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 numbers

검색결과 267건 처리시간 0.052초

대학급식에서 제공되는 통도라지 무침의 미생물학적 위해분석과 표준레시피 작성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and Preparation of Standard Recipe for Bellflower Roots with Seasonings Served in a University Foodservice Operation)

  • 류경;채현숙;김운주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2권2호
    • /
    • pp.157-171
    • /
    • 2006
  •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HACCP-based standard recipe for bellflower roots, classified as no thermal cooking process, served in a university foodservice operation. The time-temperature and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 in each cooking step were analyzed. The temperatures of bellflower root, peeled garlic and green onion at receiving were at 13.8$\pm$2.8, 12.6$\pm$2.9 and 13.7$\pm$$0.8^\circC$ respectively, which were above the temperature limit. The time consumed for pre-preparation was up to 90 min at room temperature having high microbial growth potential. The levels of total plate counts (TPC) of bellflower root and garlic were over the limit of $10^6$ CFU/g as were the numbers of coliforms in bellflower roots. There were no microbial reductions in pre-preparation and cooking, which resulted in over $10^5$- $10^6$ CFU/g of TPC at service step. Two CCPs identified were washing/sanitation at pre-preparation and service steps. The control measures were washing/sanitation and temperature control. It was verified that CCPs for no cooking process developed in preceding studies were applicable for the microbiological food safety of this menu item. The HACCP-based standard recipe was developed to produce a quantity for 100 servings by observing the critical limits established for CC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election of proper provider is imperative to control the microbial contamination of raw materials at purchasing step. Also, the sanitary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for the employees to understand and comply the HACCP plan and standard recipe.

  • PDF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enibacillus polymyxa GBR-1 involved in root rot of stored Korean ginseng

  • Kim, Young Soo;Kotnala, Balaraju;Kim, Young Ho;Jeon, Yongh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0권4호
    • /
    • pp.453-461
    • /
    • 2016
  •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characterization of Paenibacillus polymyxa GBR-1 (GBR-1) with respect to its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plants. Method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BR-1 were identified with microscopy, and subjected to Biolog analysis for identification. Bacterial population and media optimization were determined by a growth curve. The potential for GBR-1 as a growth promoting agent, to have antagonistic activity, and to have hydrolytic activity at different temperatures was assessed. The coinoculation of GBR-1 with other microorganisms and its pathogenicity on various stored plants, including ginseng, were assessed. Results: Colony morphology, endospore-bearing cells, and cell division of GBR-1 were identified by microscopy; identification was performed by utilizing the Biolog system, gas chromatography of fatty acid methyl esters (GC-FAME). GBR-1 showed the strongest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fungal and bacterial pathogens. GBR-1 cell numbers were relatively higher when the cells were cultured in brain heart infusion (BHI) medium when compared with other media. Furthermore, the starch-hydrolytic activity was influenced by GBR-1 at higher temperature compared to low temperatures. GBR-1 was pathogenic to some of the storage plants. Coinoculation of GBR-1 with other pathogens causes differences in rotting on ginseng roots. A significant growth promotion was observed in tobacco seedlings treated with GBR-1 suspensions under in vitro conditions, suggesting that it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might play a role in growth promo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GBR-1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ginseng root and other stored plants as a potential biocontrol agent and eliciting in vitro growth promotion.

건설공사에서의 갈등원인 연구 (Analysis of Causes of Conflict in Construction Projects)

  • 오국열;이영대;김창수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73-478
    • /
    • 2007
  • 여러조직과 많은 사람이 참여하는 건설프로젝트는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건설참여자들 사이의 갈등은 건설프로젝트 건설프로젝트의 커다란 관심거리로서 이의원인에 대한 연구는 대단히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산업에서 분쟁의 근본적 원인을 조사하고자 현장의 건설전문가들(발주자, 컨설턴트, 시공사)로부터 설문자료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고 이 조사 자료를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건설갈등의 근본원인인 재정적 요인 등 10가지를 도출하였고 이를 (i) 프로젝트 리더쉽의 부족, (ii) 부실기공사의 선정, (iii) 부실한 프로젝트 관리 경영, (iv)프로젝트 전문가의 태도의 4가지로 분류하였다.

