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oot bark of Morus alba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4초

Enhancement of polyphenols, flavonoi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water extract of mulberry (Morus alba L.) root bark by steam treatment

  • Rahul, Kamidi;Kweon, HaeYong;Kim, Hyun-Bok;Lee, Ji Hae;Makwana, Pooja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4권1호
    • /
    • pp.21-27
    • /
    • 2022
  • Different parts of the mulberry plant are described to be potential sources of polyphenolics exhibiting strong antioxidant activity. In this study, we prepared various aqueous extracts of mulberry root bark by subjecting to steam at different temperatures and time intervals (45℃, 15 h; 70℃, 15 h; 95℃, 6 h and 95℃, 15 h) followed by extracting at 80℃ for 1 h. The total polyphenolic content ranged from 66.82-101.20 mg gallic acid equivalent (GE)/g of extract whereas the flavonoids were in the range of 13.03-25.23 mg catechin equivalent (CE)/g of extract. The extracts also exhibited strong antioxidant activities (0.99-1.66 mg trolox equivalent (TE)/g of extract in DDPH assay and 10.65-16.26 mg TE/g of extract in ABTS assay). This study clearly showed an improvement i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water extract of mulberry root bark by the steam treatment, which can be used as a tea or health-promoting materials.

상백피, 곰피 및 강황 추출물 첨가에 의한 카스텔라의 저장성 및 품질증진 효과 (Effect of Morus alba Root Bark, Ecklonia stolonifera, and Curcuma aromatica Extracts on Shelf-life and Quality of Castella)

  • 윤소영;최정수;이소영;김꽃봉우리;송유진;김서진;이소정;이청조;김태완;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444-1451
    • /
    • 2009
  • 상백피, 곰피 및 강황 혼합 추출물 첨가가 카스텔라의 저장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15일간 저장하여 일반세균수와 곰팡이수를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 전반에 걸쳐 무처리구에 비하여 첨가구의 미생물 생육이 억제되었으며, 첨가구의 산화보호지수가 높아 산화방지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색도의 경우 무처리구에 비하여 첨가구의 명도와 적색도는 감소하였으며,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상백피 0.25%, 곰피 0.25% 및 강황 0.125% 첨가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상백피 0.75%, 곰피 0.75% 및 강황 0.5% 처리구가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상백피, 곰피 및 강황 혼합 추출물을 각각 0.25%, 0.25% 및 0.125%의 농도로 첨가할 경우 카스텔라의 저장성, 품질 증진 및 관능 개선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일부 어병 세균에 대한 상백피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Root Bark of Morus alba against Selected Fish Pathogenic Bacteria)

  • 목종수;송기철;최낙중;양호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21-226
    • /
    • 2001
  • 상백피로부터 항균성 물질을 추출하여 어규질병에 대한 천연 항균약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어류질병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상백피 추출물에 침지 시킨 사료의 항균작용 등을 검토하였다. 고체배지에서 상백피 에탄올 추출물은 Steptococcus sp., Lactococcus garvieae 및 Staphylococcus sp. 등의 그람양성 세균에 대하여는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나, 그람음 성세균인 Listonella anguillarum 및 Edwardsiella tarda에 대하여는 약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액체배지에서 상백피 에탄올 추출물의 그람양성세균에 대한 최소발육저지농도는 19.8 $\mu\textrm{g}$/$m\ell$이었으며, 37.5~118.5 $\mu\textrm{g}$/$m\ell$의 농도에서는 살균작용물 보여 그람양성세균에 대하여는 균 증식을 억제함은 물론 살균작용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그람음성세균에 대한 최저발육저지농도는 790.0~1185.0$\mu\textrm{g}$/$m\ell$이었고, E. tarda에 대하여는 1185.0 $\mu\textrm{g}$/$m\ell$이었고, E. tarda에 대하여는 1185.0 $\mu\textrm{g}$/$m\ell$를 첨가하여도 균을 사멸시키지 못하였다. 사료를 상백피 에탄올 추출물에 침지시 적정 침지 시간은 3분이었고, 상백피 추출물에 침지시킨 사료는 그람양성세균의 증식을 억제하여 10.5~12.0 mm의 저해환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또한, 사료 중량에 따른 추출물 흡수량은 식 Y = 7.5757X + 4.6962 ($R^2$ = 0.9998)으로 아주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Effects of Morus alba L. and Natural Products Including Morusin on In Vivo Secretion and In Vitro Production of Airway MUC5AC Mucin

