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1

검색결과 156,805건 처리시간 0.106초

온 라인 전송에 있어서 디지털 서명을 위한 압축코딩과 암호코딩의 결합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catenation System of Compression Coding and Secrecy Coding for Digital Signature in On-Line Transmission)

  • 한승조;이상호;구연설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0-23
    • /
    • 1994
  • 온 라인 전송에 있어서 정보를 효율적으로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서는 자료압축과 기밀성 그리고 인증성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LZW를 완성형 한글로 적용하여 압축열이 2개 생성되는 LZWH4를 제안하며, DES를 개선하여 Differential Cryptanalysis에 대한 일부 대응방안으로 SAC과 상관계수에 만족하는 S-box를 S1~S8에서 S1~S16으로 확장하여 HDES1를 설계하며, 온 라인 전송에 있어서 디지털서명을 위해 이들을 효율적으로 결합한 LZWHDESI를 구현한다. 또한 일반적인 암호강도의 척도인 U.D.(Unicity Distance)에 있어서 HDES1이 DES와 HDES에 비해서 증가됨을 보이며, 본 논문에서 제안한 LZWHDES1가 LZW를 DES에 직접 연결한 LZWDES와 LZWH2를 HDES에 직접 연결한LZWHDES와 비교하여 효율적으로 수행시간이 단축됨을 보이며, LZWHDES1이 관용키 암호시스템으로써 디지털서명 시스템에 활용될 수 있음울 보인다.

  • PDF

폐암 환자에서 혈청 soluble ICAM-1농도의 변화 (Changes of Serum soluble ICAM-1 levels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 류완희;이용철;이양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4호
    • /
    • pp.527-535
    • /
    • 1996
  • 연구배경 : 내피세포와 백혈구 및 상피세포에서 주로 발견되는 sICAM-1은 백혈구 표면의 배위자인 (ligand)인 LFA-1과 결합함으로서 염증성 질환 이외에 악성 종양의 전이와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에는 혈청내 sICAM-1의 농도가 악성 흑세포종의 전이와 비례하여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또한 sICAM-1의 이형이 여러 질환에서 발견되고 이들의 혈청 농도의 증가는 위암, 대장암, 담낭암, 췌장암의 간전이와 관련되며, 악성 흑세포종 환자의 생존율의 감소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나 폐암에서는 이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다. 이에 저자들은 폐암 환자의 혈청에서 sICAM-1을 측정하여 폐암의 조직학적 분류와 진행 및 전이의 정도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고 폐암의 진단적 가치에 대하여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5년 1월부터 1996년 3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 내과에 입원하여 폐암을 진단 받은 환자 3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정상 대조군은 비슷한 연령의 다른 질환을 갖고 있지 않은 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관지 내시경을 통한 조직 생검이나 경피적 세침 흡입술을 이용하여 확진을 하였으며, 각 조직학적 분류에 따른 진행정도를 알기 위하여 TNM system 을 이용하여 분류하였고, 소세포 폐암은 limited stage와 extensive stage로 분류하였다. Genzyme사의 Predicts sICAM-1 ELISA kit를 이용하여 혈청 sICAM-1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1. 소세포 폐암군에서 혈청 sICAM-1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가 없었으나, extensive stage군에서 limited stage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2. 편평상피암군에서 혈청 sICAM-1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stage IIIa기 이하군에 비해 stage IIIb기 이상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3. 선폐암 환자군에서 혈청내 sICAM-1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결론 : 혈청 sICAM-1농도의 변화는 폐암의 조직학적 분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폐암의 전이 및 진행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폐암 환자에서 혈청 sICAM-1농도의 측정은 폐암에서 진행의 정도를 평가하는 데 지표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Fuzzy (r, s)-S1-pre-semicontinuous mappings

  • Lee, Seok-Jong;Kim, Jin-Tae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11권4호
    • /
    • pp.254-258
    • /
    • 2011
  •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notion of fuzzy (r, s)-S1-pre-semicontinuous mappings on intuitionistic fuzzy topological spaces in $\check{S}$ostak's sense, which is a generalization of $S_1$-pre-semicontinuous mappings by Shi-Zhong Bai. The relationship between fuzzy (r, s)-pre-semicontinuous mapping and fuzzy (r, s)-$S_1$-pre-semicontinuous mapping is discussed. The characterizations for the fuzzy (r, s)-$S_1$-pre-semicontinuous mappings are obtained.

