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 sonnei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9초

소아에서 집단 발병한 세균성 이질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Observation on Childhood Shigellosis Occurred in Mass Outbreak)

  • 이수진;유영;김신나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5권1호
    • /
    • pp.33-38
    • /
    • 2002
  • 목적: 세균성 이질은 항생제의 도입과 환경 위생의 개선으로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최근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학교와 사회복지시설의 단체 급식을 매개로 한 집단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세균성 이질로 확진되어 치료받았던 환아에 대해 그 발병 양상 및 임상 경과를 관찰하였다. 방법: 2001년 12월과 2002년 1월에 걸쳐 서울시립동부병원 소아과에 입원했던 이질 환아 22명을 대상으로 역학적 분석과 임상적 세균학적 관찰을 하였다. 결과: 1) 남아가 11명, 여아가 11명으로 남녀비는 1:1이었고, 연령은 14개월에서 11세까지로 평균 $5.5{\pm}1.4$세였다. 2) 임상 증상은, 설사 21명(95.5%), 고열 2명(10.0%), 무증상 1명(4.5%)의 순으로 많았으며, 증상의 지속 기간은 1일에서 12일까지로 평균 $3.9{\pm}2.1$일이었다. 합병증은 없었으며 혈액 검사 소견상 정상이었다. 3) Rectal swab에서 모두 S. sonnei가 배양되었으며, TMP/SMX와 ampicillin에 내성을, ampicillin/sulbactam과 3세대 cephalosporins에 감수성을 보였다. 4) 5일간 전해질 및 수분 공급의 보존적 치료와 항생제(Unasyn) 치료를 병행한 후, 증상이 호전되었으며 대변 배양 검사에서 음성으로 나왔다. 5) 어린이집 내에서 집단 발생하였으며, 가족내 2차 감염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결론: 본 보고에서의 세균성 이질은 어린이집에서 2차 감염에 의한 것으로, S. sonnei에 의한 경증 감염이었고 항생제(Unasyn) 치료 후 호전되었다.

  • PDF

장내세균 5종의 Endotoxin 정량 비교 (Comparison of Quantitative Endotoxin against 5 Species of Enterobacteriaceae)

  • 권필승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24-129
    • /
    • 2016
  • 세균내독소는 lipopolysaccharide (LPS)라고 불리우며, 그람음성 세균의 세포벽에 존재하는 물질로 어느 생체재료나 액체에 존재할 수 있다. 세균내독소가 혈액으로 침투되면 발열 및 염증을 유발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장내 그람음성세균인 Escherichia coli O157:H7, Klebsiella oxytoca, Salmonella Typhi, Shigella sonnei, Morganella morganii의 LPS 양을 비교하려 하였다. 각 세균은 배양한 후 $1.5{\times}10^8CFU/mL$ 농도로 희석하여 동일한 농도로 하였으며 실험의 정당성을 위하여 LAL시약의 표시감도확인시험을 진행하였다. 10 fold dilution 후 1차 시험을 하여 각 균의 반응 end point를 확인하고 바로 윗단계 희석배수 사이에서 2 fold dilution하여 균의 최종 반응 end point를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E. coli O157은 75~37.5 CFU/mL, K. oxytoca는 37.5~18.75 CFU/mL, M. morganii와 S. Typhi는 3.75~1.875 CFU/mL, S. sonnei는 7.5~3.75 CFU/mL에서 0.015 EU/mL 이상의 endotoxin이 검출되었다. 최종적으로 억제인자에 대한 확인시험을 진행하여 결과값을 보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세균내독소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원한다.

