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 japonica

검색결과 1,336건 처리시간 0.032초

메뚜기류 추출물의 염증 조절작용 및 세포사멸보호 효과 (Anti-inflammatory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n Hydrogen Peroxide-induced Cytotoxicity of Grasshopper Extracts)

  • 박자영;허진철;우상욱;윤치영;강석우;황재삼;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96-802
    • /
    • 2006
  • 항산화능이 있는 곤충 추출물을 검색하기 위하여 초고속 스크리닝 시스템을 이용하여 몇 가지의 hit를 검색하였다. 메뚜기를 각 용매별 (DW, DMSO, Ethanol, Methanol)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들 추출물의 항산화능 검색과 함께 과산화 수소의 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항산화 관련 실험인 DPPH, FRAP assay의 경우 실험에 사용된 모든 메뚜기류의 모든 에탄올과 메탄을 추출물에서 $50{\sim}60%$ 정도의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SH-SY5Y cells를 이용한 과산화 수소로 유도된 세포독성에 대해서는 과산화 수소만 처리한 세포의 생존율이 14% 정도인데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의 생존율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벼메뚜기의 DW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생존율이 50% 정도로 증가하여 높은 세포보호효과를 보였다. 또한 항산화 실험과 연관지어 염증관련 분자 표적 유전자인 Cox-2의 억제능을 살펴보기 위해 Cox-2 promoter assay를 실시하였는데 DMSO 추출물에서 좋은 활성을 보였을 뿐 다른 추출물에서는 억제능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는 메뚜기류 추출물이 천연 항산화제를 이용하는 기능성 소재에 적합한 천연물질이라는 것을 보여준 것으로 앞으로 생물활성과 유용성분의 분리정제를 통해 순수 물질을 확보하여 보다 많은 연구 결과의 축적이 필요하다.

참마와 명아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Dioscorea japonica and Chenopodium album)

  • 김신애;최수철;윤영한;고창인;하영순;이인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37-34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참마와 명아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참마와 명아주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free radical 소거활성,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실험을 수행하였다. 참마와 명아주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EC_{50}$)에서 각각 2.386, 0.524 mg/mL로 측정되었다. 또한 참마와 명아주 추출물의 혼합 시료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참마 추출물:명아주 추출물 비율이 2:1일 때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IL-6와 $TNF-{\alpha}$의 ELISA 실험을 통해 항염증효능을 평가한 결과, 마우스 비장세포에서 IL-6의 경우 1 mg/mL 농도에서 참마 추출물은 대조군과 대비하여 27.17% IL-6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명아주 추출물은 72.30%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TNF-{\alpha}$의 경우 참마 추출물은 61.97%, 명아주 추출물은 77.85%로 유의성 있는 $TNF-{\alpha}$생성 감소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들을 통하여 참마와 명아주 추출물은 항산화, 항염증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천연물 제제에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스레피나무 군락의 생태적 특성 및 식생구조 분석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of Eurya Japonica Community -Focusing on Busan Metropolitan City-)

