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 enteritidis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6초

식품에서 분리된 Salmonella Enteritidis MFDS1004839의 유전체 서열 분석 (Complete genome sequence of Salmonella Enteritidis MFDS1004839 isolated from food)

  • 이우정;박세욱;유란희;주인선;곽효선;김순한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64-16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2014년 국내에서 식중독 원인식품인 김밥으로부터 분리된 Salmonella Enteritidis의 유전체 분석을 수행하였다. Salmonella Enteritidis MFDS1004839는 한 개의 chromosome (4,679,649 bp)과 plasmid (96,994 bp)로 구성되어있고, 각각의 G + C contents는 52.2%와 49.3%로 확인되었다. chromosome와 plasmid DNA에 예측된 유전자의 총 수는 4,482개의 단백질 코딩유전자와 84개 tRNA, 그리고 22개의 rRNA였다.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황금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bacterial Activity of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against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 장재선;김정희;권문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08-712
    • /
    • 2011
  •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determination of antibacterial activity of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against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Salmonella$ Enteritidis, $Staphylococcus$ $aureus$ and enteroaggregative $E.$ $coli$). Extra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were tested for antibacterial activity by paper disc methods. The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in 0.1 g/$m{\ell}$ and 0.2 g/$m{\ell}$ showed a significan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were appeared to 2,048 ${\mu}g/m{\ell}$ at $S.$ Enteritidis, $S.$ $aureus$ and enteroaggregative $E.$ $coli$. Finally, the growth incubation curve was determined using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against $S.$ Enteritidis, $S.$ $aureus$ and enteroaggregative $E.$ $coli$. The growth of $S.$ Enteritidi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within 10 hours by the addition of at least 10,000 ppm of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The 10,000 ppm of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retarded the growth of $S.$ $aureus$ and enteroaggregative $E.$ $coli$ more than 10 hours. In conclusion,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might be useful to control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in$ $vitro$.

선학초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grimonia Pilosa Ledeb. Extract on the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 배지현;손미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2호
    • /
    • pp.112-11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균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예로부터 민간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 온 선학초를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해 보았다. 선학초를 methanol로 추출한 후,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yl acetate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각각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고, 수용성추출물을 얻은 후, 9종의 식중독 유발세균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tidis, Shigella Flexneri,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Dysenteriae, Pseudomonas Aruginosa, Shigella Sonnei)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선학초 추출물의 농도별 항균 활성 검색에서는 선학초의 petroleum ehter 추출물이 가장 큰 항균 효과를 보였으며 Pseudomonas Aruginosa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균주였다. 선학초의 petroleum ehter 추출물과 자소엽의 methanol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균력을 측정해 본 결과 두 추출물을 섞어 첨가했을 경우가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 보다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선학초의 petroleum ehter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Bacillus Cereus와 Salmonella Enteritidis 배양액에 선학초의 petroleum ehter 추출물을 각각 4,000 ppm 농도로 첨가했을 때, Bacillus Cereus의 생육이 24시간 이상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고, Salmonella Enteritidis 의 생육도 36시간까지 지연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선학초의 petroleum ehter 추출물은 Bacillus Cereus와 Salmonella Enteritidis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선학초의 petroleum ether 추출물은 각종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천연 식품보존제 개발의 신소재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y 를 이용한 계란에서의 Salmonella enteritidis 오염 연구 (Studies on Salmonella enteritidis Contamination in Chicken Egg using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y)

  • 장금일;박종현;김광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71-777
    • /
    • 1999
  • CSLM 기술을 이용하여 Salmonella enteritidis에 의한 계란 오염 과정을 관찰하여 난막의 3중막 구조, cuticle 층 그리고 5가지 필름 피복의 침투 방어효과를 조사하였다. 난막을 구성하는 fiber의 지름은 각각 outer membrane $1.5{\sim}7.2\;{\mu}m$, inner membrane $0.8{\sim}2.0\;{\mu}m$이었고, limiting membrane을 구성하는 입자의 지름은 $0.1{\sim}1.4\;{\mu}m$이었으며, 두께는 각각 평균 10.0, 3.5, $3.6\;{\mu}m$이었다. 난각과 접해 있는 outer membrane은 다음 층인 inner membrane과 부분적으로 중첩되어있고, limiting membrane의 입자들은 매우 밀집되어 inner membrane과 중첩된 상태로 존재하였다. Cuticle층은 전체 계란 표면적 중 $40{\sim}80%$ 를 덮고 있었으며, 두께는 평균 $6.0\;{\mu}m$이었고 피복 필름들의 평균 두께는 자각 mineral oil $5.0\;{\mu}m$, dextrin $3.6\;{\mu}m$, gelatin $3.9\;{\mu}m$, starch $2.5\;{\mu}m$, chitosan $2.2\;{\mu}m$이었다. 필름 피복에 의한 Salmonella enteritidis 생육 억제효과를 관찰한 결과, chitosan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trisodium phosphate (TSP), cetylpyridinium chloride (CPC) 처리, 5종의 필름 피복 처리와 무처리한 계란표면에 Salmonella enteritidis를 접종한 후 내부 전이 과정을 CSLM을 이용하여 다색영상화(multi-color imaging)와 시간당 투과 균수에 대한 plate count로 비교한 결과, 난각이나 3중막 구조의 난막보다는 cuticle 층이 Salmonella균의 오염을 차단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hitosan 피복이 cuticle 층과 비슷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피복 필름중에서 chitosan이 최외부 방어막인 cuticle층이 결손된 난각 부위를 피복하는데 가장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icrobial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Using Biosensors

