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of Reserve Substances in the Bark of Stem and Root Mulberry (Morus alba L.) Graftages after Planting

뽕나무 묘목 식재후 지조 및 뿌리피부의 저장물질의 변화

  • Published : 1990.12.01

Abstract

To make clear the changes of the amount of reserve substances in the bark of stem and root of mulberry graftages after planting, studies were carried with mulberry graftage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f 7.0-7.9mm, 9.0-9.9mm and 11.0-11.9mm in diameter of stems at 3cm above their bas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 : 1. The dry weight of stem and root bark gradually decreased with growth of new shoots till about five weeks after planting, and from then it increased. 2. The duration of new shoots growth depending on the reserve substance was limited for 6-7 weeks after planting. In no fertilized group, the length of new shoots increased up to 6-7 weeks, form then decrease. 3. Dry leaf yield three weeks after planting was found to be no difference in the same diameter of saplings between with and without fertilization. 4. The content of chlorophyll in the leaves was higher in thicker group and in fertilized group than thinner and no fertilized one, respectively. 5.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arbohydrates of the bark of stem and root among the stem diameters. There was a transient increase in the amount of total sugar in the bark of stem and root in the first three weeks after planting, followed by gradual decline up to five weeks. The amount of reducing sugar in the bark of stem and root increased both in fertilized and in no fertilized group up to three weeks after planting, and then it decreased. There was a gradual decline in the content of starch in the bark of stem and root both in fertilized and in no fertilized group up to five weeks after planting, followed by gradual increase.

뽕나무 묘목의 지조 및 뿌리피부의 저장물질량이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묘목의 청수부 위 3cm 부분의 가지 직경을 측정하여 7.0-7.9mm, 9.0-9.9mm 및 11.0-11.9mm의 3수준으로 구분하고, 시비구와 무시비구로 나누어 폿트에 식재재배하여 경시적으로 건물중, 신초생장, 뽕잎 생산량, 엽록소 함량, 탄수화물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1. 신초가 생장함에 따라 지조 및 뿌리피부의 건물중은 식재후 5주에 최저치를 보인 후 증가하였다. 건물중의 최대 감소비율은 지조피부에서 17.5-20.1%, 뿌리 피부에서 20.1-24.6%로, 뿌리 피부의 감소율이 높았으나, 식재 후 3주까지의 초기 생장기간에는 지조피부의 감소율이 높았다. 2. 저장물질에 의존하는 생장의 한계는 식재 후 6-7주로 생각된다. 무시비구의 신초장은 식재후 6-7주에 최대를 보인 후 감소하였으나 시비구에서는 계속 생장하였다. 3. 묘목의 직경이 클수록 뽕잎 건물생산량이 많았으며, 식재후 3주에는 시비유무에 관계없이 같은 묘목굵기에서는 거의 같은 경향이었으나, 3주 이후에는 시비구가 무시비구보다 높았다. 4. 뽕잎의 엽\ulcorner소함량은 묘목이 굵을수록 높았으며, 시비구가 무시비구보다 높았다. 5. 묘목굵긷와 지조 및 뿌리피부의 건물중당 탄수화물함량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전당함량은 식재후 3주까지 일시 증가한 후 5주까지 계속 감소하였다. 그 후 시비구에서는 다시 증가하였으나, 무시비구에서는 계속 감소하였다. 환원당은 시비구 및 무시비구 모두 식재후 3주까지 증가하였으나 그 후 감소하였다. 지조 및 뿌리피부의 전분함량은 시비구 및 무시비구에서 식재 후 5주까지 감소 후 증가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