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bus coreanus Miq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35초

일반 복분자주와 버섯 추줄물을 함유한 복분자주의 향기성분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Wines With and Without Mushroom Extracts)

  • 신현재;남형근;임익재;차월석
    • KSBB Journal
    • /
    • 제21권6호
    • /
    • pp.410-413
    • /
    • 2006
  • 복분자주의 품질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국내에서 생산되는 복분자주 (시료 A)와 버섯 추출물 첨가 복분자주 (시료 B)의 일반성분 분석과 향기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반 성분분석의 결과, 복분자주 시료 A와 복분자주 시료 B 중의 용해성 고형분은 10.5%, 7.4%로 분석되었고, 산도는 1.36%, 0.54%로 측정되었다. 수분은 83.27%, 87.62% 조회분은 0.45%, 0.31% 조 단백질은 0.05%, 0.22%였으며 조지방과 조섬유는 검출되지 않았다. 향기 성분의 확인을 위하여 두 시료의 향기 성분을 ethylether로 추출하고 methanol에 녹여 GC/FID와 GC/MS로 분석, 동정하였다. 두 시료에서 모두 12종의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이 중에서 alcohol류가 6종, ketone류가 3종, ester/acid/anhydride류가 각각 1종으로 나타났다. 주요한 휘발성 성분으로는 2,3-butanediol, 2,5-furanedione, phenylethyl alcohol, butanedioic acid 등이 있었으며, 이들 성분이 복분자주의 전체적 향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복분자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to Different Ethanol Extracts of Rubus coreanus Miq.)

  • 권지웅;이희권;박희전;권태오;최혜란;송지영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25-333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biological activities to different ethanol extracts from unripened and ripened fruit (Rubus coreanus Miq.). 25% to 75% ethanol extracts of unripened and ripened fruits were similar to extract yield respectively. Yield of ethanol extract of ripened fruit were approximately 3 times higher than that of unripened fruit. 75% ethanol extract of unripened fruit showed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180.04{\pm}0.41$ mg/g) and total flavonoid ($50.43{\pm}0.81$ mg/g).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of unripened fruit were about 2 times higher than those of ripened fruit. $IC_{50}$ values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linoleic acid peroxidation inhibition activity of BHA and ${\alpha}$-tocopherol showed $13.19{\pm}0.21$ and $18.16{\pm}0.23{\mu}g/m{\ell}$, $4.25{\pm}0.04{\mu}g/m{\ell}$ and $5.56{\pm}0.10{\mu}g/m{\ell}$ respectively, but 75% ethanol extract of unripened fruit showed the lowest $23.85{\pm}0.10{\mu}g/m{\ell}$ and $7.34{\pm}0.07{\mu}g/m{\ell}$ among other all extracts. $IC_{50}$ values of LDL (low 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inhibition activity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75% ethanol extract of unripened fruit showed the lowest $1.04{\pm}0.04{\mu}g/m{\ell}$ and $7.21{\pm}0.13{\mu}g/m{\ell}$ among other all extracts respectively. Specifically, 75% ethanol extract of unripened fruit has relatively better biological activities than other ethanol extracts, it could be potentially used as bioactive source for health functional foods.

복분자 발효주의 양조특성 (Alcoholic Fermentation of Bokbunja (Rubus coreanus Miq.) Wine)