최근 5년 동안 국내에서 분리된 Shigella sonnei의 항균제 내성 유형과 내성유전자형 분석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s and Resistance genes assay of Shigella sonnei Isolated in Korea for Five Years)

  • 허완;이상조;권기석;장종옥;이중복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1-39
    • /
    • 2007
  • 2000-2004년 국내에서 분리된 S. sonnei 135주를 선별하여 16종의 항균제 내성 유형, $bla_{TEM}$, suulII, tetA, strA등의 내성유전자형을 PCR등의 방법으로 항생제내성 표현형과 유전자형의 유연관계를 파악하였다. 균주들의 생화학적 성상은 전형적 인 이질성 세균의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biotyping에서는 g type이 58.5%(79주), a type이 40.0%(54주), e type이 1.5%(2주)로 나타났다. 항균제 16종의 항균제 내성 패턴은 AN, CIP, C, GM등의 약제에는 감수성을 보였으나, SXT 약제에는95.6% (129주), TE 약제에는 93.3% (126주), SM에는 90.4% (122주)등의 순으로 내성을 나타내었다. 두 가지 이상 약제 내성균이 97.8% (132주), 그 중에서 R28 (AM, SAM, TE, TIC, SXT, K, SM, AmC : 8제 약제 내성) 형이 31.1% (42주)를 차지하였으며, 33가지 형태의 다양한 내성 패턴을 나타내었다. $bla_{TEM}$, sulII, tetA 및 strA등의 내성유전자 분포에서는 Disk diffusion법에서 내성을 보인 경우에는 모두 각각의 유전자 증폭산물이 검출되었다.

1999년 봉화군 일개 중.고등학교에서 발생한 세균성이질에 관한 역학조사 (Epidemiologic Investigation of an Outbreak of Shigella sonnei among Students in Bonghwa, 1999)

  • 배근량;임현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3권1호
    • /
    • pp.10-16
    • /
    • 2000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ources of infection and modes of transmission of an outbreak of shigellosis that occurred among students of B middle and high school in Bonghwa, Korea from May 1 to 21, 1999. Methods : We conducted questionnaires to 468 students, 38 stalls and 9 food handlers twice times (May 6, May 21) for follow up and secondary attack rate. Personal details and history of illness and exposure to particular foods were sought. And we conducted rectal swab for culture to 243 students, 33 staffs and 9 food handlers. Bacteriological examinations of water in the school were done. Cases were identified as subjects who had diarrhea (two or more loose stools in a 24-hour periods) on or after May 1. Results : A total of 307 cases (attack rate: 59.6%) of 515 subject were identified, including 50 confirmed (46 students and 4 staffs) by S. sonnei. All 9 food handlers denied illness and were had rectal swab for culture at May 6 that were negative for S. sonnei. 146 of 307 reported fever, 156 had tenesmus, 44 reported vomiting, and only 5 of 307 reported blood in the stool. The median duration of diarrhea was 4 days (range: 1-18 days). The mean incubation period until onset of diarrhea was 63 hours (range: 46-144 hours) and the secondary attack rate was 2.8% (43 cases of 1,561 family members). Risk for illness was higher among students who had eaten watered kimchi at March 30 than among those who did not [301(72.7%) of 417 versus 5(9.6%) of 52; RR=7.51;95% CI=3.26-17.31]. Conclusion : The source of infection was estimated to be contaminated watered kimchi by ore or two food hardier who is presumed to be carrier.

  • PDF

Antimicrobial Effect of Emodin Isolated from Cassia tora Linn. Seeds against Food-Borne Bacteria

  • Lee, Na-Hyun;Lee, Sang-Min;Song, Da-Hyun;Yang, Ji-Yeon;Lee, Hoi-Se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6권3호
    • /
    • pp.187-189
    • /
    • 2013
  •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modin and its derivatives (anthraquinone, alizarin, and alizarin-3-methyliminodiacetic acid) were evaluated using a paper disc diffusion method against foodborne bacteria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intermedius, Salmonella typhimurium and Shigella sonnei). Emodin isolated from C. tora seeds has an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illus cereus, followed by alizarin-3-methyliminodiacetic acid ($13.0{\pm}2.5mm$) and alizarin ($11.5{\pm}1.2mm$). Furthermore, emodin show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 sonnei and S. typhimurium. In conclusion, C. tora seed and its active component derivatives ar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natural products on food supplemental agents and pharmaceuticals.