실내주상실험에 의한 불균일한 토양의 입도와 수리분산기작의 상관성 연구 (Correlation of Soil Particle Distribution and Hydrodynamic Dispersion Mechanism in Ununiformed Soils Through Laboratory Column Tests)

  • 강동환;정상용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1권6호
    • /
    • pp.28-34
    • /
    • 2006
  • 자갈, 모래, 실트 및 점토의 입도분포가 다른 3종류의 토양시료(자갈모래/실트점토의 비율 : S-1 토양 24.5, S-2 토양 4.48 및 S-3 토양 0.4)에서 염소이온($C^{-1}$)을 이용한 실내주상실험이 수행되었다. 실내주상실험의 결과를 이용하여 3종류 토양의 입도와 수리분산기작의 상관성이 연구되었다. 실내주상실험에 의한 시간에 따른 염소이온의 농도이력은 가우시안 함수가 적합하였으며, 염소이온의 상대농도가 1.0으로 수렴하는데 경과된 시간은 S-1 토양에서 0.7시간, S-2 토양에서 6.3시간 및 S-3 토양에서는 389시간 이었다. 토양종류에 따른 농도이력곡선 함수에 의해 평균선형유속, 종분산계수 및 종분산지수가 산정되었다. 종분산계수는 S-1 토양에서 $1.20{\times}10^{-4}\;m^2/sec$, S-2 토양에서 $8.87{\times}10^{-7}m^2/sec$, S-3 토양에서는 $1.94{\times}10^{-9}\;m^2/sec$로 산정되었다. 염소이온의 분자확산계수와 토양평균입경에 의해 산정된 페클릿수는 S-1 토양에서 $2.59{\times}10^2$, S-2 토양에서 $6.27{\times}10^0$, S-3 토양에서는 $1.35{\times}10^{-4}$이었다. S-1 토양에서는 역학적인 분산이 지배적이며, S-3 토양에서는 분자확산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S-2 토양에서는 역학적인 분산과 분자확산이 동시에 발생하지만, 역학적인 분산이 우세하였다. Bijeljic et al.(2004)에 의해 보고된 페클릿수 대 $D_L/D_m$의 그래프에 본 연구에서 산정된 값들을 도시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S-1 및 S-2 토양시료는 페클릿수에 대한 $D_L/D_m$의 값이 2.0 order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S-3 토양시료는 페클릿수가 $1.35{\times}10^{-4}$으로 매우 낮아 그래프에 표시되지 않았다.

Sphingosine 1-Phosphate Receptor Modulators and Drug Discovery

  • Park, Soo-Jin;Im, Dong-So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5권1호
    • /
    • pp.80-90
    • /
    • 2017
  • Initial discovery on sphingosine 1-phosphate (S1P) as an intracellular second messenger was faced unexpectedly with roles of S1P as a first messenger, which subsequently resulted in cloning of its G protein-coupled receptors, $S1P_{1-5}$. The molecular identification of S1P receptors opened up a new avenue for pathophysiological research on this lipid mediator. Cellular and molecular in vitro studies and in vivo studies on gene deficient mice have elucidated cellular signaling pathways and the pathophysiological meanings of S1P receptors. Another unexpected finding that fingolimod (FTY720) modulates S1P receptors accelerated drug discovery in this field. Fingolimod was approved as a first-in-class, orally active drug for relapsing multiple sclerosis in 2010, and its applications in other disease conditions are currently under clinical trials. In addition, more selective S1P receptor modulators with better pharmacokinetic profiles and fewer side effects are under development. Some of them are being clinically tested in the contexts of multiple sclerosis and other autoimmune and inflammatory disorders, such as, psoriasis, Crohn's disease, ulcerative colitis, polymyositis, dermatomyositis, liver failure, renal failure, acute stroke, and transplant rejection. In this review, the authors discuss the state of the art regarding the status of drug discovery efforts targeting S1P receptors and place emphasis on potential clinical applications.

