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 typhimurium

검색결과 935건 처리시간 0.026초

쥐의 큰포식세포주에서 자가포식현상에 의한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의 감염 조절 (Induced Autophagy Regulates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Infection in Murine Macrophage)

  • 이선혜;김주영;이효지;정유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7-32
    • /
    • 2014
  • 자가포식현상(autophagy)은 세포 내 또는 세포 외의 스트레스나 영양분의 고갈, 그리고 병원체 감염에 의해 유도되는 기전으로, 병원균, 손상된 단백질이나 세포 소기관을 autophagosome으로 격리하여 리소좀(lysosome)과 융합하여 분해시키는 기전이다.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S. Typhimurium)은 세포 내로 감염되는 세균으로 급성 위장염과 식중독을 야기한다. S. Typhimurium 감염 시 세포 내에서 자가포식현상이 유도되며 이는 감염을 제어하는데 중요하다는 연구 논문들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자가포식현상 유도제인 rapamycin으로 자가포식현상을 유도했을 때, S. Typhimurium의 감염을 조절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가포식현상 유도제인 rapamycin과 저해제인 3-methyladenine(3-MA)를 각각 처리한 후 쥐의 큰포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에 S. Typhimurium을 감염시켰다. rapamycin을 전처리한 후 S. Typhimurium을 감염시켰을 때, 세포 내에서 S. Typhimurium의 성장률이 감소한 반면 3-MA의 전처리는 S. Typhimurium의 성장을 촉진시켰다. 또한, RAW 264.7 세포에 rapamycin을 처리 후 감염시켰을 때, 자가포식현상 관련 단백질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Rapamycin에 의하여 유도된 자가포식현상이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과 활성 산화질소종(nitric oxide, NO)의 생성을 통해 감염을 제어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 두 물질을 측정하였다. 감염 전 rapamycin 처리 시 RAW 264.7 세포에서 NO의 생성은 증가하였으나 ROS의 생성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쥐의 큰포식세포주에서 rapamycin처리로 유도된 자가포식현상은 NO 생성을 통해 항박테리아능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열충격 Salmonella Typhimurium의 산과 산화제에서 생존력 증가 (Increased Viability of Sub-lethal Heat Shocked Salmonella Typhimurium on Acids and Oxidants)

  • 문보연;박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712-716
    • /
    • 2008
  • Salmonella로부터 식품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보존법의 병용처리에 의한 효과를 평가하고자 S. Typhimurium을 열과 산, 산화제 등으로 연속 처리한 후 생균수를 측정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열충격에 의하여 S. Typhimurium 내에 발현되거나 억제되는 단백질을 이차원 전기영동과 MALDI-TOF 질량분석기로 분석하였다. 열처리된 S. Typhimurium은 초산과 염산의 pH 4에서의 생균수가 1.3-1.8 log CFU/mL가 줄었고 비열처리 S. Typhimurium은 생균수가 약 5 log CFU/mL가 감소하였다. 열처리 S. Typhimurium은 butyl hydrogen peroxide와 과산화수소에서 생균수가 1.1-1.7 log CFU/mL가 줄었으나 비열처리 S. Typhimurium은 5.4-5.6 log CFU/mL 감소하였다. 충분하지 않은 사멸 열처리는 S. Typhimurium의 생존력을 증가시키고 산과 산화제 등의 보존제에서 저항성이 커지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이차원 전기영동과 MALDI-TOF 질량분석에 의한 발현 단백질 분석 결과 비열처리 S. Typhimurium은 17개의 단백질이 검출되었고 열처리 S. Typhimurium에는 13개의 단백질만 검출되었다. 이들 중에 열충격 단백질로 알려진 DnaK, small heat shock protein 등이 검출되었고 이들이 산과 산화제에서의 생존 저항성 증가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열처리를 포함하는 hurdle technology를 적용하여 식품을 보존처리할 때 다른 보존제에 대한 교차보호성이 증가되는 사실을 고려하여 적절한 열처리가 고려되어야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경북지역 가축에서 분리된 Salmonella typhimurium과 S enteritidis의 병원성 시험 (Pathogenicity of Salmonella typhimurium and S enteritidis isolated from domestic animals in Gyeongbuk province)

