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1000D

검색결과 330건 처리시간 0.031초

S1000D Procedural 데이터모듈의 UML 기반 기술 방법 (An Approach to describing S1000D XML data using UML)

  • 최유희;박정호;장병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03-505
    • /
    • 2012
  • S1000D 명세 표준은 항공, 국방 등의 분야에서 기술 발간물을 기술하는 표준 형식으로 개발되었으며, 조선 분야에서도 이를 기반으로 Shipdex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S1000D는 SGML, XML 문서 포맷을 사용하며 장비 및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있다. S1000D에서 사용되는 문서 포맷인 XML이 여러가지 장점이 있으나, XML 구조나 XML 태그의 의미를 습득하고 있지 않으면 쉽게 파악 및 작성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1000D와 같은 XML 문서를 시각적 SW 모델링 언어인 UML을 이용하여 기술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EMS 측정용 광대역 전력 증폭기 설계기술에 관한 연구 (Design Technology of the Wideband Power Amplifier for 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 Measurement)

  • 조광윤;류근관;홍의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8B호
    • /
    • pp.1464-1471
    • /
    • 1999
  • EMS(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 시험 중, RF 복사내성 시험에 사용되는 전력증폭기는 80MHz~1000MHz 대역에서 IEC1000-4-3 규격에 맞는 특성을 가져야 한다. 본 논문은 전력 구동단과 고출력 증폭단으로 광대역 전력증폭기를 구성하였으며 임피던스 추정방법을 근간으로 한 광대역 정합 회로 기술과 출력 역반사로부터 증폭 소자를 보호할 수 있는 부정합 보호 회로 기술을 검토, 고찰하였다. 80HMz~300MHz 대역에서 설계, 제작된 전력 증폭기는 100watts 이상의 출력, 40dB 이상의 이득 및 $\pm$0.3dB의 출력 평탄 특성을 얻었으며, 20dBc 이상의 고조파억압 특성을 얻었다. 본 논문의 광대역 고출력 증폭기는 IECI1000-4-3 규격의 EMS 복사내성 시험에 이용할 수 있겠다.

  • PDF

고온초전도 전력케이블용 1000A급 multistrand conductor의 제조 및 특성분석 (Fabrication and the transportation properties of 1000A class multistrand conductor for HTS power cable)

  • 박성창;유재무;고재웅;김해두;강신철;정형식
    •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 /
    • 제3권1호
    • /
    • pp.115-119
    • /
    • 2001
  • For the fabrication of HTS power cable, multifilamentary Bi-2223/Ag tapes have been prepared using the powder-in-tube (PIT) process. After final heat treatment, these tapes have $I_{c}$ value of 43A, and$ J_{c}$ value of $28,000A/\textrm{cm}^2$(77K, 0T). Prototype 1000A class multistrand conductor(length~1m) was fabricated using these tapes(length~300m). This multistrand conductor was impregnated with low-temperature epoxy. The transportation properties of prototype 1000A class multistrand conductor has been evaluated at 77K, and yielding a current capacity up to 1200A.A.A.

  • PDF

식물생장억제제가 Creeping Bentgrass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owth Retardants on the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 김석준;손기철;김두환;이재필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73-182
    • /
    • 1998
  • 골프장 그린에 이용되는 creeping bentgrass 'Penncross'의 여름철 그린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식물생장억제제인 chlormequat chloride(C) 250, 500, 1000배액, daminozide(D) 50, 100, 200배액, paclobutrazol(P) 1000, 2000, 4000배액, trinexpac-ethyl(T) 1000, 2000, 4000배액 그리고 uniconazole(U) 25, 50, 100배액을 엽면 처리하여 생장과 품질을 조사하였다. 엽장과 엽폭, 그리고 포복경의 절간길이는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억제되었는데 엽장은 D-50에서 포복경의 절간길이는 T-2000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잎두께는 C-250, D-50, T-2000과 T-4000에서 가장 좋았으며 단위면적당 직립경수로 조사한 직립경의 밀도 증가는 P-2000과 4000에서 가장 효과적이었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 대조구에 비해 15∼20% 정도 증가하였다. 전체 건물중은 P-2000과 4000에서 증가된 반면 잎 건물중은 T-4000, U-25와 50에서 높게 나타났고 나머지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와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잔디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시각적 평가 결과 P, T 그리고 U에서는 황변현상이 나타나 녹색유지에는 적합치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C-250, D-50, 그리고 T-4000은 실용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고려되며 여름철 골프장 그린관리를 위해 식물생장억제제의 적용은 크리핑 벤트그라스의 직립경의 밀도를 증가시키고 잔디깎기 회수를 줄이며 여름철 그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카약 1000m 경기 랩타임 분석을 통한 경기력 향상 방안 모색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Athletic Performance by Analyzing Lap Times in Kayak 1000m Sprint)

  • 신광택;손지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01-307
    • /
    • 2019
  • 본 연구는 카약 K-1 1000m 경기에서 우수선수 그룹과 비우수선수 그룹의 랩타임을 비교 분석한 후 경기력 향상을 위한 페이스 조절 전략에 대한 조언을 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1000m 전체 경기구간을 100m 씩 10개 구간으로 나누어 측정한 후, 200m 단위로 랩타임을 분석하였다. 측정은 엘리트 카약 선수 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최종 기록 순위를 기준으로 A그룹(최상위 그룹), B그룹(차상위 그룹), C그룹(차하위 그룹), D그룹(최하위 그룹)으로 나누어 그룹별-구간별 랩타임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해 반복측정분석,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A vs. C, B vs. C 그룹 간 스타트 구간(0~200m)과 스퍼트 구간(800~1000m)은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200~400m, 400~600m 구간에서 랩타임 차이가 유의하게 났다. D그룹은 전 구간에서 전반적으로 경기력이 떨어졌다. 비우수선수의 경우, 중간 구간에서의 랩타임 기록 향상을 위한 페이스 조절 전략 수정이 필요하다.

