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 chicory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8초

Arthrobactor sp. A-6의 배양과 Chicory 뿌리 추출물에서 Di-Fructofuranose Dianhydride(DFAIII)의 생산 (Cultivation of Arthrobactor sp. A-6 and Production of DFA III(Di-Fructofuranose Dianhydride) from Chicory Root Extract)

  • 김기은;신창훈;최용진;김찬화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9-73
    • /
    • 2000
  • Chicory 뿌리에서 Arthrobacter sp. A-6를 배양하여 inulin fructotransferase를 생산하였을 매 균주의 성장속도, 효소의 생산성을 검토하였다. 가공된 치커리 뿌리는 inulin fructotransferase의 crude enzyme solution으로 처리하였을 때 생산되는 di-fructofuranose dianhydride(DFA III)의 양을 chicory 뿌리의 가공방법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우선 standard 배지에서 생산된 효소액으로 10%의 inulin이 포함된 standard inulin용액을 처리하면, 1.14mg/ml의 DFA III가 생산되었다. Chicory뿌리의 전처리방법에 따라,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진행시키는 실험을 통해 각 배지에서의 생산효율을 비교하였다. Chicory뿌리를 washing과 extraction과정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반응시켰을 경우, 2.29 mg/ml의 DFA III가 생산되어 생산성이 가장 높았는데, 이는 세척과정에서 inulin이 유실되지 않으므로, 기질로 작용하는 inulin의 양이 가장 높은 데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ffect of Chicory Root Extract on Cholesterol Metabolism in Rats

  • Cha, Jae-Young;Jeong, Soon-Jae;Cho, Young-Su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3호
    • /
    • pp.131-134
    • /
    • 2001
  • Effects of water-soluble extract from roasted-chicory root on the cholesterol metabolism in rats fed cholesterol diet were investigated. Sprague-Dawley rats received a hypercholesterolemic diets without (control group) or with 5.0% water-soluble extract from roasted chicory root for 2 weeks. Roasted chicory extrac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body weight gain and food intak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and LDL+VLDL cholesterol in serum were significantly lower in rats fed roasted chicory extract diet. However,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and atherogenic index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dietary roasted chicory extract. Fecal net weight, fecal cholesterol, and bile acid excre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hicory extract group.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hypocholesterolemic effect in rats fed roasted chicory extract may be caused by an alteration in the absorption of cholesterol by an increase in the fecal excretion of cholesterol and bile acid.

  • PDF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에 의한 치커리 세균성무름병 (Bacterial Soft Rot of Chicory by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 임춘근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6-119
    • /
    • 1995
  • 강원도 인제지역에서 집단재배되고 있는 치커리에 무름병이 관찰되었다. 병징 초기증사은 치커리 뿌리에서 무름증상을 나타내는 것을 시작으로 시간이 지남에 다라 병징부위가 점차적으로 확대되어 뿌리가 완전히 부패되었다. 뿌리의 연부증상은 치커리 지상부위를 마르게하여 결국은 고사시켰다. 병반부로부터 분리한 병원균은 생리, 화학적특성과 Biolog program의 결과에 따라 Erwinia carotovora subsp. corotovora로 동정되었다. E. carotovora subsp. carotovora에 의한 치커리의 무름병은 국내에서 보고된 바가 없기에, 본 세균에 의한 병을 "치커리 세균성무름병(bacterial soft rot of chicory)" 이라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 PDF

치커리 근경이 치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cory (Chicorium intybus L.) Root Diameter on Chicon Growth Characteristics)

  • 서현택;원재희;전신재;강호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39-143
    • /
    • 2011
  • 본 연구는 치커리 뿌리의 외적요인과 치콘의 생체중간에 관계를 분석하고, 이중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요인을 치콘 규격 생산에 적합한 종근의 외적 판단기준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자료를 만들고자 수행하였다. 종근의 외적요인인 근경(0.726)과 근중(0.508)의 상관관계를 보면 모두 생체중과 정(+) 상관관계를 보였다. 치콘 생체중에 영향을 주는 종근의 외적요인인 근경과 근중 중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인자를 찾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치커리 근경의 회귀계수($6.06^{***}$)만이 유의하여 치콘 생체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가지 품종의 치커리를 근경(x) 크기별로 x ${\leq}$ 30mm, 30 < x ${\leq}$ 40mm, 40 < x ${\leq}$ 50mm, x > 50mm로 분류하여 치콘을 생산한 결과 거의 모든 품종에서 근경이 증가할수록 치콘 생체중, 치콘 폭, 엽수 등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치커리 종근의 탄수화물 함량 등 내부요인을 분석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간편한 외적요인인 치커리 근경을 수확 후 측정하여 치콘의 생체중을 미리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치코리뿌리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the Chicory Root)