  • Lee, Hyun Jae;Ryu, Jiho;Park, Su Hyun;Woo, Eun-Rhan;Kim, A Ryun;Lee, Sang Kook;Kim, Yeong Shik;Kim, Ju-Ock;Hong, Jang-Hee;Lee, Choong Jae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7권2호
    • /
    • pp.65-72
    • /
    • 2014
  • Background: It is valuable to find the potential activity of regulating the excessive mucin secretion by the compounds derived from various medicinal plants. We investigated whether aqueous extract of the root bark of Morus alba L. (AMA), kuwanon E, kuwanon G, mulberrofuran G, and morusin significantly affect the secretion and production of airway mucin using in vivo and in vitro experimental models. Methods: Effect of AMA was examined on hypersecretion of airway mucin in sulfur dioxide-induced acute bronchitis in rats. Confluent NCI-H292 cells were pretreated with ethanolic extract, kuwanon E, kuwanon G, mulberrofuran G, or morusin for 30 minutes and then stimulated with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for 24 hours. The MUC5AC mucin secretion and production were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ults: AMA stimulated the secretion of airway mucin in sulfur dioxide-induced bronchitis rat model; aqueous extract, ethanolic extract, kuwanon E, kuwanon G, mulberrofuran G and morusin inhibited the production of MUC5AC mucin induced by PMA from NCI-H292 cells, respectivel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tract of the root bark and the natural products derived from Morus alba L. can regulate the secretion and production of airway mucin and, at least in part, explains the folk use of extract of Morus alba L. as mucoregulators in diverse inflammatory pulmonary diseases.

Pharmacological actions of morusinol on modulation of platelet functions via integrin αIIb/β3 signaling

  • Hyuk-Woo Kw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171-178
    • /
    • 2023
  • Morus alba, a popular medicinal plant belonging to the family Moraceae, has long been used commonly in traditional medicine and has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diabetic, anti-microbial, diuretic,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Morusinol was isolated from the root bark of M. alba; however, its biological effects have not yet been reported. Therefore, we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s of morusinol on human platelet aggregation, Ca2+ mobilization, and αIIb/β3 activity. Our data showed that collagen-induced human platelet aggregation was inhibited by morusinol without cytotoxicity.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morusinol inhibits platelet aggregation through the regulation of integrin αIIb/β3 and its associated signaling molecules. We observed that morusinol inhibited αIIb/β3 activation by regulating vasodilator-stimulated phosphoprotein, phosphatidylinositol-3 kinase, Akt (protein kinase B), and glycogen synthase kinase-3α/β. These results show that morusinol inhibited fibronectin adhesion, fibrinogen binding, and clot retraction. Taken together, morusinol shows strong antiplatelet and anti-clot retraction effects and is a potential therapeutic drug candidate to prevent platelet-related thrombosis and cardiovascular disease.

뽕나무(Morus alba L.) 부위별 생리활성 측정 및 기능성 물질 분석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y and Analysis of Functional Constituents from Different Parts of Mulberry (Morus alba L.) Tree)