  • PDF

근류균의 종자 접종방안의 차이가 근류형성 및 Alfalfa 유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Inoculation Methods on the Nodulation and the Growth of Alfalfa Seeding)

  • 이광회;이호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2-197
    • /
    • 1981
  • Alfalfa에 대한 국내분이 근유균의 유효성과 효과적인 근유균 접종방법을 밝히고져 배지상에서 이들 균주의 근유형성 및 질소고정능력을 검토한 다음 이들 균주에 3가지 종자접종방법을 적용하여 사경재배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유균 접종에 따른 근유의 형성은 접종 2주후부터 볼 수 있었고 유묘의 생장은 대조구보다 현저히 증가되있으며 질업처리구(70ugN/ml)와 차이가 없어 두 균주는 모두 유교균주로 평가되었다. 2. 두 균주 모두 Broth-vacuum 방법으로 접종한 것은 근규의 형성은 있었으나 실험기간 중 유묘의 생장에 있어서는 무접종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3. Peat & lime pelleting 방법은 두 균주 모두에서 근유형성과 유묘생장을 현저히 증가시켰으나 Peat-adhesive 방법은$ A_1$ strain 에서 만 효과적이었다. 4. 근유의 무게와 지상부 건물중 그리고 근유의 무게와 근중사이에는 두 균주 모두에서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 PDF

The Plant Growth-Promoting Fungus Aspergillus ustus Promotes Growth and Induces Resistance Against Different Lifestyle Pathogens in Arabidopsis thaliana

  • Salas-Marina, Miguel Angel;Silva-Flores, Miguel Angel;Cervantes-Badillo, Mayte Guadalupe;Rosales-Saavedra, Maria Teresa;Islas-Osuna, Maria Auxiliadora;Casas-Flores, Sergi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7호
    • /
    • pp.686-696
    • /
    • 2011
  • To deal with pathogens, plants have evolved sophisticated mechanisms including constitutive and induced defense mechanisms. Phytohormones play important roles in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as well as in the systemic response induced by beneficial and pathogen microorganisms. In this work, we identified an Aspergillus ustus isolate that promotes growth and induces developmental changes in Solanum tuberosum and Arabidopsis thaliana. A. ustus inoculation on A. thaliana and S. tuberosum roots induced an increase in shoot and root growth, and lateral root and root hair numbers. Assays performed on Arabidopsis lines to measure reporter gene expression of auxin-induced/ repressed or cell cycle controlled genes (DR5 and CycB1, respectively) showed enhanced GUS activity, when compared with mock-inoculated seedlings. To determine the contribution of phytohormone signaling pathways in the effect elicited by A. ustus, we evaluated the response of a collection of hormone mutants of Arabidopsis defective in auxin, ethylene, cytokinin, or abscisic acid signaling to the inoculation with this fungus. All mutant lines inoculated with A. ustus showed increased biomass production, suggesting that these genes are not required to respond to this fungus. Moreover, we demonstrated that A. ustus synthesizes auxins and gibberellins in liquid cultures. In addition, A. ustus induced systemic resistance against the necrotrophic fungus Botrytis cinerea and the hemibiotrophic bacterium Pseudomonas syringae DC3000, probably through the induction of the expression of salicylic acid, jasmonic acid/ethylene, and camalexin defense-related genes in Arabidopsis.

옻나무 근삽시 삽상배지의 효과 (Effects of Cutting Media in Root Cuttings of Lacquer Tree (Rhus verniciflua Stokes))

  • 두홍수;권태호;양문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41-246
    • /
    • 2001
  • 옻나무 근삽에 의한 묘목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7종류의 삽상배지를 공시하여 신초발생율과 묘소질을 조사하였다 삽상배지는 PV(peatmoss vermiculite = 1 : 1)와 PVS(peat moss : vermiculite : sand = 1 : 1 : 2) 처리구에서 3주 후부터 신초가 발생되었고, 삽 식 10주 후의 신초발생율은 PVSC(peatmoss : vermiculite : sand : clay loam = 1 : 1 : 2 : 2)배지에서 80%로써 가장 높았다. 삽수당 신초형성수는 PH와 PVC 삽상배지가 2.2개로써 가장 많았고 HSC 삽상배지 는 1.3∼1.5개로써 가장 적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Peatmoss, vermiculite, sand 및 clay loam을 각각 1:1:2:2 (v/v/v/v)로 혼합한 PVSC 삽상배지가 옻나무 근삽의 삽상배지로 이용하기에 양호하였으며, 수장, 분지수, 엽수, 경직경 및 엽면적 등의 묘소질 역시 양호하여 본포에 이식하기에 적당하였다.