  • 최한석;김명곤;박효숙;김용석;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43-547
    • /
    • 2006
  • 복분자 딸기의 일반성분은 수분 86.5%, 조단백 0.2%, 조지방 0.9%, 조섬유 6.6%, 회분 0.5%, $10^{\circ}Brix$정도의 당함량을 가지고 있었으며, 착즙액의 유리당은 fructose(2.99%), glucose(2.53%) 및 sucrose(0.07%)로 구성되어 있었다. Citric acid(14.57 mg/mL)와 malic acid(2.24 mg/mL)가 주요유기산 성분이었으며, shikimic, pyroglutamic, oxalic 순으로 미량 함유되어있었다. 본 실험에 이용된 3가지 균주중 Sc-24 균주가 복분자 발효에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발효시 오염방지를 위한 아황산 종류로는 $K_2S_2O_5$ 200 ppm 첨가가 양호하였다. Sc-24균주의 알코올 생산력은 $18-28^{\circ}Brix$의 당농도 범위에서 당농도에 비례적으로 증가하여 9.2-14.8%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매실즙의 첨가는 발효초기 복분자주 색상향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발효과정을 거치면서 색상 개선에 뚜렷한 영향을 볼 수는 없었다. 발효주의 유기산성분은 citric acid와 malic acid가 주요성분으로 발효과정에 의하여 상당량 감소되었고 formic acid와 acetic acid가 생성되었다. 씨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과즙 펄프나 과즙 상태로 발효시켰을 때 떫은맛이 약간 감소하였으며, 설탕의 용해처리는 외관상 주류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3T3-L1 세포분화 중 지방축적 및 활성산소종 생성에 대한 국내 산림자원 5종 추출물의 효과 (Effects of Extracts of Five Species of Korean Native Forest Plants on Lipid Accumula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during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 최선일;이종석;이사라;이혜진;여주홍;조봉연;이진하;김재민;정태동;최승현;김종예;강석남;이옥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523-528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산림자생 식물 추출물 5종(밤나무, 진달래, 산수유, 복분자딸기, 갈참나무)에 대한 지방세포 분화 억제 및 활성산소종(ROS) 생성 억제 효능을 평가하였다. 지방세포 분화 중 세포 내 지방축적 및 ROS 생성량을 비교한 결과, 국내 산림 식물 5종 모두 지방축적량 및 ROS 생성량을 농도 유의적으로 감소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복분자딸기 추출물을 처리한 지방세포에서 지방 축적 및 ROS 저감에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N-acetyl-L-cysteine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복분자딸기 추출물을 처리함으로써 지방세포의 분화를 조절하는 전사인자인 $PPAR{\gamma}$, $C/EBP{\alpha}$ 및 aP2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국내 산림 식물 5종 추출물은 천연물에서 유래한 항비만 및 항산화 활성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성숙단계별 복분자딸기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ubus coreanus Miquel during Maturation)

  • 윤예리;박필재;최혜란;김병삼;차환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76-479
    • /
    • 2007
  • 복분자딸기(Rubus coreanus Miq.) 과실부의 성숙시기(미숙과, 중간숙과, 완숙과)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복분자딸기가 완숙과가 되었을 때 100g당 81.4g으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으며, 단백질${\cdot}$회분${\cdot}$식이섬유는 미숙과일때가 중간숙과와 완숙과에 비하여 약간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과실이 성숙 할수록 당도와 유리당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산도는 중간숙과 일 때 3.3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복분자딸기 미숙과, 중간숙과, 완숙과에서는 17종의 아미노산이 분리되었으며, 이 중 aspar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각각 546.55, 383.56, 375.08 mg% 함유되어 있었다. 총 아미노산 함량의 경우도 과실이 성숙될수록 아미노산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은 과실의 성숙도와 관계없이 전체적으로 칼륨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외 Ca > Mg > P > Na > Fe 순으로 함유되어 있다. 또한 총 무기질 함량은 미숙과가 중간숙과나 완숙과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복분자 종자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eed ethanol extracts of Rubus coreanus miquel)

  • 황진우;강현;이성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2호
    • /
    • pp.155-161
    • /
    • 2022
  • 본 연구는 복분자 종자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검증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복분자 종자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4.09 ㎍ GAE/mg와 16.25 ㎍ QE/mg이었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 소거능을 보였고, 복분자 종자 에탄올 추출물의 RC50 값은 각각 26.68, 39.30 ㎍/mL이였다. 게다가 환원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된 FRAP 분석에서 복분자 종자 추출물은 0.61 ± 0.01 mM FeSO4 E/mg의 효능을 보여주었다. 항염증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RAW 264.7 세포에서 세포독성과 산화질소(NO) 생성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500 ㎍/mL의 복분자 종자 추출물에서 세포 독성 없이 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분자 종자 추출물을 사용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확인한 결과 항산화 및 항염증 물질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분자씨유의 식용유지 대체가 C57BL/6J Mice의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ubus Coreanus Miq. Oil on Serum Lipids in C57BL/6J Mice)

