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 Site

검색결과 899건 처리시간 0.027초

홍수파(洪水波)에 의한 하상변동(河床變動) 예측모형(豫測模型) (A Modeling of the River Bed Variation due to Flood Wave)

  • 박상덕;이원환;조원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73-82
    • /
    • 1989
  • 충적하천(沖積河川)에서 홍수파(洪水波)가 발생할 때 하천은 그 홍수파를 안전하게 소통시키기 위하여 주어진 흐름에 적응(適應)하는 하상변동(河床變動) 구조(構造)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하상변동(河床變動)의 예측모형(豫測模型)을 개발하기 위하여, 홍수파를 해석하고 그에 따른 하상변동과정(河床變動過程) 대한 수치모형을 홍수추적 및 유사추척을 통하여 구성하였다. 본 하상변동모형으로 홍수파해석, 하상고(河床高)의 변동 및 하상구성토사(河床構成土砂)의 입도분포변화(粒度分布變化)등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한강하류부(漢江下流部) 팔당댐으로부터 인도교 수위표지점에 이르는 구간에 본 모형을 적용하여 그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본(本) 모형(模型)의 적용결과 유사운송(流砂運送)이 홍수파의 형상에 미치는 영향은 미소(微小)하였으며, 이는 부정류(不定流)의 흐름변동에 비하여 동일 시간동안의 하상변동량(河床變動量)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이다. 또한 비교적 비슷한 홍수파가 인접하여 발생하는 경우, 하상변동과 유사교환하상층(流砂交換河床層)의 입도분포변화(粒度分布變化)는 전반부 홍수파가 지배적이고 후반부 홍수파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작았으며, 하천이 동적평형상태(動的平衡狀態)를 유지하기 위한 거동(擧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강하류부 팔당댐으로부터 인도교 지점에 이르는 하상은 세굴(洗掘) 및 조립화현상(粗粒化現像)이 지배적이었다.

  • PDF

청주-청원 지역에서 관측한 안개와 박무의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Fog and Mist Observed in the Rural Area of Chongju and Chongwon)

  • 윤마병;정용승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5-21
    • /
    • 1996
  • Daily measutements of visibility on 09 LST have been made at a rural site in Chong-won, Chong-book since 1991 to find out a possible influence of emissions of anthropogenic pollutants and water vapout in urban and rural environments. Daily visibility data collected over four-year period were compared with the available visibility and air quality data obtainde from other stations. Detailed examinations of our data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fog occurrence (visibility .leq. 1 km) at a rural site (KNUE) was at least three times higher (77 days per year) than the frequency of fog both in Chong-ju city (19 days) and at the Air Force Base(AFB) in the rural area. We interpret that the higher frequency of fog at KNUE was due to abundant water vapour in the Mieho River (upstream of the Keum River) area. In Chong-ju city, fog usually continued for a relatively long duration, while it dissipated simewhat faster in the rural environment due to higher solar radiation in the countryside area. The number of misty (.leg. 6 km) days (including foggy days) at KNUE were 235 days as compared with 135 days at the AFB and 67 days in Chong-ju city. In turn the number of days with low visibility (less than 6 km) at KNUE was about 64% per year. Since the moisture alone in a calm morning does not produce a visibility impairment, there must had abundant condensation nuclei including anthropogenic air pollutants. Air pollution was examined, for instance, average values of TSP for November and December 1993 were 115 and 116.mu.g/m$^{3}$, respectively. We conclude that the above mentioned environmental conditions with moisture are favourable for the formation of fog and mist in the rural sampling site at KNUE. Additionally, we found at least 10 days of acid fog at KNUE in September 1994 alone. Measured pH values in the acid for water were in the range of 4.36 .sim. 5.01 with the mean value of 4.51 Our observations suggested that strikingly acid fog do occur occasionally even in the rural environment.