  • PDF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and Function Shift in Rhizosphere Soil of Tobacco Plants Infected by Meloidogyne incognita

  • Wenjie, Tong;Junying, Li;Wenfeng, Cong;Cuiping, Zhang;Zhaoli, Xu;Xiaolong, Chen;Min, Yang;Jiani, Liu;Lei, Yu;Xiaopeng, De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8권6호
    • /
    • pp.583-592
    • /
    • 2022
  • Root-knot nematode disease is a widespread and catastrophic disease of tobacco.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hizosphere bacterial community and root-knot nematode disease. This study used 16S rRNA gene sequencing and PICRUSt to assess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and function changes in rhizosphere soil from Meloidogyne incognita-infected tobacco plants. We studied the rhizospher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of M. incognita-infected and uninfected tobacco plants through a paired comparison design in two regions of tobacco planting area, Yuxi and Jiuxiang of Yunnan Province, southwest China. According to the findings, M. incognita infection can alter the bacterial population in the soil. Uninfested soil has more operational taxonomic unit numbers and richness than infested soil.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revealed clear separations between bacterial communities from infested and uninfested soil, indicating that different infection conditions resulted in significantly different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s in soils. Firmicutes was prevalent in infested soil, but Chloroflexi and Acidobacteria were prevalent in uninfested soil. Sphingomonas, Streptomyces, and Bradyrhizobium were the dominant bacteria genera, and their abundance were higher in infested soil. By PICRUSt analysis, some metabolism-related functions and signal transduction functions of the rhizosphere bacterial community in the M. incognita infection-tobacco plants had a higher relative abundance than those uninfected. As a result, rhizosphere soils from tobacco plants infected with M. incognita showed considerabl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and function alterations.

유용 Pseudomonas 종의 근면점유와 무우 Fusarium시들음병의 억제에 관한 생물학적 정량 (Root Colonization by Beneficial Pseudomonas spp. and Bioassay of Suppression of Fusarium Wilt of Radish)

  • 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1호통권80호
    • /
    • pp.10-19
    • /
    • 1997
  • 무우품종(Raphanus sativus L.) Saxa Nova에 시들음병을 일으키는 Fusarium oxysporum f. sp. raphani (FOR)에 대해 저항성을 증가시켜 방제효과를 얻기 위하여 식물성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Pseudomonas florescens WCS374 (WCS 374), P. putida RE10 (RE10) 및 Pseudomonas sp. EN41S (EN415)을 병원균처리 토양에 단독 또는 혼합처리하여 4주간 폿트배양한 후 무우에 나타나는 외부 및 내부병징을 조사하여 처리세균에 의한 병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내부 및 외부병징으로 대조구는 각각 46.5% 및 21.1%를 나타내었고, RE10처리는 내외병징이 각각 12.2%와 7.8%로 발병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발병억제력이 높다고 알려진 WCS374는 내외 병징이 각각 45.6%와 27.8%로 나타났다. 한편 RE10균주를 WCS374 또는 EN415 균주와 혼합하여 처리할 경우 내외 병징이 10.0-22.1% 정도이었고 EN415와 혼합처리하면 7.8-20.2%의 병징을 나타낸다. FOR의 뿌리점유율은 뿌리에서 $2.4-5.1{\times}10^3/g$였고 토양내 분포수는 $0.7-1.3{\times}10^3/g$이었다. 대조구는 뿌리에서 $3.8{\times}10^3/g$였으며 RE10의 처리는 $2.9{\times}10^3/g$로 분포수가 적었고, 3종 세균의 혼합처리는 $5.1{\times}10^3/g$으로 많이 관찰되었으나, 처리간에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토양에서 관찰된 FOR은 부리부분 보다 그 분포 수가 적었다. 처리된 3가지 세균은 뿌리에서 $2.3-4.0{\times}10^7/g$ 범위이고, 토양에서는 $0.9-1.8{\times}10^7/g$으로 뿌리에서 관찰된 수 보다 적게 분포하였다. 뿌리부분에서 대조구나 RE10의 처리토양은 형광성 Pseudomonas spp.의 분포수가 적고 처리간에는 통계적 차이를 나타냈으나, 토양조사에서 이세균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뿌리에 처리된 세균과 FOR의 분포수는 토양에 처리된 것과 대조하였을 때 많았으며, 이 실험 에 사용된 RE10과 EN415은 Fusarium시들음병에 대한 기주의 저항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고등학교 10-가 교과서 복소수 단원에 관한 논리성 분석연구 (A Search for an Alternative Articulation and Treatment on the Complex Numbers in Grade - 10 Mathematics Textbook)