사군자탕(四君子湯) 재료를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added with the ingredients of Sagoonja-Tang)

  • 남혜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066-107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사군자탕 구성 재료의 기능성을 연구하고자 사군자탕가루를 스폰지 케이크에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케이크에 대한 한약재의 첨가량은 6%로 5개(S1(사군자탕가루), S2(인삼가루), S3(백복령가루), S4(백출가루), S5(감초가루))의 첨가군으로 구성하였다. 한약 재료의 첨가에 따라 완제품의 부피감소가 SC> S1>S3>S2>S4>S5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제품의 저장 중 미생물학적 품질 평가에서 생균수는 S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SC는 저장 7일째에 $9{\times}10^7CFU/g$로 가장 높다가 저장 10일째에는 $2.5{\times}10^6CFU/g$으로 감소하였다. 한약재가 들어간 다른 시료에서는 낮게 나타나 특히 S5의 경우 같은 7일째에 $1.2{\times}10^2CFU/g$으로 적게 나타났다. 제품의 조직특성은 견고성, 점착성, 씹힘성이 SC에 비해 다 높은 값을 가졌다. 항산화성을 측정한 결과 과산화기질 생성억제효과의 크기는 스폰지 케이크에서 S5>S4>S3>S2>S1>SC의 순으로 나타나 한약 재료의 첨가군의 항산화효과가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는 전체적인 기호도는 SC에 비해 S3가 가장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S3>SC,S2>S1>S5>S4순으로 전체적인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편광을 이용한 눈의 공간주파수-대비민감도 함수 측정기구 설계 (Contrast Sensitivity as a function of spatial frequency by using polarization)

  • 김용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3-48
    • /
    • 2000
  • Polarizer와 Analyzer의 Rotation 각에 의해 광의 luminance를 조절할 수 있다. Contrast Sensitivity에 대응한 luminance 값 $L_{max}$, $L_{min}$은 평균 luminance($L_m$)의 회전각 ${\theta}_m$ 최대 진폭과 최소 진폭에 대응하는 회전각 (${\theta}_{max}$, ${\theta}_{min}$)로 부터 구할 수 있다. $$L_{max}=I(0)e^{-2at}{\cdot}cos^2{\theta}_m(1+C_s^{-1})$$ $$L_{min}=I(0)e^{-2at}{\cdot}cos^2{\theta}_m(1-C_s^{-1})$$ 평균 luminance($L_m$)의 회전각 ${\theta}_m$과 측정할 Contrast Sensitivity($C_s$)로부터 polarizer와 analyzer의 회전각(${\theta}_{max}$, ${\theta}_{min}$)을 얻었다. $${\theta}_{max}=cos^{-1}[cos{\theta}_m{\cdot}(1+C_s^{-1})^{1/2}]$$ $${\theta}_{min}=cos^{-1}[cos{\theta}_m{\cdot}(1-C_s^{-1})^{1/2}]$$.

  • PDF

CBD 방법에 의한 (PbS)$_{1-x}-(CuS)_{x}$ 박막의 전기적 특성 (Electrical Properties of (PbS)$_{1-x}-(CuS)_{x}$ Thin Films by Chemical Bath Deposition)

  • 조종래;조정호;김강언;정수태;조상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16
    • /
    • 2000
  • (PbS)$_{1-x}$ -(CuS)$_{x}$ thin films(x=0, 0.5, 1) were grown on glass substrates by using a chemical bath deposition method. The molecular ratio of Pb to Cu for the PbS-CuS thin films(x=0.5) was measured about 7:3 by using EDX and XRF. The resistivity of non-annealed (PbS)$_{1-x}$ -(CuS)$_{x}$ thin films was about 10 $\Omega$ . cm. However, after annealing, the resistivity of PbS showed a little change, while PbS-CuS and Cu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range of 0.002 to 0.005$\Omega$.cm. PbS was p-type and CuS was n-type.-type.