황금탕 및 황금추출물의 식중독 세균들에 대한 생육억제 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Whangkumtang Extract and Scutellariae Radix Extract on the Food-Borne Pathogens)

  • 서진종;이종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606-1610
    • /
    • 2005
  • 각종 식중독의 원인균으로 중요시되는 11종의 균주에 대해서 황금탕 및 황금 추출물의 항균력을 검토한 결과, 황금탕 추출물은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higella sonnei, Shigella flexneri, Salmonella Typhimurium,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Escherichia coli O111 및 Escherichia coli O126에서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황금 추출물은 Staphy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higella sonnei, Shigella flexneri, Salmonella Typhimurium,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Escherichia coli O111, Escherichia coli O126 및 Escherichia coli O157에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해서는 황금탕 및 황금 추출물 모두 항균력이 없었고, Escherichia coli O157에 대해서는 황금탕 추출물은 항균력이 없었으나, 황금 추출물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황금탕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Staphyloccus aureus와 Bacillus cereus에서 40 mg/mL, Shigella flexneri 와 Salmonella Enteritidis에서 100 mg/mL이었고, 황금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Bacillus cereus에서 10 mg/mL, Staphylococcus aureus, Shigella flexneri 및 Salmonella Enteritidis에서 20 mg/mL이었으며, 황금탕 및 황금 추출물 모두 Staphyloccus aureus와 Bacillus cereus에 대해 48시간까지 배양하는 동안 최소저해농도 이상에서는 균이 거의 생육하지 못하였다. 이상에서 황금탕 추출물보다는 황금 추출물의 항균력이 더 강하며, 황금탕 추출물의 식중독 세균들에 대한 항균력은 황금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항균력이 확인된 세균으로 인한 각종 식중독에 황금탕의 사용 가능성을 고려할 만하며, 황금 추출물에 대한 천연 식품 보존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김치로부터 분리한 젖산균의 다양성과 항균성 (Divers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김사열;안대경;한태원;신현영;진익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91-196
    • /
    • 2003
  • 본 연구는 김치로부터 분리한 젖산균의 다양성과 항균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희석한 김치 국물을 CaCO$_3$가 첨가된 MRS 고체 배지에 도말 한 후, $25^{\circ}C$에서 2일 동안 배양하여 여러 가지 김치로부터 27가지의 젖산균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한 젖산균들을 Bergey 분류법과 BPB 배지를 통한 생화학적인 방법과 16S rDNA PCR을 이용한 분자 생물학적인 방법으로써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들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이들 분리 젖산균은 16S rDNA 부분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Leuconostoc mesenteriodes(11균주), Leu. carnosum(3균주), Lactobacillus curvatus(8균주), Lac. pentosus(2균주), Weisselia kimchi(1균주), W. cibaria(1균주), Pediococcus pentosaceus(1균주) 등의 것과 각각 매우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들중 Leu. carnosum은 이전에 김치에서 분리되었다고 보고된 바가 없다. 그리고 이들 김치에서 분리 동정한 균들의 항균작용 활성을 검사 해 본 결과 균주에 따라서 활성의 정도는 다르게 나타났으나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 S. paratyphica, S. typhi, Staphylococcus aureus, Shigella boydii, S. sonnei 등에 대해 뚜렷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식중독 세균에 대한 Oleanolic Acid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Oleanolic Acid for Foodborne Bacteria)

