은 LM, PM, SD, SF 등에는 100%, AP, CH, SM, OT 및 CP 등에는 89% 이상, OA 및 KM에는 70% 정도 그리고 AK, GM 및 EF 등에는 30% 이하의 내성률을 보였으며, 이와같은 내성률은 각 양만장에서 분리한 균주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내성유형은 총 34유형으로 모든 분리균주가 8~14제의 다제내성을 보였으며, 그 중 LM PM SD SF CP CH SM OT AP OA KM(22주, 21.4%) 및 LM PM SD SF CP CH SM OT AP OA(12주, 11.7%) 유형등이 고빈도로 출현하였다. 내성균의 내성인자 전달유형은 총 55형으로 단제에서 13제까지의 다양한 내성인자가 전달되었는데, 그 중 LM PM SD SF CP CH SM OT AP OA(10주. 10%), LM PM SD SF CP CH SM OT AP OA KM(7주, 7%) 및 LM PM SD SF CP CH AP OA(7주, 7%) 등의 다제내성유형이 고빈도의 전달률을 보였으며, 약재별로는 GM, EF 및 AK 등에는 저빈도(0~20%), OT, SM, KM 및 OA 등에는 중등도(49~62%), AP, PM, LM, SF, CP, CH 및 SD 등에는 고빈도(71~94%)로 내성인자를 전달하였다.

  • PDF

SD600 철근의 B급 겹침 이음에 대한 현행설계기준의 적용성 (Applicability of Current Design Code to Class B Splice of SD600 Re-Bars)

  • 최원석;정란;김진근;박홍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449-459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SD600 철근 B급 이음에 대한 현행 설계기준의 적용성 평가를 위하여 실험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단순 지지된 12개의 B급 겹침 이음 실험체에 단순 증가 하중을 가하여 실험하였다. 주요 변수는 겹침 이음 철근직경, 콘크리트 피복 두께, 콘크리트 강도, 횡보강 철근 간격이다. 콘크리트는 24 MPa의 보통 강도 콘크리트와 60 MPa의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였다. 대부분의 실험체는 현행 설계기준의 B급 이음 길이를 만족하도록 설계하였다. 실험에서 발현된 철근 응력의 평균을 현행 KCI설계기준의 예측 철근 응력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하여 SD600 철근에 대한 현행 설계기준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현행 설계기준은 모든 D13 겹침 이음과 횡보강 철근이 배치된 D22, D32 겹침 이음에 대하여 안전측이었다. 직경 D22 이상 철근의 겹침 이음은 횡보강 철근의 사용이 권장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한 D22, D32 철근의 겹침 이음은 안전한 경향성을 보였으나, 확실한 검증을 위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방풍류(防風類) 약재(藥材)의 신경세포보호효과 및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 효과 비교 (Comparative Study of Bang-poong (root of 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chkin) and Related Species on Neuroprotective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Effects)

  • 주인경;이승민;최진규;오명숙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29-37
    • /
    • 2019
  • Objectives : Bang-poong (Saposhnikovia divaricata; SD) was traditionally used to treat inflammatory disorders.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Bang-poong and related species including SD, Glehnia littoralis (GL), and Peucedanum japonicum (PJ) possess neuroprotective effects and acetylcholinesterase (AChE) inhibitory activities. Methods : Roots of SD, GL and PJ were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DW) or 70% ethanol (EtOH). We assesse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extracts. To examine neuroprotective effects, we measured cell viability in PC12 or HT22 cells after treatment of the extracts with $H_2O_2$ or amyloid-beta ($A{\beta}$). To assess anti-neuroinflammatory effects, we measured the nitric oxide (NO) levels after treatment with the extracts and lipopolysaccharide (LPS) in BV2 microglial cells. In addition, we performed AChE inhibition assay to explore effects of the extracts on the cholinergic system. Results : DW and EtOH extracts of SD, GL and PJ showed mil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lso, DW extracts of GL and PJ showed protective effects against $H_2O_2$-induced toxicity in PC12 cells. In LPS-activated BV2 cells, EtOH extracts of SD, GL and PJ exerted inhibitory effects on NO production. Meanwhile, DW extracts of SD, GL and PJ inhibited the $A{\beta}$-induced cell death in HT22 cells. In addition, DW and EtOH extracts of GL exhibited remarkable inhibitory activities on AChE. Conclusions : We demonstrated that SD, GL and PJ exert anti-oxidative, anti-neuroinflammatory and AChE inhibitory activiti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D, GL and PJ could be potential candidates for neurological disorders.