유묘기 양배추류에서 메틸자스모네이트에 의한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 변화 및 전사체 발현 분석 (Effect of methyl jasmonate on the glucosinolate contents and whole genome expression in Brassica oleracea)

  • 이정여;민성란;정재은;김혜란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189-20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묘기 TO1000DH3와 Early big에서 MeJA 처리에 의해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 변화 및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mu}M$ 농도의 MeJA를 처리하여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을 분석한 결과, 글루코시놀레이트 총 함량이 처리 전보다 TO1000DH3에서 1.3~1.5배, Early big에서 1.3 ~ 3.8배 증가하였다. 알리패틱 글루코시놀레이트인 progoitrin과 gluconapin은 TO1000DH3에서만 검출되었으며, neoglucobrassicin 성분의 함량 변화가 MeJA 처리 48시간 후 TO1000DH3와 Early big에서 가장 크게 증가되었다. 전사체 분석을 통해 TO1000DH3에서는 stress나 defense 반응에 관여하거나, 생장과 관련된 전사체가 특이적으로 발현하고, Early big에서는 nucleoside 또는 ATP 생합성 관련 전사체가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eJA를 처리함에 따라 발현이 2배 이상 변한 전사체를 TO1000DH3에서 12,020개, Early big에서 13,510개를 선발하여 GO 분석한 결과 stimulus, chemical에 반응하는 전사체의 발현이 공통적으로 증가하였고, single-organism 및 ribosome 합성 관련 전사체의 발현이 공통적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glucobrassicin, neoglucobrassicin 함량과 연관되어 발현이 증가한 인돌릭 글루코시놀레이트 생합성 관련 전사체의 발현이 모두 증가하였다 (MYB34 (Bo7g098110), IGMT2 (Bo8g070650), CYP81D1 (Bo6g056440), CYP81D4 (Bo7g118500), CYP81F4 (Bo1g004730, Bo01007s020), CYP81G1 (Bo4g154660), CYP83B1 (Bo8g024390) 및 CYP91A2 (Bo1g003710)). 글루코시놀레이트 생합성 경로 관련 유전자를 대표하는 전사체 104개를 선발하여 발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 transcription factor에 속하는 MYB28, MYB51의 발현은 MeJA 처리 전에 비해 처리 후 발현양이 감소하였지만, 대부분의 전사체의 발현은 MeJA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다. MeJA 처리에 의해 AOP3 (Bo9g006220, Bo9g006240), TGG1 (Bo14804s010)는 TO1000DH3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이 증가하였고, Dof1.1 (Bo5g008360), UGT74C1 (Bo4g177540), GSL-OH (Bo4g173560, Bo4g173550, Bo4g173530)는 Early big 특이적으로 발현이 증가하였다. MeJA 처리 전 두 계통에서 발현이 가장 높은 글루코시놀레이트 생합성 관련 유전자는 GSTU20이었고, MeJA 처리에 의해 12시간 후TO1000DH3에서 CYP79B2 (Bo7g118840), Early big에서는 CYP79B3 (Bo4g149550)의 발현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Schema of Maintenance Data Exchange and Implementation Applied To Ship & Offshore Platform

  • Son, Gum Jun;Lee, Jang Hyun
    • Journal of Advanced Research in Ocean Engineering
    • /
    • 제4권3호
    • /
    • pp.96-104
    • /
    • 2018
  • The importance of data management for the efficient maintenance and operation of offshore structure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is paper has discussed the data schema and business rules that standardize the data exchange between ship design, operation and maintenance. Technical documentation that meets the international standards of ShipDex and S1000D for exchanging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data in neutral or standard formats has been introduced into the life cycle management of ships. The schema of the data exchange is represented by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and the lifecycle data is implemented by a structured document. Lifecycle data is represented as data modules defined by XML schema. Given the feasible data generation, an example of a technical document is introduced by a general XML authoring tool.

Technological Catching-up of Nuclear Power Plant in Korea: The Case of OPR1000

  • Lee, Tae Joon;Lee, Young-Joon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5권1호
    • /
    • pp.92-115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how Korea succeeded in developing an indigenous nuclear power plant model over fifty years. Long-lasting national R&D for technical progress and the Korean government for managerial process were the two pillars in the build-up of indigenous Nuclear Power Plant (NPP) technological capabilities. The concept of technological capabilities is used to examine its evolutionary process with a qualitative and longitudinal approach. The government had a developing country ambition to formulate a strategic plan for technical self-reliance on nuclear power plant while establishing the country’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 structure for the plan. Under the government leadership, it was national R&D that led to the resolution of a good number of technological problems, efficiently, by absorbing imported technologies and effectively adapting them to local circumst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