  • 최상원;이유진;하세비;전영희;이동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823-831
    • /
    • 2015
  • 뽕나무를 이용한 당뇨, 고혈압 및 노화 개선용 고부가가치의 기능성 소재 및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먼저 뽕나무 부위별(오디, 상엽, 상지, 상백피)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그들의 항산화, 항당뇨, 항염증 및 미백 활성을 in vitro assay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하였으며, 아울러 각부위별 주된 기능성 성분의 함량을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뽕나무 부위별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기능성 성분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거의 대부분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활성과 함량이 높았다. 잠상상물 중 오디, 상백피 및 상지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강한 항산화($IC_{50}=128.4{\mu}g/mL$), ${\alpha}$-glucosidase($IC_{50}=12.0{\mu}g/mL$) 및 lipoxygenase($IC_{50}=36.3{\mu}g/mL$)와 tyrosinase($IC_{50}=410.3{\mu}g/mL$) 저해 활성을 각각 나타내었다. 한편 오디에는 anthocyanin(cyanidin 3-glucoside: 213.20 mg/100 g), chlorogenic acid(123.61 mg/100 g) 및 rutin(66.51 mg/100 g)이, 상엽에는 다량의 chlorogenic acid(514.97 mg/100 g)가 함유되어 있었으며, 특히 에탄올 추출물에는 물 추출물에 존재하지 않는 항당뇨 및 항고혈압성 quercetin 3-O-(6-O-malonyl)glucoside(143.25 mg/100 g) 및 kaempferol 3-O-(6-O-malonyl)glucoside(30.25 mg/100 g) 성분이 존재하였다. 상지 및 상백피에는 항염증 및 항노화성 oxyresveratrol 성분이 주성분으로 존재하였으며, 특히 상지 추출물에는 oxyres-veratrol glycoside(48.90 mg/100 g) 및 aglycone(21.88 mg/100 g) 성분이 다 존재하는 반면, 상백피에는 oxyresveratrol glycoside(724.05 mg/100 g)가 거의 대부분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상백피(223.90 mg/100 g) 및 상엽(86.07 mg/100 g)에는 항당뇨 및 항고혈압성 ${\gamma}$-aminobutyric acid 및 1-deoxynojirimycin 함량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항산화성이 강한 오디 및 상엽 추출물과 항당뇨, 항염증 및 미백 활성이 높은 상지 및 상백피 추출물을 적절히 혼합한 성인병 예방용 고부가가치 잠상산물 복합제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현재 항당뇨 및 항염증 활성이 강한 상지 및 상백피 물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 및 와인 개발과 더불어 항염증 및 미백 활성이 높은 상지 및 상백피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한 여드름 개선 및 미백 한방화장품 개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뽕나무 묘목 식재후 지조 및 뿌리피부의 저장물질의 변화 (Changes of Reserve Substances in the Bark of Stem and Root Mulberry (Morus alba L.) Graftages after Planting)

  • 성규병;유근섭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79-84
    • /
    • 1990
  • 뽕나무 묘목의 지조 및 뿌리피부의 저장물질량이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묘목의 청수부 위 3cm 부분의 가지 직경을 측정하여 7.0-7.9mm, 9.0-9.9mm 및 11.0-11.9mm의 3수준으로 구분하고, 시비구와 무시비구로 나누어 폿트에 식재재배하여 경시적으로 건물중, 신초생장, 뽕잎 생산량, 엽록소 함량, 탄수화물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1. 신초가 생장함에 따라 지조 및 뿌리피부의 건물중은 식재후 5주에 최저치를 보인 후 증가하였다. 건물중의 최대 감소비율은 지조피부에서 17.5-20.1%, 뿌리 피부에서 20.1-24.6%로, 뿌리 피부의 감소율이 높았으나, 식재 후 3주까지의 초기 생장기간에는 지조피부의 감소율이 높았다. 2. 저장물질에 의존하는 생장의 한계는 식재 후 6-7주로 생각된다. 무시비구의 신초장은 식재후 6-7주에 최대를 보인 후 감소하였으나 시비구에서는 계속 생장하였다. 3. 묘목의 직경이 클수록 뽕잎 건물생산량이 많았으며, 식재후 3주에는 시비유무에 관계없이 같은 묘목굵기에서는 거의 같은 경향이었으나, 3주 이후에는 시비구가 무시비구보다 높았다. 4. 뽕잎의 엽\ulcorner소함량은 묘목이 굵을수록 높았으며, 시비구가 무시비구보다 높았다. 5. 묘목굵긷와 지조 및 뿌리피부의 건물중당 탄수화물함량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전당함량은 식재후 3주까지 일시 증가한 후 5주까지 계속 감소하였다. 그 후 시비구에서는 다시 증가하였으나, 무시비구에서는 계속 감소하였다. 환원당은 시비구 및 무시비구 모두 식재후 3주까지 증가하였으나 그 후 감소하였다. 지조 및 뿌리피부의 전분함량은 시비구 및 무시비구에서 식재 후 5주까지 감소 후 증가하였다.

  • PDF

뽕나무 품종별 고조삽목에 있어서 삽수내 저장물질의 경시적 변화 (Studies on the Changes with Time of the Reserve Substances in the Hardwood Cutting of Mulberry Varieties)