  • 최경희;김세정;윤요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8-102
    • /
    • 2015
  • Oleanolic acid는 다수의 식물 종에서 분리 되어 왔고 주로 유해한 영향이 없는 과일과 약초에 존재하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많은 나라에서 안전하게 소비되고 있으며, 현재는 화장품이나 약품에 사용되고 있다. Oleanolic acid는 peptidoglycan을 표적으로 하기 때문에 petidoglycan이 세균외막에 덮여있는 그람음성세균인 E. coli, Y. enterocolitica, S. flexneri, S. sonnei와 같은 세균에는 뚜렷한 oleanolic acid 항균활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하지만 oleanolic acid의 유도체를 사용할 경우 그람음성세균에 대한 항균활성도 증가하였다. 반면 S. aureus와 L. monocytogenes와 같은 그람양성세균의 경우 peptidoglycan층이 세균외막에 덮여 있지 않기 때문에 oleanolic acid에 매우 민감하였다. 또한 oleanolic acid는 사람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에서도 그 독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에 식중독 세균제어를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이 결과들은 식품에 적용되거나 항생제 대체를 위한 치료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977년(年) 대구(大邱)에서 분리(分離)한 Salmonella 및 Shigella의 항균제(抗菌劑) 감수성(感受性)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Salmonella and Shigella Isolated in Taegu Area in 1977)

  • 박문재;전도기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1-36
    • /
    • 1978
  • 1977년(年) 대구지방(大邱地方)에서 분리(分離)한 20주(株)의 Salmonella paratyphi A, 55주(株)의 S. typhi, 7주(株)의 Shigella flexneri, 14주(株)의 Sh. sonnei에 대(對)하여 항균제감수성(抗菌劑感受性)을 실험(實驗)하였다. S. paratyphi A는 전부(全部)가 salfisomidine(Sa)에 내성(耐性)이었으나 기타공시약제(其他供試藥劑)에는 전부(全部)가 감수성(感受性)이었고 특(特)히 gentamicin, amikacin, kanamycin에 감수성(感受性)이 강(强)하였다. S. typhi는 1주(株)가 chloramphenical(Cm), tetracycline(Tc), streptomycin(Sm) 및 Sa에 내성(耐性)이었고 R(Cm Tc Sm Sa)를 보유(保有)하고 있었으나 기타(其他) 균주(菌株)는 모든 약제(藥劑)에 감수성(感受性)이었고 특(特)히 ampiallin에 감수성(感受性)이 강(强)하였다. Shigella는 1주(株)를 제외(除外)한 20주(株)가 Cm, Tc, Sm 및 Sa에 고도내성(高度耐性)이었으며 기중(其中) 19주(株)가 plasmid R(Cm Tc Sm Sa)를 보유(保有)하고 있었다.

  • PDF

Long-Term Monitoring of Noxious Bacteria for Construction of Assurance Management System of Water Resources in Natural Status of the Republic of Korea

  • Bahk, Young Yil;Kim, Hyun Sook;Rhee, Ok-Jae;You, Kyung-A;Bae, Kyung Seon;Lee, Woojoo;Kim, Tong-Soo;Lee, Sang-Seob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10호
    • /
    • pp.1516-1524
    • /
    • 2020
  • Climate change is expected to affect not only availability and quality of water, the valuable resource of human life on Earth, but also ultimately public health issue. A six-year monitoring (total 20 times) of Escherichia coli O157, Salmonella enterica, Legionella pneumophila, Shigella sonnei, Campylobacter jejuni, and Vibrio cholerae was conducted at five raw water sampling sites including two lakes, Hyundo region (Geum River) and two locations near Water Intake Plants of Han River (Guui region) and Nakdong River (Moolgeum region). A total 100 samples of 40 L water were tested. Most of the targeted bacteria were found in 77% of the samples and at least one of the target bacteria was detected (65%). Among all the detected bacteria, E. coli O157 were the most prevalent with a detection frequency of 22%, while S. sonnei was the least prevalent with a detection frequency of 2%. Nearly all the bacteria (except for S. sonnei) were present in samples from Lake Soyang, Lake Juam, and the Moolgeum region in Nakdong River, while C. jejuni was detected in those from the Guui region in Han River. During the six-year sampling period, individual targeted noxious bacteria in water samples exhibited seasonal patterns in their occurrence that were different from the indicator bacteria levels in the water samples. The fact that they were detected in the five Korea's representative water environments make it necessary to establish the chemical and biological analysis for noxious bacteria and sophisticated management system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