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10

검색결과 177,990건 처리시간 0.116초

CUBIC SYMMETRIC GRAPHS OF ORDER 10p3

  • Ghasemi, Mohsen
    • 대한수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41-257
    • /
    • 2013
  • An automorphism group of a graph is said to be $s$-regular if it acts regularly on the set of $s$-arcs in the graph. A graph is $s$-regular if its full automorphism group is $s$-regular. In the present paper, all $s$-regular cubic graphs of order $10p^3$ are classified for each $s{\geq}1$ and each prime $p$.

무기 토양개량제가 골프장 그린의 크리핑 벤트그래스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organic Soil Amendment on Growth of Creeping Bentgrass(Agrostis palustris) in Golf Course)

  • 이재필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0-115
    • /
    • 2012
  • 본 실험은 무기 토양개량제가 골프장 그린의 지반 조성용으로 사용 시 크리핑 벤트그래스 '펜크로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2005년 5월부터 12월까지 신원골프장 너스리에서 수행되었다. 조사내용은 토양 pH, 비중, 보수력, 투수계수, 경도, 뿌리길이, 잔디 분얼경 밀도, 건물중을 조사하였다. 무기 토양개량제 처리구의 토양 pH는 잔디 생육에 적합한 6.7~6.8, 토양비중은 S 100%처리구가 1.48로 다른 처리구 1.28-1.38내외보다 무거웠다. 투수속도는 ZC 15%+P 5%+S 80%와 ZC 10%+S 90% 처리구가 USGA 기준보다 2-4배 빨랐다. 토양 경도는 S 100%에서 가장 높았다. 뿌리길이는 무기 토양개량제가 혼합된 ZC10%+S90% 처리구가 7.6~10.0 cm로 가장 길었다. 여름철 생육 부적기의 잔디밀도는 P 5%+S 95%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분얼경수가 4-7개 더 많았으며, 생육 적기에는 ZC 10%+P 5%+S 85% 처리구가 2-3개 많았으며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생육 부적기 건물중은 ZC 10%+P 5%+S 85% 처리구가 가장 무거웠으며, 생육 적기의 건물중은 P 5%+S 95% 처리구가 가장 무거웠다. 따라서 USGA 그린 조성 시 혼합층에 무기 토양개량제를 단독(5-15%) 사용 것보다 피트모스(5%)와 혼합하여 사용한다면 그 효과는 상승할 것으로 판단된다.

혼화재료를 고려한 압축 및 인장상태에서 콜드조인트 콘크리트의 투수성 평가 (Permeability Evaluation in Cold Joint Concrete with Mineral Admixture under Compressive and Tensile Loading)

  • 최세진;김성준;문진만;권성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76-58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하중조건과 혼화재료의 영향을 고려하여 콜드조인트를 가진 콘크리트의 투수성을 정량적으로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물-결합재비 0.6과 40%의 고로슬래그 미분말 치환률을 가지는 콘크리트 시편에 콜드조인트 콘크리트를 유도하였으며, 압축영역에서는 최대응력의 0%, 30%, 60%, 인장영역에서는 최대응력의 60%로 하중수준을 고려하여 투수성을 평가하였다. OPC 콘크리트 투수계수는 Control에서 $2.41{\times}10^{-11}m/s$로 평가되었는데, 압축하중 30% 조건에서 $2.07{\times}10^{-11}m/s$로 감소하였으나 60% 조건에서는 $2.36{\times}10^{-11}m/s$로 증가하였다. 또한 GGBFS 콘크리트의 투수계수는 각각 $2.17{\times}10^{-11}m/s$, $1.65{\times}10^{-11}m/s$, $1.96{\times}10^{-11}m/s$로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인장영역에서는 OPC 배합의 투수계수는 Control에서 $2.37{\times}10^{-11}m/s$ 였으나 60% 조건에서 $2.67{\times}10^{-11}m/s$ 로 증가하였다. 또한 GGBFS 콘크리트에서는 각각 $2.17{\times}10^{-11}m/s$, $2.24{\times}10^{-11}m/s$로 평가되었다. 압축응력 조건에서 투수성은 하중의 증가에 따라 초기에 감소하다가 증가하였으며, 인장응력 재하시에서는 빠른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는 콘크리트내의 공극구조가 하중의 증가에 따라 압밀되고 이후 미세균열발생으로 인해 투수성이 증가하게 된다.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고로슬래그 미분말, 하중조건, 콜드조인트는 투수성을 크게 변동시키므로 이를 고려한 투수성 평가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mylase 분비효모와 alcohol 발효효모의 세포융합에 의한 균주의 개발 제1보. S. cerevisiae와 S. diastaticus간의 세포융합 및 융합체의 성질 (A study on strain improvement by protoplast fusion between amylase secreting yeast and alcohol fermenting yeast I.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usant between S. cecevisiae and S. diastaticus)