  • 장정은;이상철;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7-169
    • /
    • 2020
  • 부산광역시 내 사스레피나무를 중심으로 한 생태적 특성 및 식생구조 파악을 위하여 사스레피나무가 출현한 조사구(면적 100㎡) 89개를 설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 및 DCA 분석을 통해 89개의 조사구는 졸참나무-소나무-사스레피나무 군락, 곰솔-사스레피나무 군락, 곰솔-동백나무 군락으로 총 3개의 군락으로 나뉘었다. 군락 I은 졸참나무-소나무-사스레피나무 군락으로 해발고도가 높은 내륙에 주로 분포하며, 교목층에 졸참나무와 소나무가 경쟁관계인 상태에서 아교목층에 사스레피나무가 우점하였고 극상 수종 중 하나인 개서어나무가 관목부터 교목층까지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어 향후 낙엽성 참나무류 또는 개서어나무가 우점하는 식생으로 천이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군락 I에서 사스레피나무는 다른 상록활엽수에 비해 해발고도가 높은 내륙에 위치하며, 낙엽활엽수림으로 천이되어도 수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군락 II는 곰솔-사스레피나무 군락으로 특별한 교란요인이 없는 한 현 상태를 유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군락 III은 동백섬에 위치한 곰솔-동백나무 군락으로 인위적인 관리를 받고 있었다. 교목층에는 곰솔이 단일 수종으로 출현하였고, 아교목층에서 동백나무가 우점하였으며, 비관리지역의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 사스레피나무와 다수의 상록활엽수가 각각 출현하였다. 따라서 군락 III에서는 동백나무를 중심으로 한 지속적인 관리가 없을 경우 사스레피나무가 우점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관목층에 후박나무, 돈나무 등 상록활엽수종들이 다수 출현하고 있는데 기온이 계속해서 상승한다면 향후 곰솔은 쇠퇴하고 상록활엽수림으로 천이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89개의 조사구에서 출현한 수종들과 사스레피나무의 상관관계를 Pearson 상관계수를 통해 분석한 결과, 9가지 수종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p<0.05). 그중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수종은 돈나무, 떡갈나무 등 4종이 있었으며,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수종은 5가지 수종으로 그중 사스레피나무와 동일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 동백나무가 -0.384로 가장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록갈파래(Umbraulva japonica)에서 분리한 세균의 군집 구조 분석 및 항균 활성 (Bacterial Community Analysis and Antibacterial Activity Isolated from Umbraulva japonica)

  • 김지현;박소현;문경미;김동휘;허문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27-13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인 Umbraulva japonica의 표면에서 79개의 세균을 분리하였다. 16s rRNA 유전자 분석 결과, 주요 계통군은 Proteobacteria (74.69%), Actinobacteria (2.53%), Fimicute (2.53%), Bacteroidetes (20.25%)로 4개의 문(Phylum)이 관찰되었고, 7개의 강(Class), 13개의 목(Order), 17개의 과(Family), 31개의 속(Genus)을 확인하였다. 계통학적 분석 결과 3개의 균주가 표준균주와 97% 이하의 유사성을 보여 신속 또는 신종으로 보고될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지며, 향후 표준균주들과 함께 추가적인 신종 실험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분리된 79 균주를 이용하여 인체 및 어류 병원균을 대상으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UJT7, UJT20, UJR17의 균체 현탁액이 Vibrio vulnificus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냈으며 UJR17의 균체 현탁액은 V. vulnificus와 Streptococcus parauberis에 항균 활성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UJT7은 Bacillus sp., UJT20과 UJR17은 Pseudomonas sp.로 확인되었으며 다양한 활용을 위한 추가적인 실험을 수행한 후 유익하게 이용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수종 한약재 추출물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from medicinal plant extracts on the Staphylococcus aureus)

  • 박춘근;방경환;이승은;차문석;성정숙;박희운;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51-258
    • /
    • 2001
  • 수종의 한약계를 70% 메탄올로 추출하여 식중독 세균인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으로 생균수의 측정, 생육저해환의 측정, 최소저해농도와 최소사멸농도를 조사한 결과 이들 추출물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의 크기는 Rubus coreanus > Sanguisorba officinalis > Eriobotrya japonica > Prunus mume > Crataegus pinnatifida로 나타났다. 생육저해환은 복분자가 16.5 mm, 지유 14.3 mm, 오매 14.0 mm, 산사 12.7 mm로 측정되었다. MIC는 지유가 5mg / ml로 가장 낮았으며, MBC는 복분자가 10mg / ml로 나타났다. 실험에 사용된 한약재 추출물중 복분자, 비파엽, 산사, 오매, 지유는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서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들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보존료를 개발하여 식품에 적용한다면 그 기대효과가 상당히 클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한국산 수생식물의 원예적 이용에 관한 연구 (Feasibility for Horticultural Use of Korean Native Water Plants)