  • 김택영;유영진;이경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58-262
    • /
    • 1978
  • Proximate composition, minerals and fatty acid in dried chicory root (moisture content 7.0%) are analyzed and subsequent results are as follows: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fiber, total sugar and ash content in chicory root are 8.6%, 1.6 %, 6.9%, 58.5% and 4.2%, respectively. Mineral content of Ca, P, Fe, Mg and Si in the root are 1,560, 180, 10,600 and 180 mg%, respectively. Other minerals such as K, Na, Al, Zn, Ag, Cu and Ti are also determined.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in total fat of the root is 65.4%, Particularly high in linoleic acid. Uridine-5'-diphospho-glucose, as sole nucleotide-sugar in the root, was detected.

  • PDF

볶음 치커리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Roasted Chicory Root)

  • 박채규;전병선;심기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29-335
    • /
    • 2003
  • 국내산 치커리의 생리적 기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복음치커리의 물추출물은 간세포의 독성을 유발시키지 않았으며, 5 mM의 galactosamine을 5시간 배양하였을 때 LDH의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mM의 galactosamine으로 독성을 유발시킨 흰쥐의 간세포에 볶음치커리 물추출물을 투여한 결과 간세포로 부터 유리되는 LDH의 활성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켜 간세포 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볶음치커리 물추출물 800 mg을 당뇨 유발 흰쥐에 10일간 투여한 결과 혈당치는 297 mg/dl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었고, 체중은 대조구에 비해 20% 높게 나타났다. Salmonella thyphimurium YG 1024의 복귀돌연변이 콜로니수를 조사한 결과 복음치커리 물추출물 ($10{\sim}5,000\;{\mu}/g$)의 처리구에서는 돌연변이를 유발시키지 않았으며, 2-aminofluorene을 처리한 양성 대조군에 물추출물을 plate당 $1,000{\sim}5,000\;{\mu}/g$ 농도로 처리한 결과 돌연변이 억제 활성은 없었다.

Improved Micropropagation of Root Chicory, Cichorium intybus L. var. sativus.

  • Lim, Jung-Dae;Yang, Deok-Chun;Lee, Hyeon-Yong;Kim, Jong-Dai;Lee, Jin-Ha;Sung, Eun-Soo;Yu, Chang-Yeon
    • Plant Resources
    • /
    • 제7권1호
    • /
    • pp.60-64
    • /
    • 2004
  • The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protocol for plant regeneration and micropropagation from leaf explant cultures of Chicory, Cichorium intybus L. var. sativus. is reported. Callus formation rate appeared 100% from explant in all growth regulators, but calli formed in the prensence of naphthaleneacetic acid (NAA) were appeared very compact and non-embryogenic state. The regenerated shoots were obtained from leaf explant cultures on solid MS medium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ytokinins and auxin. The highest number of shoots (5.7) per explant and shoot growth (2.8cm) was obtained on MS medium containing 0.1 mg BAP L$^{-1}$ and 0.1 mg NAA L$^{-1}$ . Indole acetic acid was the most suitable auxin for root formation among three auxins tested. 2,4-D had no effect on shoot and root formation.

  • PDF

볶음방법에 따른 치커리의 화학성분 변화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s in Chicory Roots by Different Roasting Processes)