  • 김상윤;이희무;김신;홍현표;권헌일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9-82
    • /
    • 2001
  • The result of studying the pathogenicity of Salmonella typhimurium and S enteritidis isolated from domestic animals in Gyeongbuk province were summarized as follows. In Congo-red binding test, S typhimurium had much more rough types than S enteritidis. In colicin production test, 4 strains of S typhimurium were positive but all of S enteritidis were negative. In hemolysin production test, all of S typhimurium and S enteritidis were negative. In Guinea pig serum resistant test, all of S typhimurium and S enteritidis were positive. As a result of pathogenicity test to mice, 54.4% of mice were died. Therefore, S typhimurium and S enteritidis were considered as highly pathogenic. S typhimurium DT104 and S enteritidis PT4 were more pathogenic to mice than other phage types of same serovar. S typhimurium and S enteritidis were considered not so pathogenic for 6-day-old chickens. The recovery rates of Salmonella stains from mice and chickens inoculated were 96.8%, and 54%, respectively. In chickens, proportional to the time from 2 weeks after challenge inoculation, the recovery rates were noticeably decreased.

  • PDF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은 이온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Silver Ion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 김현진;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163-1166
    • /
    • 2002
  • 식중독 미생물 Salmonella typhimurium ATCC 14028, Staphylococcus aureus KCTC 2199, Vibrio parahaemolyticus ATCC 17802에 대한 은 이온의 항균력을 PAper Disk 방법과 액체 배양법에서 조사하였다. S. typhimurium와 V. parahaemolyticus의 경우 각각 2,10ppm의 은 이온 농도에서 생육저해환이 발견되었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육 저해의 정도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S.aureus는 20 ppm의 은 이온 농도에서도 생육 저해환이 관찰되지 않았다. 액체 배양에서 은 이온의 항균 능력은 S. typhimurium, V.parahaemolyticus, S.aureus에 대해서 각각 03 ppm, 0.5 ppm, 5 ppm 이상에서 관찰되었고, 은 이온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육 저해는 크게 나타났다.

광귤 추출물의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한 항균 메커니즘 및 샐러드 세척 효과 (Antibacterial Mechanism and Salad Washing Effect of Bitter Orange Extract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 지윤미;배지윤;김충환;오세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73-280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천연 항균제인 광귤 추출물의 항균 활성과 항균 메커니즘을 조사해 즉석섭취식품인 샐러드에서 Salmonella Typhimurium을 제어하기 위한 세척수로써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액체배지희석법으로 S. Typhimurium에 대한 광귤 추출물의 최소 억제 농도(MIC)를 구했다. 그런 다음 다양한 농도(1/16 MIC-2 MIC)에 해당하는 광귤 추출물에 S. Typhimurium을 접종하고 성장곡선을 분석해 대조군과 성장값을 비교하여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광귤 추출물을 처리한 후, S. Typhimurium의 세포 내 활성산소종 수준과 막 전위 및 손상도의 변화, 핵산 누출량을 측정하여 광귤 추출물의 항균 메커니즘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S. Typhimurium을 인위적으로 접종한 샐러드에 다양한 농도의 광귤 추출물을 다양한 시간 동안 침지 방법으로 항균 처리하여 저감화 효과를 확인했다. S. Typhimurium에 대한 광귤 추출물의 MIC는 195.313 mg/L으로, 1 MIC와 2 MIC의 광귤 추출물은 S. Typhimurium의 성장을 완전히 억제하였다. 광귤 추출물의 처리농도가 높아질수록, 세포 내 ROS 수준과 막 전위, 막 손상도 그리고 핵산 방출량은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세척수인 광귤 추출물의 농도가 높고 처리 시간이 길수록 샐러드의 S. Typhimurium의 수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광귤 추출물은 S. Typhimurium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광귤 추출물은 차아염소산나트륨과 비교하였을 때 효과적인 항균 활성을 보이며 안전한 샐러드 세척수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샐러드와 같은 식품에서 광귤 추출물이 식중독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살모넬라와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시트랄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Citral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and Staphylococcus aureus)