  • 이종석;김수남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1-50
    • /
    • 2003
  • The feasibility as floricultural crops and water garden plant materials of Korean native water plants was investigated. Propagation type, growing and flowering time were observed for development as water garden, interior aquarium plant and water purification materials. Flowering time of the water plant was 7 species in May, 28 species in June, 49 species in July, 55 species in August, 47 species in September, and 17 species in October. Beautiful flowering water plants were Nymphaeaceae, Nymphoides peltata, Nymphoides indica, Monochoria korsakowii, Iris pseudacorus, Iris laevigata, and etc. Ornamental leafy water plants were Ceratopteris thalictroides, Ludwigia ovalis, Myriophyllum verticillatim, Limnophila sessiliflora, Blyxa aubertii, Blyxa echinosperma, Vallisneria asiatica, Hydrilla verticillata and Eleocharis acicularis etc. Isoetes japonica, Isoetes coreana and Isoetes sinensis were propagated by spore. Blyxa aubertii, Blyxa echinosperma, Myriophyllum verticillatim, Nuphar japonicum, Nelumbo nucifera, Ottelia alismoides, Sagittaria aginashi, Trapa japonica, and Trapa natans were propagated by seed. Persicaria amphibia, Ceratophyllum demersum (hornwort), Myriophyllum verticillatim, Myriophyllum spicatum, Oenanthe javanica, Potamogeton crispus, Hydrilla verticillata and Acorus calamus were propagated by division. And Vallisneria asiatica, Hydrilla verticillata and Phragmites japonica were propagated by runner. Ceratophyllum demersum (hornwort), Myriophyllum verticillatim, Myriophyllum spicatum, Limnophila sessilifera were propagated by adventitious bud. Ceratopteris thalictroides was propagated by leaf cutting. The 35 genera, 68 species of water plants were available for horticultural use. The 45 species such as Iris laevigata, Eleocharis acicularis, Menyanthes trifoliata, Nymphaea minima, Nuphar pumilum, Nymphoides coreana, Nymphoides peltata, Nymphoides indica, Nymphaea tetragona (water lily), and Typha latifolia could be use for water garden plant. The 21 species such as Limnophila sessilifera, Vallisneria asiatica, Ceratophyllum demersum and Hydrilla verticillata available for indoor aquarium. The 19 species such as Ottelia alismoides, Oenanthe javanica, Limnophila sessilifera and Blyxa echinosperma could be culture in container. The 27 species such as Trapa japonica, Trapa incisa, Phramites commuris (reed), Phragmites japonica, and Zizania latifolia were usable for water purification plant materials.

참마의 휘발성 풍미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Dioscorea japonica)

  • 이미순;최향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8-73
    • /
    • 1994
  • 야생식용식물인 참마뿌리의 성숙도에 따른 휘발성 풍미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SDE 방법으로 정유성분을 분리한 다음 GC 및 GC-MS를 이용하여 성분을 확인하였다. 어린 참마뿌리에서는 탄화수소류 35종, 알데히드류 5종, 케톤류 1종, 알콜류 9종, 에스테르류 2종, 유기산류 3종 및 기타 4종이 확인되었고, 성숙한 참마뿌리에서는 탄화수소류 23종, 알데히드류 2종, 알콜류 7종, 에스테르류 1종, 유기산류 8종 및 기타 1종이 확인되었다. 어린 참마에서 탄화수소류, 알데히드류, 알콜류 및 에스테르류의 함량이 더 많았고 풋풋한 내음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숙한 참마에서는 고급 지방산의 함량이 상당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mparison of the cultivation performance between Korean (Sugwawon No. 301) and Chinese strains (Huangguan No. 1) of kelp Saccharina japonica in an aquaculture farm in Korea

