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sa davurica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4초

사람의 저밀도 지방단백질의 산화에 대한 생열귀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Rosa davurica Pall Extract on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LDL))

  • 사재훈;이완;신인철;정경진;심태흠;오흥석;김영진;정의호;김광기;최대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11-316
    • /
    • 2004
  • 비타민-C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생열귀나무의 자원화를 위한 연구로서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 및 사람의 저밀도지방단백질의 산화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생열귀나무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측정한 결과, 모든 부위에서 100g당 8.3-10.6g으로 매우 높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생열귀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물질의 함량을 측정 한 결과, 생열귀나무 뿌리 메탄올 추출물과 뿌리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을 분획물이 285nm에서 흡수를 나타내는 페놀성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BARS에 의한 LDL산화 억제효과 측정시, 생열귀나무 뿌리의 메탄올 추출물이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생열귀나무 뿌리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을 분회물의 경우, $30\;{\mu}g/mL$ 첨가시 85.3% 및 93.2%까지 LDL 산화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CHCl_3$ 분획물, EtOAc 분획물, 그리고 BuOH 분획물은 $30\;{\mu}g/mL$ 분획물 첨가시 $Cu^{2+}$에 의한 LDL 산화를 8시간까지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Cu^{2+}$에 의한 apoB carbonylation과 conjugate diene형성 억제효과 측정시, EtOAc 분획물과 BuOH 분회물이 가장 탁월하게 억제함을 보여주었다. 생열귀나무는 다량의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산화 활성이 매우 탁월하므로 새로운 기능성식품 소재로의 활용이 기대되는 약용식물자원이다.

Vitamin Contents the Fruits of Rosa davurica Pall.

  • Shin, Kuk-Hyun;Chung, Ha-Sook;Cho, Seon-Haeng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1995년도 The 5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Development of Anti Cancer Resources From Plants 및 1995년도 동양자원식물학회 정기학술 발표회
    • /
    • pp.42-42
    • /
    • 1995
  • PDF

The antidiabetic effects of an herbal formula composed of Alnus hirsuta, Rosa davurica, Acanthopanax senticosus and Panax schinseng in the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Hu, Weicheng;Yeo, Jin-Hee;Jiang, Yunyao;Heo, Seong-Il;Wang, Myeong-Hye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7권2호
    • /
    • pp.103-108
    • /
    • 2013
  • A folk prescription consisting of Alnus hirsuta, Rosa davurica, Acanthopanax senticosus and Panax schinseng has been used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The aim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to evaluate the antidiabetic effects of the herb formula extract (HFE) composed of Alnus hirsuta, Rosa davurica, Acanthopanax senticosus and Panax schinseng in the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The HFE was mixed in the food supply of the healthy and STZ-induced diabetic male Sprague-Dawley rats, and its effects on the body weight, water and food intake, hyperglycemia, hypolipidemic and islet structure were studied. The treatment of the rats with STZ for 6 weeks resulted in marasmus, polydipsia, polyphagia, hyperglycemia and hypoinsulinemia. In addition, the diabetic rats showed an apparent decrease in the insulin immunoreactivity and the number of ${\beta}$-cells in the pancreas. The addition of the HFE to the rats' food supply significantly lowered the serum glucose and the serum triglycerides level and preserved the normal histological appearance of the pancreatic isle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EF have a strong antidiabetic potential along with the significant hypoglycemic and hypolipidemic effects, which may be applicable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생열귀나무의 채취부위 및 시기별 비타민 함량 (Vitamin content in Rosa davurica Pall.)

  • 신국현;임순성;이상현;서정식;유창연;박철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10
    • /
    • 1998
  • 생열귀나무의 채취부위 및 시기별 ascorbic acid 와 ${\beta}-carotene$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열귀나무의 채취부위중 ascorbic acid 함량은 잎부분에서 가장 높았으며 과일 보다는 2.7배, 줄기와 뿌리 보다는 14배 정도 더 높았다. 2. 잎 채취시기별 ascorbic acid 함량은 11월에 채취한 잎이 9월에 채취한 잎보다 1.8배 더 높았으며, 11월에 채취한 잎이 9월에 채취한 잎보다 1.8배 더 높은 ascorbic acid를 함유하고 있었다. 3. 생열귀나무의 채취부위중 ${\beta}-carotene$함량은 잎부위에서 가장 높았으며, 과일보다는 3.5배 더 높았다. 4. 잎 채취시기별 ${\beta}-carotene$ 함량은 11월에 채취한 잎이 9월에 채취한 잎보다 더 높았으나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 PDF

한국산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잎의 생리활성 기능 검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Leaves from Korean Rosa davurica Pall.)