  • 김정지;인예원;오세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91-794
    • /
    • 2011
  • 본 연구는 그람 양성균과 음성균인 S. aureus와 S. Typhimurium를 대상으로 시트랄의 농도와 pH에 따른 항균활성 특성 및 식품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농도별 항균활성은 TSB에 시트랄을 0-1,000 ppm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pH는 buffer를 이용하여 pH 4.0에서 pH 7.0로 조정하여 측정하였다. 시트랄 농도 별 항균활성 실험에서는 두 균주 모두 시트랄 농도가 높아질수록 항균활성이 증가하였다. S. Typhimurium는 250 ppm 처리구에서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S. aureus는 약 3 log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pH에 따른 항균활성은 10분이 경과 후 S. aureus는 약 1-2 log의 감소효과를, S. Typhimurium는 약 2-5 log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TSB와는 다르게 buffer 조건에서 그람 양성 균주인 S. aureus는 S. Typhimurium와 비교하여 pH 조건에 안정적인 경향을 나타내었다. 녹즙에 적용한 시트랄은 그람 음성균인 S. Typhimurium에 대한 항균활성은 미미하였으나 양성균인 S. aureus 에 대하여 농도가 증가할수록 효과적으로 항균활성이 증가하였다.

Lysophosphatidylcholine Enhances Bactericidal Activity by Promoting Phagosome Maturation via the Activation of the NF-κB Pathway during Salmonella Infection in Mouse Macrophages

  • Lee, Hyo-Ji;Hong, Wan-Gi;Woo, Yunseo;Ahn, Jae-Hee;Ko, Hyun-Jeong;Kim, Hyeran;Moon, Sungjin;Hahn, Tae-Wook;Jung, Young Mee;Song, Dong-Keun;Jung, Yu-Jin
    • Molecules and Cells
    • /
    • 제43권12호
    • /
    • pp.989-1001
    • /
    • 2020
  •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S. Typhimurium) is a facultative intracellular pathogen that causes salmonellosis and mortality worldwide. S. Typhimurium infects macrophages and survives within phagosomes by avoiding the phagosome-lysosome fusion system. Phagosomes sequentially acquire different Rab GTPases during maturation and eventually fuse with acidic lysosomes. Lysophosphatidylcholine (LPC) is a bioactive lipid that is associated with the generation of chemoattractants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our previous study, LPC controlled the intracellular growth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by promoting phagosome maturation. In this study, to verify whether LPC enhances phagosome maturation and regulates the intracellular growth of S. Typhimurium, macrophages were infected with S. Typhimurium. LPC decreased the intracellular bacterial burden, but it did not induce cytotoxicity in S. Typhimurium-infected cells. In addition, combined administration of LPC and antibiotic significantly reduced the bacterial burden in the spleen and the liver. The ratios of the colocalization of intracellular S. Typhimurium with phagosome maturation markers, such as early endosome antigen 1 (EEA1) and lysosome-associated membrane protein 1 (LAMP-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LPC-treated cells. The expression level of cleaved cathepsin D was rapidly increased in LPC-treated cells during S. Typhimurium infection. Treatment with LPC enhanced ROS production, but it did not affect nitric oxide production in S. Typhimurium-infected cells. LPC also rapidly triggered the phosphorylation of IκBα during S. Typhimurium infe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LPC can improve phagosome maturation via ROS-induced activation of NF-κB pathway and thus may be developed as a therapeutic agent to control S. Typhimurium growth.