  • 변문선;차연수;황금택;유옥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7호
    • /
    • pp.953-960
    • /
    • 2015
  • 본 연구는 식이로 비만이 유도되는 C57BL/6J mice에 복분자씨유와 지방의 종류를 달리한 식이를 급여하여 체중 및 체내 지질패턴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실험동물의 체중증가량 및 식이섭취효율을 평가하고, 지방 조직의 무게 및 혈중과 간 중 지질성분을 분석하였다. 또한 ${\beta}$-oxidation과 관련된 카르니틴 함량 변화와 superoxide dismutase(SOD) 항산화효소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동물의 체중이 고지방복분자씨유첨가식이군(RCO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식이섭취효율이 고지방옥수수유첨가식이군(CO군)과 RCO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복부 지방과 등 지방은 CO군과 RCO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고, 혈중 HDL-C와 HDL-C/TC(%)는 RCO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간 중 acid-soluble acylcarnitine 및 total carnitine의 카르니틴 수준은 CO군과 RCO군에서, SOD 항산화효소 활성은 RCO군에서 고지방돈지첨가식이군과 고지방우지첨가식이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 결과 복분자씨유는 비만이 유도된 성인 쥐의 체중 및 체지방량과 HDL-C 및 HDL-C/TC(%)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복분자씨유를 비만인들에게 적용했을 때 매우 효과적인 유지 급원으로써의 사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로 사료된다. 이에 대해 추후 복분자씨유의 기능성과 상업성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지며, 본 연구는 현재 식품가공 과정중 폐기처분되고 있는 복분자씨가 식품산업의 새로운 소재로써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한 의미 있는 실험이라 사료된다.

Rubus coreanus Extract Attenuates Acetaminophen Induced Hepatotoxicity; Involvement of Cytochrome P450 3A4

  • Lee, Young-Ik;Whang, Kyung-Eun;Cho, Jin-Sook;Ahn, Byung-Min;Lee, Sang-Bum;Dong, Mi-Sook;Kim, Tae-Hyu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7권4호
    • /
    • pp.455-460
    • /
    • 2009
  • Foods of plant origin, especially fruits and vegetables, have attracted attention because of their potential benefits to human health. In this report, Rubi Fructus (RF), the dried unripe fruit of Rubus coreanus Miq (Rosaceae) and ellagic acid (EA) purified from RF were used to test their potential hepatoprotective effect against acetaminophen (AAP)-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RF extract (RFext) and EA reduced the elevated levels of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in serum and the content of lipid peroxide in liver by AAP administration, while the increment of the cellular glutathione (GSH) content and the induction of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an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which were decreased by AAP administration. RFext and EA from RFext did not affect the two major form of cytochrome P450s, cytochrome P450 2E1 (CYP2E1) and cytochrome P450 1A2 (CYP1A2), but downregulated the cytochrome P450 3A4 (CYP3A4) related to the conversion of AAP to N-acetyl-P-benzoquinone imine (NAPQI). These results suggest that RFext and EA from RF exhibit a hepatoprotective effect not only by increasing antioxidant activities but also by down-regulating CYP3A4 in the AAP-intoxicated rat.