  • 김준범;최승필;이득식;함승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00-105
    • /
    • 2004
  • 생열귀나무의 잎을 시료로 생리활성 기능을 검색하기 위해 메탄올, 에탄올, 클로로포름 및 물 추출물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 대하여 DPPH 자유라디칼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성 효과와 S. thphimurium TA98과 TA100을 이용한 항돌연변이원성 효과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생열귀나무 잎의 용매별 추출수율은 물 추출물이 24.8%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메탄을 추출물 (21.3%), 에탄올 추출물 (17.0%) 및 클로로포름 추출물 (5.6%) 순으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생열귀나무 잎의 각 추출물의 수소전자공여능 $IC_{50}$/(Inhibition concentration)을 측정한 결과 물, 메탄올, 에탄을 추출물의 경우 대조구인 butyl-hydroxytoluene, 비타민 C, 알구토코페놀과 유사하게 나타나 항산화 억제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열귀나무 잎의 메탄을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는 TA98 균주에 대하여 세 종류의 변이원 물질 모두 농도 증가에 따라 억제율이 증가함을 나타내었으며, 생열귀나무 잎의 클로르포름 추출물 결과는 TA98 균주에 대하여 3가지 변이원 물질 모두 농도 증가에 따라 억제율이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생열귀나무 잎의 에탄을 추출물의 경우 TA98 균주에 대하여 200 $\mu\textrm{g}$/plate의 농도를 첨가하였을 때 B($\alpha$)P에 대해 79.8%의 억제율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생열귀나무 잎의 물 추출물은 TA98 균주에 대하여 200 $\mu\textrm{g}$/plate의 농도 첨가에서 B($\alpha$)P에 대해 67.2%의 억제율을 보였다.

영실(營實)과 그 위품의 유전자 감별 (DNA barcoding analysis of Rosase Multiflorae Fructus and its adulterants)

  • 도의정;신상문;이금산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8
    • /
    • 2019
  • Objectives : Rosae Multiflorae Fructus is a traditional medicine derived from the fruit of Rosa multiflora Thunb. a member of the Rosaceae family. Even though it has a single origin, the possibility of adulterants has always existed. In fact, we had discovered suspicious commercial samples of Rosae Multiflorae Fructus, imported from China. Methods : To define the taxonomic origin of Rosae Multiflorae Fructus and its adulterants, DNA barcode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trnL-F intergenic spacer, and psbA-trnH sequences was carried out. These DNA barcode sequences from the correct origin of Rosae Multiflorae Fructu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samples from genus Rosa used as medicinal herbs. Results : The analyses of the three DNA barcode sequences efficiently distinguished Rosae Multiflorae Fructus from six other species in genus Rosa and also separated each species us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DNA barcoding results, none of the suspicious commercial samples were Rosae Multiflorae Fructus. RMF09 was identified as Rosa acicularis, whereas RMF10 and RMF11 were identified as Rosa davurica and Rosa rugosa, respectively. These results corroborated the existence of adulterants of Rosae Multiflorae Fructus. Conclusions : Our research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hat could be used as a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between Rosae Multiflorae Fructus and its adulterants. These results will help in the prevention of adulteration and also suggest effective methods for verifying the origin of commercial herbal medicines derived from genus Rosa.

Antihepatotoxic activity and phytochemical study on Rosa davurica

  • Park, Jong-Cheol;Hur, Jong-Moon;Park, Ju-Gwon;Hwang, Young-Hee;Park, Da-Rae;Jung, Deug-Young;Kim, Moon-Sung;Kim, Suk-Nam;Park, Jong-Wo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1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 /
    • pp.272.2-272.2
    • /
    • 2001
  • PDF

생열귀나무 열매의 비타민 함량(含量) (Vitamin Contents in the Fruits of Rosa davurica PALL)

  • 신국현;정하숙;조선행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1-24
    • /
    • 1995
  • 생열귀나무의 열매를 약용 또는 건강식품으로서 의 실용화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과실을 대원형(大圓形), 타원형(楕圓形) 및 소원형(小圓形)으로 분류하여 ascorbic acid와 ${\beta}-carotene$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Ascorbic acid의 함량은 대원형(大圓形)에서 건중(乾重) 100g 당(當) 911mg으로 가장 높았으며 타원형(楕圓形) 358mg, 소원형(小圓形) 344mg으로서 비교적 그 함량이 낮았다. 2. ${\beta}$-carotene의 함량은 타원형(楕圓形)에서 건중(乾重) 100g 당(當) 286mg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원형(大圓形)도 208mg으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나 소원형(小圓形)은 24mg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3. 종자(種子)의 ascorbic acid는 과육(果肉)보다 1/10 - 1/30의 수준이었으며 과육의 조추출물은 대원형(大圓形)과 소원형(小圓形)은 각각 2,600mg 및 2,700mg 이었으나 타원형(楕圓形)은 1,060mg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 PDF

오존에 의한 피부손상 확인 및 이를 방어하는 피부 외용제 소재의 탐색 (Identification of Ozone-induced Skin Damage and Screening of Antioxidant for Ozone)

  • 최신욱;김창수;정재형;김남경;한상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9-51
    • /
    • 2004
  • Ozone(O$_3$), one of best-known toxic air pollutant, act as a strong oxidant. It is possible that skins exposed to the air can be easily damaged by such oxidative air pollutants.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anti-oxidative effects of natural product. on $O_2$ㆍ and ㆍOH were investigated by EPR. Ozone caused protein damage and lipid oxidation, in HaCaT and B16F10 leading ultimately to programmed cell death. It also reduced the level of antioxidant molecules including ascorbic acid and tocopherol in stratum comeum. However, antioxidants originated from natural products could protect skin from these products could protect skin from these oxidative damages. We concluded that eight natural extracts including Rosa davurica, Ligularia sibrica, Green tea acted as strong antioxidants against oz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