  • 서정훈;김영호;전도연;이종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05-310
    • /
    • 1986
  • 본 연구의 목적은 yeast중 glucoamylase를 분비하는 S. diastaticus와 발효성 효모인 S. cerevisiae 간의 세포융합을 하여 당화와 발효의 두 공정을 단일화하는데 있다. 각각의 Parental protoplast를 1:1로 섞은 후 PEG(M W. 4,000) 30%와 10mM CaCl$_2$용액으로 fusion시킨 결과 $10^{-4}$~$10^{-5}$ 빈도였으며, 총 fusant중 HSDD의 경우 24%, HSDM은 36.8%가 2 회의 subculture로 친주 유리의 auxotrophic cell로 segregation하였고, glucoamylase 생성 균주 중 HSDD는 9.7%, HSDM은 12.7%만이 S. diastaticus 야생주 수준의 효소 생성을 보였다. 이들 fusant의 특징을 조사해 본 바 원 Parent보다 세포의 크기가 클 순 아니라 DNA함량도 많았으며 S. cerevisiae가 spore을 전혀 형성하지 못한데 반해 융합체들은 spore을 잘 형성하였다. 이들의 fusant중 유전안정성 이 높고 glucoamylase 생성능도 강한 HSDD-170과 HSDM-119를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 PDF

Synthesis of Nuclophilic Adducts of Thiols (Ⅵ). Addition of L-Cystein to $\beta,\;\beta$-Diethoxycarbonylstyrene Derivatives

  • kim, Tae-Rin;Cho, Bong-Rae;Choi, Sung-Yong;Choi, Won-Si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5권6호
    • /
    • pp.215-218
    • /
    • 1984
  • A series of S-(2,2-diethoxycarbonyl-1-phenylethyl)-L-cysteine derivatives (10a-e) were synthesized from the reaction of $\beta$$\beta$-diethoxycarbonylstyrene with L-cysteine in 1:1 aqueous methanol. Thus, S-(2,2-diethoxycarbonyl-1-phenylethyl)-L-cysteine( 10a), S-[2,2-diethoxycarbonyl-1-(3',4'-methylendioxy)ph enylethyl]-L-cysteine (10b), S-[2,2-diethoxycarbonyl-1-(3',4',5'-trimethoxy)phe nylethyl]-L-cyseine (10c), S-[2,2-diethoxycarbonyl-1-(p-hydroxy)phenylethyl] -L-cysteine (10d), S-[2,2-diethoxycarbonyl-1-(p-methoxy)phenylethyl] -L-cysteine (10e) were obtained in moderate to excellent yields. The structure of the adducts was characterized by analytical and spectral data. The effects of pH upon the product yields were also briefly examined.

불포화토 칼럼시험을 통한 연속강우와 반복강우의 강우침투속도 분석 (Analysis of Rainfall Infiltration Velocity in Unsaturated Soils Under Both Continuous and Repeated Rainfall Conditions by an Unsaturated Soil Column Test)