  • 양은영;이영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3호
    • /
    • pp.357-374
    • /
    • 2008
  • 본 연구는 현재 고등학교 1학년에서 처음 소개되는 복소수 단원의 복소수의 정의와 연산, 그 연산에 대한 성질 등 교과서의 서술 방식이 학생들의 '수준'과 교육과정의 흐름에 맞게 논리적으로 서술되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여기서 학생들의 '수준'이란 실수에서 복소수로의 새로운 수 체계의 확장에 따른 대수적 구조를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가정한다. 즉,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 전반의 전체적인 흐름을 볼 때 복소수 단원의 목표는 새로운 수의 확장에 따른 대수적 구조의 보존을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목표에 맞게 복소수의 정의와 연산, 그 연산에 대한 성질이 교과서에서 서술되는 방식이 수학적인 입장에서 보았을 때 논리적인 비약(gap)이나 순환논증의 오류를 가지지 않고 적절하게 서술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런 관점에서 16종 교과서를 분석하여 크게 다섯까지의 분석 대상을 찾아내었다. 첫째는 허수 단위 i의 도입과 음수의 제곱근, 둘째는 복소수의 정서방식에서 실수와 순허수의 정의 방식, 셋째는 복소수의 사칙 연산, 넷째는 복소소의 연산에 관한 성질에서의 대소 관계와 역원의 표현 방법, 마지막으로 대수적 구조의 보존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주요 관점에서 살펴본 위의 5가지 대상에 관한 교과서의 서술방식은 논리적 정확성의 문제와 순환논리의 오류가 생길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고, 연구자가 일부 논리적 비약(gap)으로 판단한 것이 있는데, 이는 오류가 아닐 수 있으나 학생들이 이해하는 데에 있어 논리적으로 전후가 맞지 않는 전개과정 이라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 PDF

맥후작(麥後作) 직파시기(直播時期)가 황금(黃芩)의 주요형질(主要形質)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owing Time on Dry Root Yield and Agronomic Traits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 Cultivated After Barley)

  • 권병선;박규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02-205
    • /
    • 1997
  • 남부지방(南部地方)에서 황금(黃芩)의 맥후작(麥後作) 직파재배(直播栽培)의 적정파종기(適定播種期)를 구명(究明)하여 재배기술(栽培技術)을 개선(改善), 보완(補完)하고 수량(收量)을 증대(增大)시켜 안정생산(安定生産)에 기여(寄輿)하고자 여천재래종(麗川在宋種)을 공시(供試)하여 실시(賣施)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出芽) 소요기간(所要期間)에 있어서 6월(月)1일(日) 파종(播種)은 6월(月)12일(日)로 11일(日)이 소요(所要)되었고 6월(月)10 일 파종(播種)은 6월(月)16일(日)로서 6일(日)이 소요(所要)되었으며 6월(月)20일(日) 파종(播種)은 6월(月)23일(日)로서 3일(日)이 소요되었다. 2. 개화(開花) 소요기간(所要期間)에 있어서 6월(月) 1일(日) 파종(播種)은 54일(日)이 경과(經過)되어 7월(月)24일(日)에 개화(開花)되었고 6월(月)10일(日) 파종(播種)은 45일(日)이 경과(經過)되어 7월(月)25일(日)에 개화(開花)되었으며 6월(月)20일(日) 파종(播種)은 37일(日)이 경과(經過)되어 7월(月)27일(日)에 개화(開花)되었다. 3. 지상부(地上部)의 생산물(生産物)인 주경장(主莖長), 주경경(主莖徑), 주경절수(主莖節數), 분기수(分技數) 및 건경엽중(乾莖葉重) 모두 6월(月)1일(日) 파종(播種)에서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4. 지하부(地下部)의 생산물(生産物)인 주근장(主根長), 주근경(主根徑), 주당상근수(株當上根數) 및 건근중(乾根重) 모두 6월(月)1일(日) 파종(播種)에서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