  • Kim, Sol
    • 한국미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f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 /
    • pp.135-135
    • /
    • 2008
  • Various biosensors were evaluated for identifying and detecting foodborne pathogens in a rapid and effective manner. First, five strains of Escherichia coli and six strains of Salmonella were identified using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d a statistical program. For doing this, lipopolysaccharides (LPSs) and outer membrane proteins (OMPs) were extracted from a cell wall of each bacterial strain. As a result, each strain was identifed at the level of 97% for E. coli and 100% for Salmonella. Second, E. coli O157:H7, S. Enteritidis, and Listeria monocytogenes were identified by multiplex PCR products from four specific genes of each bacteria using a capillary electrophoresis (CE). Also, ground beef for E. coli O157:H7, lettuce for S. Enteritidis, and hot dog for L. monocytogenes were use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detecting pathogens in foods. Foods inoculated with respective pathogen were cultivated for six hours and multiplex PCR products were obtained and assessed. The minimum detection levels of tested bacteria were <10 cells/g, <10 cells/g, and $10^4$ cells/g for E. coli O157:H7, S. Enteritidis, and L. monocytogenes, respectively. Third, it was possible to detect S. Typhimurium in a pure culture and lettuce by a bioluminescence-based detection assay using both recombinant bacteriophage P22::luxI and a bioluminescent bioreporter. In addition, bacteriophage T4 was quantitatively monitored using E. coli including luxCDABE genes.

  • PDF

In vivo Antagonistic Effect of Lactobacillus helveticus CU 631 against Salmonella enteritidis KU101 infection

  • Bae, Jin-Seong;Byun, Jung-Ryul;Yoon, Yung-H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3호
    • /
    • pp.430-434
    • /
    • 2003
  • In vivo antagonistic effect of Lactobacillus helveticus CU 631 and Lactobacillus spp. against typical enteritis causing pathogen Salmonella enteritidis KU 101 have been determined, which showed an increase in survival rate and the decline in viable cell numbers of pathogen in liver and spleen at sacrifice. A signifcant difference in the antagonistic effect against KU 101 were observed, which was species and/or strain dependent of Lactobacillus (p<0.01), the survival rate of the mice in the Salmonella infection by feeding L. helveticus CU 631 has been shown to be 157%, whereas those of L. rhamnosus GG ATCC 53103, L. acidophilus ATCC 4356, L. johnsonii C-4 were 137%, 132%, 119%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lactobacilli non-associated control KU101 fed mice to be 100%. Viable cells of S. enteritidis KU101 in the liver and in the spleen at sacrifice were decreased in Lactobacillus spp. fed group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higher level of total secretory IgA concentration in the intestinal fluid of lactobacilli fed mice than control mice have been observed. In vitro antagonistic activity of Lactobacillus spp. against KU101 have been determined, a prominent antagonistic activity of CU 631 against KU 101 were demonstrated.

황금탕 및 황금추출물의 식중독 세균들에 대한 생육억제 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Whangkumtang Extract and Scutellariae Radix Extract on the Food-Borne Pathogens)

  • 서진종;이종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606-1610
    • /
    • 2005
  • 각종 식중독의 원인균으로 중요시되는 11종의 균주에 대해서 황금탕 및 황금 추출물의 항균력을 검토한 결과, 황금탕 추출물은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higella sonnei, Shigella flexneri, Salmonella Typhimurium,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Escherichia coli O111 및 Escherichia coli O126에서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황금 추출물은 Staphy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higella sonnei, Shigella flexneri, Salmonella Typhimurium,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Escherichia coli O111, Escherichia coli O126 및 Escherichia coli O157에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해서는 황금탕 및 황금 추출물 모두 항균력이 없었고, Escherichia coli O157에 대해서는 황금탕 추출물은 항균력이 없었으나, 황금 추출물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황금탕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Staphyloccus aureus와 Bacillus cereus에서 40 mg/mL, Shigella flexneri 와 Salmonella Enteritidis에서 100 mg/mL이었고, 황금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Bacillus cereus에서 10 mg/mL, Staphylococcus aureus, Shigella flexneri 및 Salmonella Enteritidis에서 20 mg/mL이었으며, 황금탕 및 황금 추출물 모두 Staphyloccus aureus와 Bacillus cereus에 대해 48시간까지 배양하는 동안 최소저해농도 이상에서는 균이 거의 생육하지 못하였다. 이상에서 황금탕 추출물보다는 황금 추출물의 항균력이 더 강하며, 황금탕 추출물의 식중독 세균들에 대한 항균력은 황금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항균력이 확인된 세균으로 인한 각종 식중독에 황금탕의 사용 가능성을 고려할 만하며, 황금 추출물에 대한 천연 식품 보존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Lactobacillus bulgaricus SP5의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by Lactobacillus bulgaricus SP5 against Pathogenic Bacteria)