  • 박규보;채병곤;박혁진
    • 지질공학
    • /
    • 제21권2호
    • /
    • pp.133-145
    • /
    • 2011
  • 본 연구는 불포화 풍화토별 강우지속시간 및 비강우시간에 따른 강우침투속도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산사태 발생빈도가 높은 선캠브리아기 편마암 풍화토와 백악기 화강암 풍화토를 대상으로 불포화 풍화토 칼럼시험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체적함수비를 측정하기 위하여 함수비 측정 TDR센서를 이용하였다. 강우강도 조건은 20 mm/h로 선정하여 연속강우와 반복강우를 재현하였으며, 반복강우의 경우 강우시간과 비강우시간을 조절하였다. 그리고 흙의 단위중량 조건은 편마암 풍화토의 경우 현장 건조단위중량보다 낮고 칼럼상부유출이 일어나지 않는 1.35 $g/cm^3$, 화강암 풍화토의 경우 현장 건조단위중량인 1.21 $g/cm^3$로 선정하였다. 편마암 풍화토와 화강암 풍화토 총 강우량 200 mm인 조건에서 $2.090{\times}10^{-3}{\sim}2.854{\times}10^{-3}$ cm/s와 $1.692{\times}10^{-3}{\sim}2.012{\times}10^{-3}$ cm/s로 총 강우량 100 mm에서의 $1.309{\times}10^{-3}{\sim}1.871{\times}10^{-3}$ cm/s와 $1.175{\times}10^{-3}{\sim}1.581{\times}10^{-3}$ cm/s보다 강우침투속도가 빠르게 나타났다. 이는 동일 시간당 토층 내 주입되는 물의 양이 200 mm조건에서 100 mm조건보다 많기 때문이다. 완전 건조 상태의 강우침투속도와 강우가 반복되어 물을 함유하고 있는 상태의 강우 재침투속도를 비교해 보면, 편마암 풍화토와 화강암 풍화토의 최초 강우침투속도인 $1.309{\times}10^{-3}{\sim}2.854{\times}10^{-3}$ cm/s와 $1.175{\times}10^{-3}{\sim}2.012{\times}10^{-3}$ cm/s보다 강우 재침투속도가 $1.307{\times}10^{-2}{\sim}1.718{\times}10^{-2}$ cm/s와 $1.789{\times}10^{-2}{\sim}2.070{\times}10^{-2}$ cm/s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토층 내 공기의 함입량이 줄어들어서 불포화 투수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흡입력(matric suction)이 감소한 것이 원인으로 생각된다.

S-100 메타데이터의 OWL기반 온톨로지 변환 구현 (S-100 Metadata Conversion Design of the OWL-based Ontology)

  • 박수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2333-2339
    • /
    • 2011
  • 해양 분야에서는 최근 e-navigation 실현을 위한 차세대 표준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IHO(국제수로기구)를 중심으로 전자해도뿐만 아니라 해양의 지리 정보 및 관련 데이터의 교환, 공유, 활용할 수 있도록 S-100기반 다양한 표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다양한 데이터를 통합하여 안전운항을 위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프로파일링을 통해 S-101, S-102, S-10x 등 다양한 표준 프로파일이 만들어지면 각 표준에서 정의하는 데이터 모델의 요소를 일관성 있고 명확하게 해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S-10x 표준의 기반이 되는 S-100 표준을 일관된 의미 해석과 처리를 할 수 있도록 S-100 표준의 메타데이터를 온톨로지로 변환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IEEE 802.3ae 10 Gb/s 이더넷의 표준화 동향

  • 이동은;조상엽
    • 전자공학회지
    • /
    • 제29권10호
    • /
    • pp.1175-1175
    • /
    • 2002
  • 2002년 6월, IEEE 802.3ae 10Gb/s 이더넷이 표준으로 승인되었다. 10 Gb/s 이더넷은 MAC 부계층과 물리계층을 통합한 규격으로 전이중 방식 및 광섬유 매체만을 제공한다. 기존 이더넷과 동일한 프레임 형식을 사용하고, LAN 물리계층과 WAN 물리계층까지 지원하고 있다. 따라서 LAN, MAN, WAN 영역에서 10Gb/s의 높은 속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존의 이더넷과 투명하게 통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10 기가비트 이더넷의 MAC 부계층과 물리계층 및 최근 기술 동향을 살펴본다.

IEEE 802.3ae 10Gb/s 이더넷의 표준화 동향

  • 이동은;조상엽
    • 전자공학회지
    • /
    • 제29권10호
    • /
    • pp.29-38
    • /
    • 2002
  • 2002년 6월, IEEE 802.3ae 10Gb/s 이더넷이 표준으로 승인되었다. 10 Gb/s 이더넷은 MAC 부계층과 물리계층을 통합한 규격으로 전이중 방식 및 광섬유 매체만을 제공한다.기존 이더넷과 동일한 프레임 형식을 사용하고, LAN 물리계층과 WAN 물리계층까지 지원하고 있다. 따라서 LAN, MAN, WAN 영역에서 10Gb/s의 높은 속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존의 이더넷과 투명하게 통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10 기가비트 이더넷의 MAC 부계층과 물리계층 및 최근 기술 동향을 살펴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