기초학습부진으로 의뢰된 일 광역시의 일반학급 초등학생의 심리, 정신과적 평가 및 부모의 특성 (Clinical Diagnoses, Psychopathology, and Neurocognitive Tests in Children Referred for Scholastic Difficulties and Their Parents)

  • 방수영;박정환;임재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2권1호
    • /
    • pp.16-24
    • /
    • 2011
  • Objectives:This study examined the prevalence of psychiatric problems in children with scholastic difficulties who had been referred for mental health services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in Ulsan Metropolitan City. Methods:Child psychiatrists evaluated the referred children using the DSM-IV. Evaluation tools included the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III,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the Korean form of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the ADHD rating. Results:Seventy-six children consisting of 64 boys (84.2%) and 12 girls (15.8%)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average age was 10.3 (SD=0.93) years old. Approximately 74% of the children referred for scholastic difficulties were diagnosed with mental retardation. The Axis I diagnosis among these children were ADHD (86.8%), depression (21.1%), learning disorder (9.2%), communication disorder (4.8%),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3.6%), internet addiction (1.3%), and mood disorder (1.3%). Their overall measure according to the Child Depression Inventory was 22.7 (SD=16.8), that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was 33.3 (SD=7.9)/32.4 (SD=9.5), and that for the ADHD rating scale was 18.9 (SD=10.9). Conclusion:These results suggest that many children with scholastic difficulties have both complex psychiatric and educational problems.

야파 처리가 살비아 'Salsa'의 영양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Vegetative Growth and Flowering of Salvia splendens 'Salsa' in Response to Night Interruption)

  • 홍윤영;박유진;김윤진;김기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4호
    • /
    • pp.434-439
    • /
    • 2014
  • 이 연구는 야파 처리 시간대가 살비아 'Salsa'의 영양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저광도 야파 처리가 광합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살비아는 9시간의 단일조건 또는 9시간 일장에 $3-5{\mu}mol{\cdot}m^{-2}{\cdot}s^{-1}$의 광도의 야파를 추가한 조건의 식물 생육상에서 재배되었고, 야파 처리는 18시-22시(NI18), 22시-02시(NI22), 02시-06시(NI02)의 세 구간으로 나누어 적용되었다. NI18, NI22, NI02 처리구에서 광합성은 야파 처리 시간 동안에 각각 0.33, 0.16, $0.13{\mu}mol{\cdot}CO_2{\cdot}m^{-2}{\cdot}s^{-1}$만큼 증가하였다. 하지만 엽폭, 엽장 등의 영양생장은 단일 조건하의 식물들과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야파 처리 시 개화까지 걸리는 시간은 9.8일 단축되었고, 17주간 야파 처리 시 꽃의 수는 단일 조건의 36.4개에 비해 NI02 처리구에서 138.7개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02시부터 06시까지의 야파 처리가 개화를 촉진하는 데에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야파 처리 시간 동안에 증가한 광합성량은 살비아의 영양생장 증가에는 효과를 보이지 못하였다. 비록 야파 처리 동안의 미미한 광합성의 증가가 살비아의 영양생장을 증가시키지는 못하였지만, 개화에는 크게 영향을 미쳤다. 단일 조건에서는 44.4%만이 개화하였지만 8주간 야파 처리시 NI18, NI22, NI02 처리구에서는 각각 77.8, 88.9, 100.0% 개화하였다.