  • PDF

한강하류부(漢江下流部)의 홍수추적(洪水追跡) 수치모형개발(數値模型開發) (A Numerical Flood Routing Model at the Downstream of the Han River)

  • 이원환;박상덕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63-70
    • /
    • 1989
  • 한강하류부(漢江下流部) 팔당댐으로부터 인도교 지점에 이른 구간의 홍수추적(洪水追跡) 수치모형(數値模型)이 Preissmann의 선형(線型) 4점(點) Implicit 유한차분법(有限差分法)을 적용하여 수립되었다. 본(本) 모형(模型)을 선정된 4개의 홍수사상(洪水事象)에 적용한 결과 모형(模型)의 상류단(上流端) 경계조건(境界條件)으로서 팔당댐의 방류량(放流量) 수문곡선(水文曲線)을 사용하는 것이 고안의 유량수문곡선(流量水文曲線)을 사용하는 것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났으며, 이는 고안 수위표(水位標) 지점(地點)의 수위(水位)-유량관계곡선(流量關係曲線)의 신뢰성(信賴性)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본(本) 모형(模型)을 통하여 고안 수위표 지점의 수위(水位)-유량(流量) 관계곡선(關係曲線)을 새로이 제시(提示)하였다. 본(本) 모형(模型)의 적용에 있어서 조도계수변동(粗度係數變動)이 홍수추적(洪水追跡) 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미소(微小)하였다.

  • PDF

대구 동천동 청동기시대 취락유적 출토 목질류 수종 분석 연구 (Study of the Species of Trees Used for Wooden Artifacts Excavated from a Bronze-Age Settlement Site in Dongcheon-dong, Daegu)

  • 이효선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0권
    • /
    • pp.49-60
    • /
    • 2018
  • 대구 칠곡지구 일대 유적은 청동기시대 및 삼국시대 대규모 취락지가 확인된 고고학적 조사로 그 의의가 크다. 특히 대구 동천동 취락유적에서는 청동기시대 수혈주거지, 고상건물지, 석관묘, 우물, 집수기, 집석, 구상유구, 경작지, 환호, 하도 등의 유구가 확인되어 청동기시대 당시 취락의 전모를 알 수 있는 많은 자료가 조사되었다. 본 조사는 대구 동천동 취락유적 내 청동기시대 하도 유구 출토 목기 8점에 대한 수종분석 결과이다. 조사 결과, 침엽수재 수종인 소나무류(Pinus spp.)가 2점, 전나무속(Abies spp.) 수종이 2점, 활엽수재 수종인 상수리나무류(Quercus sp.)가 4점 식별되었다. 용도미상으로 분류된 3점의 목기는 소나무류와 전나무속 수종이였으며, 건축부재 5점은 소나무류가 1점, 상수리나무류가 4점이었다.

맹꽁이 서식지 복원공사 중 포획 및 이주과정에 대한 연구 -전주시 삼천 생태하천 복원사업을 대상으로- (The process of capture and translocation during habitat restoration construction of Kaloula borealis - A Case Study of Samcheon Ecological River Restoration, Jeonju City -)

  • 임현정;김종만;정문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3-114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habitat restoration by implementing a series of processes of capturing and translocating Kaloula borealis and managing them in artificial breeding facilities. The study site in Samcheon, Jeonju-si, Jeollabuk-do was a waste landfill site in the past, and Kaloula borealis was found during the Samcheon Ecological River Restoration Project around March 2018. To restore the habitat, a plan was established to capture, translocate, artificially breed, and release Kaloula borealis at the site. The capture methods of adult Kaloula borealis were pitfall trap and drift fence, direct capture, and deep barrels. During 2018-2019, 86 adults of Kaloula borealis were captured and translocated to artificial breeding facilities. VIE-tagging was inserted under the skin for monitoring. For artificial breeding, Gryllus bimaculatus with oyster powder and vegetables were regularly supplied to feed Kaloula borealis. At the end of October 2020, 150 young Kaloula borealis raised in artificial breeding facilities were found not entering hibernation, so they were managed in a separate artificial breeding facility. Some young and adult Kaloula borealis currently hibernating will be scheduled to be continuously managed in artificial breeding facilities and released to the restored habitat in the spring of 2021.