  • Hwang, Eun Kyoung;Liu, Fuli;Lee, Ki Hyun;Ha, Dong Su;Park, Chan Sun
    • ALGAE
    • /
    • 제33권1호
    • /
    • pp.101-108
    • /
    • 2018
  • Saccharina japonica was introduced to both Korea and China from Hokkaido, Japan, and it has become an economically important species in both nations. After a long period of cultivation, several varieties of S. japonica have been developed in Korea and China. In this study, we conducted aquacultural research on the persistence of thalli from two kelp cultivars, one from China (Huangguan No. 1) and one from Korea (Sugwawon No. 301), between December 2015 and November 2016 in Haenam, Korea. The maximum length was $247.8{\pm}13.0$ and $227.5{\pm}42.0cm$,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longer in Sugwawon No. 301 than in Huangguan No. 1. The maximum width was $29.9{\pm}5.4$ and $23.2{\pm}1.9cm$,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wider in Huangguan No. 1 than in Sugwawon No. 301. The mean biomass obtained from the culture ropes was for Sugwawon No. 301 was $3.5{\pm}0.3kg\;wet\;wt\;m^{-1}$ and for while Huangguan No. 1 was $3.1{\pm}1.0kg\;wet\;wt\;m^{-1}$ of culture rope. After August, the persistence of the thalli of Sugwawon No. 301 was two months longer than that of Huangguan No. 1. We found that the Sugwawon No. 301 performed as well as the Huangguan No. 1 in Korean waters possibly due to increased flexibility as a result of the different cell arrangements of the two cultivars. Overall, the use of the Sugwawon No. 301 cultivar rather than the Huangguan No. 1 cultivar of S. japonica appears the best alternative to help to ensure a stable year round algal feed supply for the Korean abalone industry.

사염화탄소로 유도된 흰쥐의 간손상으로부터 다시마(Saccharina japonica) 추출물의 보호효과 (Saccharina japonica Extract Protects against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 김미경;김인혜;남택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04-210
    • /
    • 2014
  • The brown alga Saccharina japonica is consumed as a foodstuff in many countries. Carbon tetrachloride ($CCl_4$) is a potent hepatotoxin that is used to assess hepatotoxicity in animal models. This study assessed the protective effect of S. japonica extract (SJE) on $CCl_4$-induced acute liver injury in rats. Experimental rat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groups: control, $CCl_4$, and $CCl_4$+SJE; the latter two groups were given 150 or 300 mg SJE/kg orally for 10 days. Three hours after the final treatment, all rats-except for those in the control group-were administered intraperitoneal injections of $CCl_4$. One day later, blood and liver samples were collected for evaluation biomarker of levels. Aspartate transaminase (APT; GP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GOT) levels were markedly lower in the $CCl_4$+SJE group than the $CCl_4$ group. The hepatic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of the $CCl_4$+SJE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Cl_4$ group. In comparison, glutathione S-transferase (GSH) and catalase (CAT)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Cl_4$+SJE group. Western blotting revealed that SJE attenuated the $CCl_4$-induced EGFR and MAPK activity in the liver. Thus, we conclude that SJE protects against $CCl_4$-induced hepatotoxicity.

한국 서해산 일본재첩, Corbicula japonica Prime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the Brackish Water Clam, Corbicula japonica Prime on the West Coast of Korea)

  • 류동기;정의영;김영혜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7-64
    • /
    • 2005
  • Samples of Corbicula japonica Prime of Jujin estuary in Gochang were collected from July 2000 to September 2001. Age of C. japonica was determined from the rings on the shell. The relationship between shell length and ring radius in each ring group was expressed as a regression line. Therefore, there is a correspondence in each ring formation. Based on the monthly variation of the marginal index (MI') of the shell, it is assumed that the ring of this species was formed once a year during the period of February and M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shell length (SL; mm) and total weight (TW; g) wa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TW = 1.0942 ${\times}10^{-4}SL^{3.3217}$ ($r^2$ = 0.9905). Shell length (SL) and shell height (SH; mm) was highly correlated with shell height as the following equation: SH = 0.9174 SL - 0.9935 ($r^2$ = 0.9885). The shell length (SL) - shell width (SW) relation was also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SW = 0.5925 SL - 1.1706 ($r^2$ = 0.9726). Growth curves for shell length and total weight fitted to the von Bertalanffy's growth curve were expressed as: $$SL_t = 46.4861[1-e^{-0.3383(t+0.0958)}]$$, $$TW_t = 34.54[1-e^{-0.3383(t+0.0958)}]^3.3217$$.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