고강도 철근 사용에 따른 순수 철근량에 대한 정착 및 이음 철근량 비교 (Comparison of Pure Reinforcement Quantity to Development & Splice Reinforcement Quantity using High-strength Reinforcing Bars)

  • 조승호;나승욱;노영숙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72-80
    • /
    • 2018
  • 초고층 및 장경간 등 대형 구조물에 대한 시공시 부재의 품질이 저하될 정도로 과다한 철근이 배근되고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으며, 최근 건축되고 있는 초고층 건축물에서는 건물의 안정성과 내구성 등을 감안하여 사용 재료의 강도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초고층 및 장경간 구조물의 시공에서 고강도 철근을 사용할 경우 기존의 일반 강도 철근에 비해 배근량 감소로 인하여 부재에서 배근 간격에도 여유를 줄 수 있어 시공성 향상, 공기단축, 접합부 상세가 간소화 되는 장점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SD500, SD600 철근을 국내에서 설계되었거나 시공되어진 라멘 구조 형식의 지하주차장 건축물에 적용하여 각 부재별로 철근의 강도에 따른 순수 철근량에 대한 정착 및 이음 철근량 증감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계산된 철근의 정착 및 이음 물량은 사용철근의 강도가 증가함에 따른 정착 및 이음길이의 증가량과 순수 물량의 감소비율, 사용철근의 직경이 줄였을 때의 단면적 감소 등의 요인들에 의해 정착 및 이음 물량이 결정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순수 물량에 대한 정착 및 이음 물량의 비율이 SD400대비 SD500의 경우는 증가하였지만 SD500대비 SD600의 경우는 감소하였다. 이는 보의 정착 및 이음 물량이 전체 정착 및 이음 물량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한편 순수 물량에 대한 정착 및 이음 물량의 비율에서 SD400과 SD500의 차이와 SD400과 SD600의 차이가 미미하여 철근의 정착 및 이음 물량이 강도 증가에 따른 전체 철근 물량의 증감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구(뜸)요법이 뇌졸중환자의 요실금에 미치는 효과 - 예비조사 - (Effect of Moxibustion on Urinary Incontinence in Stroke Patients - pilot study -)

  • 김병은;이향련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7권1호
    • /
    • pp.82-9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xibustion on urinary incontinence, voiding performance, muscle strength of the hip and ADL in stroke pati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stroke patients hospitalized at the division of oriental medicine in K university Hospital in the period from December 26, 2001 to March 15, 2002. The research design was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pretest and posttest included measuring frequency of incontinence, voiding performance score, healthy and paralytic muscle strength of the hip, and the performance level for ADL after Moxibustion for one week.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package program with Wilcoxon Signed Ranks 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frequency of incontinence was decreased from 3.80(SD=3.41) to 2.10(SD=2.10) after Moxibustion, and tha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z=-3.803, p=.000). 2) The score of voiding performance was increased from 22.15(SD=12.04) to 30.65(SD=14.73) after Moxibustion, and tha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z=-3.828, p=.000). 3) The healthy muscle strength of the hip was increased from 25.97(SD=26.87) to 46.00 (SD=40.75) after Moxibustion, and tha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z=-3.183, p=.001). 4) The paralytic muscle strength was increased from 17.42(SD=27.04) to 33.58(SD=37.28) after Moxibustion, and tha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z=-2.315, p=.021). 5) The performance level for ADL was increased from 17.15(SD=9.52) to 24.60(SD=13.38) after Moxibustion, and tha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z=-3.416, p=.00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Moxibustion is effective for decreasing urinary incontinence, and improving voiding performance, muscle strength of the hip and ADL. Consequently, these findings showed that Moxibustion is effective in improvement of urinary incontinence in stroke patients.