Rubus coreanus Unripe Fruits Inhibits Immediate-type Allergic Reaction and Inflammatory Cytokine Secretion

  • Shin, Tae-Yong;Shin, Hye-Young;Kim, Sang-Hyun;Kim, Dae-Keun;Chae, Byeong-Suk;Oh, Chan-Ho;Cho, Moon-Gu;Oh, Suk-Heung;Kim, Jong-Hwa;Lee, Tae-Kyoo;Park, Jeong-Su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2권3호
    • /
    • pp.144-149
    • /
    • 2006
  • The immediate-type allergic reaction (anaphylaxis) is involved in many allergic diseases such as asthma, allergic rhinitis, and sinusitis. The discovery of drugs for the treatment of immediate-type allergic diseases is a very important subject in human health.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Rubus coreanus Miq.(Rosaceae) unripe fruits (RCF) on mast cell-mediated allergic reaction and inflammatory cytokine secretion. RCF inhibited compound 48/80-induced systemic reactions in mice. RCF attenuated immunoglobulin (Ig) E-mediated local allergic reactions. In addition, RCF dependently reduced histamine release from rat peritoneal mast cells local allergic reactions. In addition, RCF dependently reduced histamine release from rat peritoneal mast cells activated by compound 48/80 or IgE. Furthermore, RCF decreased the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lus calcium ionophore A23187-stimulate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nd interleukin (IL)-6 secretion in human mast cells. Our findings provide evidence that RCF inhibits mast cell-derived immediate-type allergic reactions.

복분자 열매 추출물의 유용 생리활성 탐색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Rubus coreanus Miq)

  • 이미경;이현수;최근표;오덕환;김종대;유창연;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12
    • /
    • 2003
  • 복분자 열매의 추출물 모두 1.0mg/ml 이하의 농도로 투여 시는 정상세포 생존율을 85%이상으로 유지시켜 시료자체에 의한 독성은 나타나지 않으며, 각 추출물의 암세포에 대한 생육억제활성은 0.1 mg/ml의 낮은 농도에서도 비교적 $40{\sim}50%$의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추출물들은 0.5mg/ml 이상의 농도에서 MCF7에 대하여 78%이상, A549에 대하여서는 81%이상의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Hep3B에 대하여서는 70%이상의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GS에 대하여 에탄올 추출물들이 약 79%정도의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추출물의 selectivity에 있어서 각 추출물이 0.1mg/ml 에서 1.0mg/ml 농도에서 5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어 복분자 열매 추출물들이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하는 기작을 지닌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시료들의 면역세포생육 증진 기능은 0.5mg/ml 농도에서 B세포의 생장을1.5배 이상 T세포의 경우 1.8배 이상의 생육증진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물 추출물들이 에탄올 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면역세포의 생육 증진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고, cytokine의 생성측정 정도를 측정한 결과, IL-6는 물 추출물이 배양 6일째 0.5mg/ml의 농도에서 최고 70 pg/ml의 분비량을 나타내었으며, $(TNF-{\alpha})$도 물 추출물이 배양 6일째 최고 78.8pg/ml의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Acridine orange와 ethidium bromide로 형광 염색하여 인간 면역T cell에 대한 세포 사멸형태를 측정한 결과 배양 3일째부터 20% 이상의 세포들이 자가 사멸 형태로 사멸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 활성을 나타낸 복분자 추출물들을 Microphysiometer를 이용하여 암세포(Heb3B)와 정상세포(HEL299)에 대한 대사(산화)활성도의 영향을 3시간 동안 측정한 결과, 0.5mg/ml 농도의 에탄올 추출물을 투여 후 서서히 세포의 산화가 나타남을 확인하였고, 정상세포에 비하여 암세포에 있어서 세포의 산화속도가 급격히 증가되었다. 각종 성인병과 관련된 효소들인 ACE, ${\alpha}-glucosidase$, GST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고혈압을 유도하는 효소인 AC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와 생체 내에서 혈당 상승의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alpha}-glucosidase$의 작용의 경우 약간의 효과가 있었으나 유의적이지 못하였으며, 간의 중요 해독기전 중의 하나인 GST(gultathion-S-transferase)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1.0mg/ml의 농도에서 GST 활성을 1.6배 정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이러한 복분자를 기능성식품으로 개발 시 면역증진기능을 야기하는 기능성을 중심으로 면역증진활성을 지닌 제품을 중점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이를 통하여 복분자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이들에 대한 수요가 증가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