  • 김완섭;양아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97-510
    • /
    • 2016
  • 본 연구는 Lactobacillus bulgaricus SP5 분비물의 항균물질 탐색과 특성을 조사하고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억제효과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L. bulgaricus로부터 얻어진 상징액에 대한 항균활성은 시험에 이용된 모든 병원성 미생물인 E. coli 11234, Salmonella. enteritidis 3313, S. enteritidis 12021, 그리고 S. typhimurium 40253에 대해서 항균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징액 중의 황균활성 성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pH 조정과 열처리 후,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상징액의 열처리 후, 병원성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은 비열처리와 같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상징액의 pH를 4.6에서 중성이상으로의 변화는 항균활성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상징액의 항균활성은 pH 변화에 대해서 불안정하였으나, 열에 대해서는 매우 안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상징액의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작용은 박테리오신 같은 peptide 보다는 lactic, acetic, phosphoric, succinic, pyroglutamic, citric, malic, 그리고 formic acid 등 다양한 유기산의 작용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혼합비율에 따른 키토산/젤라틴 혼합용액의 항균활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Blending Ratios on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hitosan/Gelatin Blend Solutions)

  • 김병호;박장우;홍지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05-41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항균활성을 지니는 기능성 생고분자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전 단계로 키토산과 젤라틴을 이용하여 혼합비율별로 키토산/젤라틴 혼합용액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사용된 균주는 그램양성(Bacillus cereus ATCC 14579, Listeria monecytogenes ATCC 15313) 및 그램음성(Escherichia coli ATCC 25922, Salmonella enteritidis IFO 3313) 세균 4종류이고, paper diffusion method와 optical density method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키토산/젤라틴 혼합용액의 최적 혼합비율 및 키토산의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키토산의 용매로 사용된 2%(v/v) 초산의 항균효과를 측정하였다. 혼합비율별로 제조된 키토산/젤라틴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paper diffusion method로 paper disc(8 mm)에 $50\;{\mu}L$, $75\;{\mu}L$씩 분주시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저해환의 크기는 8 mm에서 18.07 mm로 측정되었다. 키토산의 농도가 0%에서 10%(B. cereus, E. coli, E. enteritidis), 20%(L. monocytogenes)까지는 전혀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그 농도가 20%(B. cereus, E. coli, S. enteritidis), 30%(L. moncytogenes) 이상으로 높아질수록 항균활성이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L. monocytogenes는 키토산의 농도가 30%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지만, 그 저해환의 크기가 뚜렷하지 않았다. 따라서 B. cereus. E. coli 및 S. enteritidis 균주들에 대하여 항균환성을 나타내는 혼합용액의 혼합비율은 chitosan/gelatin=2/8이였고, 그 때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키토산의 절대량은 0.3 mg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L. monocytogenes에 대해서는 혼합비율이 chitosan/gelatin=4/6이였고,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키토산의 절대량은 0.6 mg이었다. 혼합비율별로 제조된 키토산/젤라틴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키토산의 최소저해농도를 optical density method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B. cereus, L. monocytogenes, E. coli 및 S. enteritidis에 대한 키토산의 최소저해농도는 각각 0.1461 mg/mL, 0.2419 mg/mL, 0.0980 mg/mL 및 0.0490 mg/mL로 측정되었다. 또한 2%(v/v) 초산 자체의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한 결과, B. cereus, L. mosocytogenes, E. eoli에 대해서는 control과 비교시 유의적인 항균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S. enteritidis의 경우는 배양시간 4시간까지는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지만, 8시간 이후부터는 S. enteritidis의 성장이 control 보다 높아져 배양시간 20시간에서는 control 보다 약 2배 이상 균주의 성장을 촉진시켰다.

Finding the Sources of Korean Salmonella enterica Serovar Enteritidis PT4 Isolates by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 Woo Yong-Ku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3권5호
    • /
    • pp.424-429
    • /
    • 2005
  • In previous studies, it has been reported that both S. enteritidis, the most common serotype, and S. enteritidis Phage Type 4 (SEPT 4) isolates were identified as the most prevalent PT in domestic poultry and also in humans in Korea until 2002.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enetic diversity and epidemiological properties of both PT isolates, and also to trace the source of SEPT 4 isolates from domestic poultry and humans by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In order to understand the molecular epidemiologic properties of SEPT 4 isolates, which have very similar phenotypic properties to our preliminary investigations (serotyping, phage typing, large plasmids and antibiograms), PFGE analysis with XbaI enzyme was performed on the representative SEPT 4 isolates. Thirty-six SEPT 4 isolates were analyzed and differentiated with 10 pulsed-field profiles (PFP) expressing very high discriminative ability (SID: 0.921). In PFP, SEPT 4 isolates from human patients showed a perfect genetic match with those from broiler chickens and meats. Therefore, this study was able to successfully trace the major source of SEPT 4 isolates and also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the PFGE method for genetic analysis of epidemic stra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