  • 박채규;전병선;김석창;장진규;이종태;양재원;심기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79-185
    • /
    • 2003
  • 국내산 치커리 뿌리를 가공식품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 조사의 일환으로 여러 조건에서 볶음처리 하였을 때 화학성분을 조사하였다. 생치커리는 수분이 76.34%, 탄수화물 20.50%, 조단백질이 1.03%, 조지방 0.13%, 조섬유 1.02%, 회분 0.98% 이었으며, 건조치커리는 수분이 3.44%, 탄수화물 79.52%, 조단백질이 5.63%, 조섬유 5.51%, 회분 4.85%, 조지방 1.05%로 나타났다. 볶음조건에 따라 치커리의 수분함량은 $130^{\circ}C$$140^{\circ}C$에서는 볶음시간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였으나, $150^{\circ}C$$160^{\circ}C$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모든 볶음온도 40분에서는 1.00%이하로 나타났다. 조단백질함량은 볶음온도와 볶음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160^{\circ}C$, 40분에서는 1.60%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환원당 함량은 $130^{\circ}C$$140^{\circ}C$에서 볶음시간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160^{\circ}C$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무기물은 K는 $2,705.1{\sim}2,735.5mg%$, P는 $175.8{\sim}159.3mg%$, Ca는 $152.7{\sim}157.3mg%$, Mg는 $76.2{\sim}79.6mg%$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볶음조건에 따른 함량 변화는 없었다. 볶음 조건에 따른 지방산의 함량변화는 지방산은 총 13종을 동정 확인되었으며,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이며, 볶음조건에 따른 지방산의 조성비는 큰 차이가 없었다.

치커리 물추출물이 흰쥐의 혈청중성지질 및 Microsomal Triglyceride Transfer Protein (MTP)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cory Root Water Extracts on Serum Triglyceride and Microsomal Triglyceride Transfer Protein (MTP) Activity in Rats)

  • 박채규;차재영;전병선;김나미;심기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18-524
    • /
    • 2000
  • 치커리 물추출물은 실험동물의 지질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영향에 대한 대사가 작은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ulcorner음처리한 치커리(roasted-chicory)또는 볶음처리하지 않은 치커리(unroasted-chicory)로부터 물추출한 치커리 추출물을 5% 수준으로 식이에 첨가하여 SD계 수컷흰쥐에 2주간 자유 섭취시켜 혈청 및 간장의 지질 농도와 간장 MTP(microsomai triglyceride trasfer protein)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체중 증가량, 장기 중량 및 식이 섭취량은 각군잔의 유의적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혈당치는 대조군과 볶음처리한 치커리군에 비교해서 볶음처리하지 않은 치커리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청의 TG 농도는 치커리 첨가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혈청 총 콜레스테롤, 인지질 및 유리지방산 농도와 간장 지질농도는 실험군간의 유의적 치이는 없었으나,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치커리 첨가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간장에서 중성 지질 합성의 조절효소로 알려진 PAP(phosphatidate phosphohydrolase)활성은 각 실험 군간의 유의적 치이는 없었다. 그러나, 중성지질-rich 리포단백질의 합성, 분비에 필수적인 간장 MTP활성을 대조군에 비교하여 치커리군에서 현저하게 저해되었다. 간장 MTP 활성과 혈청 중성지질 농도의 사이에 높은 정의 상관관계(r=0.81)가 인정되어, 본 실험에서 치커리 뿌리 추출물에 의한 혈청 중성지질 억제효과는 간장 MTP 활성의 저해에 기인하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 PDF

Effect of Photoperiod, Temperature and True-leaf Stage in Bolting Rate of Chicory (Cichorium intybus L. var. sativus)

  • Lim, Jung-Dae;Seo, Jeong-Sik;Lee, Hyeon-Yong;Kim, Jong-Dai;Lee, Jin-Ha;Yu, Chang-Yeon
    • Plant Resources
    • /
    • 제7권1호
    • /
    • pp.29-35
    • /
    • 2004
  • Root chicory (Cichorium intybus L. var. sativus) is potential alternative medicinal and sugar crop which accumulates a high amount of linear polyfructan, inulin in its roots. A problem in root production is that over-wintered stock plants often flower. Once the plant becomes reproductive, stem elongation and root growth slows and floral buds arise from every node, rendering the plants useless for propagation.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manipulating environmental factors containing photoperiod, temperature and number of leaf state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in growth chamber to create two photoperiods (8 h, and 16 h) with three temperature regimes (5$^{\circ}C$/3$^{\circ}C$, 1$0^{\circ}C$/8$^{\circ}C$ and 15$^{\circ}C$/13$^{\circ}C$ day/night temperature) for a total of six treatments on three type of true-leaf stage of plant. Data of bolting rate, shoot and root length, shoot and fresh weight was invetigated in each treatments. This is the first report on changes in bolting rate and shoots and roots production during a whole growing season and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cold and photoperiod treatment depending on the true-leaf stage of pla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