  • PDF

S1P1 Regulates M1/M2 Polarization toward Brain Injury after Transient Focal Cerebral Ischemia

  • Gaire, Bhakta Prasad;Bae, Young Joo;Choi, Ji Woo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7권6호
    • /
    • pp.522-529
    • /
    • 2019
  • M1/M2 polarization of immune cells including microglia has been well characterized. It mediates detrimental or beneficial roles in neuroinflammatory disorders including cerebral ischemia. We have previously found that sphingosine 1-phospate receptor subtype 1 ($S1P_1$) in post-ischemic brain following transient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tMCAO) can trigger microglial activation, leading to brain damage. Although the link between $S1P_1$ and microglial activation as a pathogenesis in cerebral ischemia had been clearly demonstrated, whether the pathogenic role of $S1P_1$ is associated with its regulation of M1/M2 polarization remains unclear. Thu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S1P_1$ was associated with regulation of M1/M2 polarization in post-ischemic brain. Suppressing $S1P_1$ activity with its functional antagonist, AUY954 (5 mg/kg, p.o.), attenuated mRNA upregulation of M1 polarization markers in post-ischemic brain at 1 day and 3 days after tMCAO challenge. Similarly, suppressing $S1P_1$ activity with AUY954 administration inhibited M1-polarizatioin-relevant $NF-{\kappa}B$ activation in post-ischemic brain. Particularly, $NF-{\kappa}B$ activation was observed in activated microglia of post-ischemic brain and markedly attenuated by AUY954, indicating that M1 polarization through $S1P_1$ in post-ischemic brain mainly occurred in activated microglia. Suppressing $S1P_1$ activity with AUY954 also increased mRNA expression levels of M2 polarization markers in post-ischemic brain, further indicating that $S1P_1$ could also influence M2 polarization in post-ischemic brain. Finally, suppressing $S1P_1$ activity decreased phosphorylation of M1-relevant ERK1/2, p38, and JNK MAPKs, but increased phosphorylation of M2-relevant Akt, all of which were downstream pathways following $S1P_1$ activation. Overall, these results revealed $S1P_1$-regulated M1/M2 polarization toward brain damage as a pathogenesis of cerebral ischemia.

하절기 넙치유어의 보상 성장 (Compensatory Growth of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during the Summer Season)

  • 조성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5-98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possibility of compensatory growth of juvenile olive flounder fed a commercial feed during the summer season. Five treatments of fish with triplicates were prepared: C, S1, S2, S3 and S4. Fish in the control group (C) was hand-fed with the commercial feed to apparent satiation twice daily for 6 days a week during 6 weeks. Fish in S1, S2, S3, and S4 experienced 1, 2, 3, and 4 weeks of starvation before fed to satiation twice daily for 5, 4, 3, and 2 weeks, respectively. The feeding trial lasted far 6 weeks. Survival of flounder in C, S1 and S2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offish in S4. Weight gain and specific growth rate (SGR) of flounder in C and S1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fish in S2, S3 or S4. And weight gain and SGR of flounder in S2 and S3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fish in S4. Feed consumption of flounder tended to increase with weeks of feeding. Feed efficiency ratio and protein efficiency ratio for flounder in C, S1, S2 and S3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for fish in S4. Moisture content of the whole fish in C was lowest, but highest for fish in S4, respectively. Crude protein content of the whole fish in C was highest, but lowest far fish in S4, respectively. Crude lipid content of the whole fish in C, S1 and S2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of fish in S4. In conclusion, full compensatory growth was obtained in juvenile olive flounder fed for 5 weeks after 1-week feed deprivation during the summer season. Compensatory growth of fish was well supported by improvement in feed efficiency ratio and protein efficiency rat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