  • 최영철;유근섭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1
    • /
    • 1989
  • 뽕나무 고조삽목에 있어서 각 품종별로 삽수피부의 건물량, C/N률, 탄수화물, 단백질 및 핵산 등의 삽목후 경시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삽목당일부터 삽목 후 4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삽수의 피부를 채취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뿌리와 신초의 생장은 검운뽕(Morus bombycis KoIDZ)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다음으로 대륙뽕(Morus Lhou(SER.) KoIDZ.)과 개량뽕(Morus alba L.)순으로 낮았다. 2. 삽수피부의 건물량은 삽수당일 50%내외에서 삽목 후 40일째에는 36% 내외로 약 14%정도 감소하였으며, 뿌리와 신초의 생장이 빠른 검운뽕이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3. C/N율은 삽목 초기에 감소하다가 뿌리와 신초가 생장함에 따라 10일부터 증가하였으며, 검운뽕은 C/N율이 가장 높았고 개량뽕은 가장 낮았다. 4. 전당의 함량은 삽목 후 40일까지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10일부터 20일 사이에는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환원당은 삽목 후 20일까지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그 후 감소하였다. 전분은 삽목 후 40일까지 감소하였으며 건물량 감소와 같은 경향이었다. rjadnsQHd은 다른 품종에 비해 전당, 전분의 함량이 많았으며, 뿌리와 신초가 생장함에 따라 소비량도 많았다. 5. 조단백질과 수용성단백질은 삽목 후 10일까지 증가하였으나 그 후 감소하였으며, 검운뽕의 단백질함량이 가장 적었다. 6. RNA는 단백질의 변화와 같은 경향이었으나, 검은뽕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DNA는 함량의 경시적 변화와 품종간 함량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난알부민으로 유도된 천식 마우스에서 상백피 추출물의 면역조절효능 연구 (Effect of the 70% ethanol extract of Mori Cortex Radidus on ovalbumin-induced allergic asthma in mice)

  • 강석용;우은란;박용기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8
    • /
    • 2014
  • Objectives : The root bark of Morus alba L. (Mori Cortex Radidus; MCR) has been traditionally used to reduce heat from the lungs, soothe asthma, and edema and to promote urin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MCR ethanol extract on ovalbumin (OVA)-induced allergic asthma in mice. Methods : Mice were sensitized at day 0, 7 and 14 with 0.2% OVA and then airway challenged at day 21, 23, 25, 27 and 29 to induce allergic asthma. MCR extracts at doses of 50 and 100 mg/kg body weight (bw) were orally administered during OVA challenge once per a day. The levels of allergic mediators such as histamine, OVA-specific IgE, IFN-${\gamma}$ and IL-4 were measured in the sera of mice by ELISA. The histopathological change of lung tissues was observ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H&E) staining. Results : MCR extract significantly decreased not only the serum levels of histamine, OVA-specific IgE, and IL-4 compared with those of OVA control group, bu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erum level of IFN-${\gamma}$. In H&E staining, MCR extract inhibited the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and bronchiolar damage with epithelial thickening in lung tissues of OVA-induced asthma mice.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CR extract inhibits lung damage by asthma through regulating the allergic immune response, suggesting that MCR may be used as a useful agent for the treatment of allergic asthma.

소화효소 저해 및 지방세포 분화 억제활성에 의한 상백피의 항비만 효능 (Anti-obese effects of mulberry (Morus alba L.) root bark through the inhibition of digestive enzymes and 3T3-L1 adipocyte differentiation)

  • 우용시앙;김유정;리샤;윤명철;윤진미;김진영;조성일;손건호;김태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7-3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상백피의 소화효소 저해활성과 3T3-L1 전지방세포의 분화 억제능을 기반으로 항비만 효능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상백피의 에탄올 추출물(MRE)은 ${\alpha}$-amylase와 ${\alpha}$-glucosidase, pancreatic lipase를 활용한 소화효소 저해활성 평가 실험에서 각각 $7.86{\pm}0.36$, $0.12{\pm}0.03$, $7.93{\pm}0.11mg/mL$$IC_{50}$ 값을 보이며 우수한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3T3-L1 전지방세포를 활용한 세포분화억제효능실험에서 MRE 처리군의 세포내 지방 축적율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었다. 상백피의 항비만 작용 기전을 구명하기 위하여 adipogenesis 및 lipogenesis와 관련된 유전자 발현양상을 분석한 결과, 상백피 추출물 처리군에서는 생체내 지방대사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FAS와 ACC 뿐 아니라 adipogenesis와 lipogenesis와 관련된 주요 전사요소인 $PPAR{\gamma}$$C/EBP{\alpha}$, SREBP-1c의 유전자 발현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qRT-PCR 분석 결과, 상백피 추출물의 anti-adipogenesis 효능은 전사단계에서의 관련 유전자 발현억제에 기인한다고 판단되었다. 본 실험결과 상백피 추출물은 전지방세포의 분화와 세포내 지질합성을 저해하고 비만과 관련 된 소화효소에 대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백피의 비만 예방 소재로서의 잠재적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