강변여과수 개발지역 우물 개량시 철망간 저감 효과 (Iron and Manganese Removal through Well Development at River Bank Filtration Site)

  • 김규범;김병우;신선호;박준형
    • 지질공학
    • /
    • 제19권3호
    • /
    • pp.389-400
    • /
    • 2009
  • 낙동강 주변에 위치한 일부 충적층에서의 철과 망간은 음용수 기준치(각각 0.3 mg/L)를 초과하고 있으며, 강변여과 취수개발 및 이용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서적블록 및 에어서징 기술은 자갈층에 충진된 슬라임을 제거함으로서 관정 주변의 투수성을 높일 뿐 만 아니라 대수층을 산화 환경으로 만들 수 있고, 대수층에서 생성된 철과 망간의 산화물들을 관정내로 빼낼 수 있는 방법이다. 이와 같이 서징에 따른 철과 망간의 제거효율을 검토한 결과, $Fe_{(total)}$$Fe^{2+}$이온 농도는 서징 전과 비교하여 $5{\sim}8$배 및 $5{\sim}9$배 정도 줄어들었고, $Mn^{2+}$이온농도는 약 10배의 저감 효과가 나타났으며, 철산화물($Fe_2O_3$)은 약 1.2배, 망간산화물(MnO)은 약 $1{\sim}1.2$배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대수층내 공기 주입을 통한 철과 망간 이온농도의 저감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국내에서도 강변여과수의 철 망간 제거를 위하여 대수층내 직접 처리 기술의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낙동강 하구생태계의 세균 생물량과 이차생산성 (Bacterial Biomass and Secondary Productivity in Naktong River Estuary)

  • 송성주;권오섭;이혜주;이진애;김영의
    • 미생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38-244
    • /
    • 1994
  • 부영양화된 낙동강 하구역에서 세균에 의한 용존 유기물의 이용능을 조사하고 이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미생물학적 요인과 물리화학적 환경요인의 연중 변화를 분석하였다. 총세균수는 0.33 ~ $2.09{\times}10^7$ cells/ml의 변화폭을 나타냈으며, 오염부하량이 큰 정점에서 종속영양세균의 개체수와 비례하였다. 세균이 체적과 생물량은 각각 0.064~0.156 ${\mu}m^3$/cell, 0.163~1.036 ${\mu}g$-C/ml을 나타냈다. 세균의 이차생산성은 0.24~60.86 ${\mu}g$-C/l/h의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부영양화 지표로 사용되는 환경인자와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담수역에 속하는 정점에서의 세균생산성의 계절별 변화는 동계에 최고치를, 하계에 최저치를 나타내어 갈수기의 오염부하량 증가와 밀접한 상관성을 보였다. 해수역에 속하는 다대의 경우 동계에 낮은 값을, 하계에 높은 값을 나타내고, 환경요인 중 엽록소 a, 수은 등과 밀접한 상관성을 보였다 (r>0.5, p<0.05). 이로 미루어 낙동강 하구의 하구언 상류역에서는 주위에서 유입되는 유기물이, 하구언 하류역에서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광합성 산무링 세균의 이차생산성에 미치는 주 영양물질임을 암시하고 있다.

  • PDF

상이한 토지이용에서 나타나는 하천의 특성에 관한 연구 : 메사추세츠 보스턴의 네폰셋강의 사례연구 (Open Channel Characteristics on Different Land Cover for Neponset River, Boston, MA)

  • 이자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0-109
    • /
    • 2010
  • 미국 메사추세츠주 보스턴시의 네폰셋 강의 서로 다른 토지이용지역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강의 밑짐으로 토지이용의 차이를 분석할 수 있는지 실험하였다. 네폰셋 강은 거주지역, 산업지역, 농업과 삼림지역 등으로 토지이용이 구분되는데, 토질의 화학적 특성이 가장 차이가 나는 거주지역과 삼림지역 두 곳을 찾아 매닝의 'n'값과 HEC-RAS 모델의 결과치를 비교하여 두 지역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HEC-RAS는 US Army Corp에서 개발한 모델로 강의 윤곽 및 흐름, 진행 및 경사 등을 면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 거주지역 분석 결과는 매닝의 계수와 HEC-RAS 결과치가 매우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는 인공적으로 설치된 강 하류의 댐과 일반적이지 않은 경사에 기인한다고 판단되었다. 일반적인 경사를 지닌 댐상류에는 임계수위가 나타나는데, 매닝의 'n' 계수가 서로 다른 깊이를 반영해주고 있다. 댐은 강의 분리와 유속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고, 상류 수위는 증가하는 대신 유속은 감소하게 된다. HEC-RAS 모델은 강의 구조와 형태 및 행태 등을 분석하는데 좋은 기법으로, 현재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도시 내 강의 관리와 지역개발에 지리학적으로도 크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 PDF