  • PDF

잔디상토로서의 제지스럿지와 연탄재 이용에 관한 연구 (Use of Paper Mill Sludge and Briquet Ash as Root Zone Soil Mixtures for Thrfgrass Culture)

  • 구자영;김태일;안주원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22
    • /
    • 1992
  • To determine the use of waste materials as root zone soil mixtures for turfgrass culture, the effects of paper mill sludge and briquet ash on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growth of turfgrasses were examined. Three turfgrass species of zoysiagrass(Zoysia japonicaSteud.). kentycky bluegrass(Poa pratensis L. 'Ram I') and creeping bentgrass(Agrostis panistris Huds 'Persucross') were cultured in 32cm diameter plastic pots containing various soil mixtures. The basic ingredients used for mixtures included sand(SD), field soil(SL), paper mill sludge(PS), sphagnum peat moss(PM) and briquet ash(BA). Seven combinations using these ingreients were mixed in different percentage by volume as follows: SD+SL+PM(80:10.10), SH+SL+PS(80:10:10), SD-PM(80:20), SD+PS (80:20), SD+BA(80:20), SD+BA+PM(60:20:20) and SD+BA+PS(60:20:20). 1. Paper mill sludge showed pH of 6.6, more than 30% of organic matter content, and higher concentrations of total N, P, k, Ca, Mg and CEC. Bulk density, fild moisture capac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soil mixtures were increased by the comimation of 10~20% PS by volume. 2. Briquet ash showed pH of 8.0, and higher levels of P, k, Ca and Mg than those of field soiks. Bulk density, field moisture capacity and hardenss of soil mixtures were increased but vertical water flow rat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were decreased by the combination of 20% BA by volume. 3. Phytotoxic effects of PS and BA on growth of turfgrasses were not found. Shoot growth of all three species was higher in soil combination of SD+BA+PS than that of SD+SL+PM added with fertilizer. However, root growth was better in soil mixtures combined with PM. Soil mixtureomposed of 60% SD, 20% BA and 20% PS by volume was most effective on growth of all three species. 4. Paper mill sludge resulted in higher N level in the leaf tissue.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such as Cd and Ph did not vary significantly among soil mixtures and species. However, the Mn level was 2~3 times higher in plants growh in mixtures containing PM compared with others, and especially it was higher in creeping bentgrass than other species.

  • PDF

채취시기 및 가공방법에 따른 섬애약쑥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umaeyaksuk depending on harvest times and processing methods)

  • 최명효;강재란;심혜진;강민정;서원택;배원열;신정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99-407
    • /
    • 2015
  • 경남 남해군에 자생하는 고유품종으로 품종보호 등록된 섬애약쑥의 채취시기와 건조방법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을 평가하였다. 섬애약쑥은 5, 6, 7월에 동일한 재배지에서 수확한 후 각각을 12일 동안 음건(SD) 및 $60^{\circ}C$에서 7일간 숙성한 다음 $90^{\circ}C$에서 220분간 저장하여(AD) 건조하였다. 전처리방법을 달리하여 건조한 섬애약쑥의 유리당을 분석한 결과 glucose만이 검출되었으며 함량은 $0.42{\pm}0.02{\sim}0.43{\pm}0.01g/100g$$0.41{\pm}0.02{\sim}0.47{\pm}0.04g/100g$이었다.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AD($1.29{\pm}0.08{\sim}2.90{\pm}0.08g/100g$)와 비교하여 SD($1.85{\pm}0.09{\sim}3.45{\pm}0.14g/100g$)에서 더 높았다. 물 추출물을 31.5, 62.5, 125, 250, $500{\mu}g/mL$의 농도로 제조하여 항산화활성을 평가한 결과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SD 5월 시료와 AD 7월 섬애약쑥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FRAP도 이들 시료에서 여타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활성이 높았다. ${\beta}$-Carotene에 대한 탈색 저해활성도 SD의 5월과 AD의 7월 시료에서 각각 $25.53{\pm}2.85{\sim}81.43{\pm}2.56%$, $35.98{\pm}2.22{\sim}79.00{\pm}1.42%$로 가장 활성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 섬애약쑥은 5월 채취하여 음건하였을 때와 7월에 채취하여 숙성가공하였을 때 유용성분의 섭취가 더 용이하며,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어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