난백과 난황에서 Salmonella Enteritidis 와 Salmonella Typhimurium 수 변화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Change in Salmonella Enteritidis and Salmonella Typhimurium Populations in Egg white and Yolk)

  • 문혜진;임정규;윤기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42-348
    • /
    • 2016
  • 본 연구는 계란을 난백과 난황으로 분리하여, 액란 상태에서 8, 10, 15, 25, $35^{\circ}C$의 보관온도가 S. Enteritidis와 S. Typhimurium 두 혈청 형의 증식 또는 사멸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난백에서는 8, 10, 15, $35^{\circ}C$에서 두 혈청 형 모두 감소하였으나 $25^{\circ}C$에서는 두 혈청 형 모두 증식 하여 상온에서의 관리에 대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0, 15, 25, $35^{\circ}C$ 난황에서는 두 혈청 형 모두 성장하였으나 $8^{\circ}C$에서는 감소하여 유통 판매시 난황으로 준비된 액란을 냉장온도로 철저하게 관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난황에서 증식한 S. Enteritidis와 S. Typhimurium의 성장곡선을 Modified Gompertz model에 적용하여 산출된 유도기(LT)와 최대증식속도(SGR) 및 최대개체군밀도(MPD)값을 Davey model과 Square-root model 및 Polynomial second order model을 이용하여 각각 온도의 영향을 나타내는 2차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든 온도에서 S. Enteritidis가 S. Typhimurium보다 유도기가 짧고 최대증식속도가 빠르게 나타나 액란 제품에서의 S. Enteritidis에 대한 위험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녹차폴리페놀에 노출된 Salmonella typhimurium의 세포반응 (Cellular Responses of Salmonella typhimurium Exposed to Green Tea Polyphenols)

  • 최효경;오계헌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87-92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국산 녹차(Camellia sinensis L.)에서 추출한 차폴리페놀(tea polyphenols, TPP)에 노출된 Salmonella typhimurium의 여러 가지 세포반응을 조사하는 것이다. TPP는 S. typhimurium에 대하여 투여량에 비례한 살균효과를 보여주었다. TPP로 처리된 S. typhimurium 배양에서 세포막을 구성하는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은 조성에서 상당한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주사전자현미경 분석에서 아치사 농도의 TPP로 처리된 세포는 세포표면에 구멍이 나고, 속이 움푹 패인 불규칙한 모양으로 관찰되었다. TPP에 노출된 S. typhimurium 배양의 수용성 단백질 부분에 대한 이차원 폴리아크릴아미드 젤 전기영동에서 16개의 단백질이 TPP 노출에 의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항산화 및 chaperons, 전사 및 결합단백질, 에너지 및 DNA 대사 등에 수반되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이들 유도된 단백질은 MALDI-TOF를 사용한 peptide mass fingerprinting에 의해 동정되었다. 이들 결과는 S. typhimurium에 대한 TPP 유도스트레스와 세포독성의 기작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급식소에서 제공되는 돼지고기 장조림과 햄ㆍ오이샐러드의 조리 후 보관방법 및 시간이 살모넬라(Salmonella typhimurium) 식중독균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olding Methods and Times on Recovery of Salmonella Typhimurium in Simmered Pork and Ham at Cucumber Salad Served at Foodservice Institutions)

  • 고성희;김지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52-357
    • /
    • 200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edict the multiplication growth patterns of Salmonella typhimurium according to the holding methods and times in cooked foods served at foodservice institutions. When simmered pork in soy sauce and ham and cucumber salad were inoculated with S. typhimurium (7.00 logCFU/g) and tested according to holding methods and times, room temperature holding showed a continuous increase in S. typhimurium count as time passed, whereas 80$^{\circ}C$ heating table sharply reduced the count to 4.00 (logCFU/g) after 2hrs of holding and to zero after 6hrs, which suggested that all S. typhimurium were destroyed. However, 5$^{\circ}C$ refrigerator holding showed a count increase, although it wasis still lower than that at room temperature and at 10$^{\circ}C$ cold table holding, which suggested that S. typhimurium is comparatively resistive to low temp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