낙동강 중${\cdot}$하류수역에서 클로로필 a 최대농도 출현지역 평가 (The Evaluation for Maximum Chl. a Site Observed in the Mid to Lower Nakdong River)

  • 신성교;백경훈;송미경
    • 생태와환경
    • /
    • 제35권1호통권97호
    • /
    • pp.21-27
    • /
    • 2002
  • 낙동강 중${\cdot}$하류수역에서 1997년 1월부터 1999년 12월사이 3년간의 수온, Chl. a, 유량변동을 모니터링하였다. 유량별 Chl. a 지점별 분포는 강수량에 따른 하천유량의 증감으로 인해 Chl. a 최대농도지점이 상${\cdot}$하류로 이동하였고, 수온별 Chl. a 의 최대농도 분포 역시 수온변화에 따라 상${\cdot}$하류로 이동하여 하천유속과 수온이식물플랑크톤 최대현존량(Chl. a)지점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천유하시간을 이용하여 식물플랑크톤 최대성장시간을 수온별로 구분한 결과 저수온시에는 평균적으로 380시간, 상온시는 240시간, 고수온시는 120시간 정도에서 최고농도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중 ${\cdot}$하류수역에서 식물플랑크톤 농도 예측을 위한 수온별 성장 및 사멸계수는 $10{\circ}^C$ 이하에서는 0.201과 $-0.012\; day^{-1}$, $10{\sim}20{\circ}^C$에서는 0.254와 $-0.128\;day^{-1}$ 그리고 $20{\circ}^C$ 이상에서는 0.289와 $-0.193\;day^{-1}$로 각각 산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영양염 공급이 풍부한 낙동강 중 ${\cdot}$ 하류수계에서는 식물플랑크톤의 최대농도 지점이 수온과 유속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따라서 상수원과 같은 특정지점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최대현존량이 형성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댐 방류량 조절을 통해 최대현존량지점을 상 ${\cdot}$ 하류지역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식물플랑크톤 농도를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도시 하천(원주천) 유입이 섬강 하류 부착규조 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 Inflowing Urban Stream (Wonju stream) on Epilithic Diatom Assemblages in the Lower Seom River)

  • 윤성애;김난영;김백호;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3권2호
    • /
    • pp.232-241
    • /
    • 2010
  • 섬강 수계로 유입되는 도시하천(원주천)의 유입이 부착조류 군집에 미치는 생태학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부착조류 및 수질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섬강 본류와 원주천을 포함한 지류 등 총 14개 지점을 선정하여 2007년 10월에서 2008년 9월에까지 계절별로 4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수온과 용존산소를 제외한 대부분의 수질항목은 계절 변이가 크지 않았고, 섬강 상류에서 가장 낮은 농도를 보였으며, 섬강 중류(원주천 유입부분)에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고, 원주천 합류 이후 하류로 갈수록 점차 농도가 감소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가장 높은 빈도와 생물량을 보인 종은 Achnanthes convergens이었고, 원주천를 비롯하여 수질오염이 심한 지점에서는 Navicula goeppertiana, Navicula subminuscula, Nitzschia palea 등이 높은 밀도를 보였다. 각 조사지점의 TDI(trophic diatom index)에 의하면, 섬강 수계는 크게 3 그룹 - 섬강 상류와 지류하천(A 또는 B등급), 원주천(D등급), 합류후 섬강하류의 본류(C등급)로 구분되었으며, 대부분의 수질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생물 및 수질요인을 근거로 하는 유사도 분석결과는 TDI 지수의 분포와 유사하였다. 따라서, 인구밀집과 공업단지를 관통하는 원주천은 섬강 수계에 서식하는 부착규조 및 수질에 큰 영향을 미치며, 원주천 합류 이후 하류로 갈수록 오염정도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