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valuation for Maximum Chl. a Site Observed in the Mid to Lower Nakdong River

낙동강 중${\cdot}$하류수역에서 클로로필 a 최대농도 출현지역 평가

  • Shin, Sung-Kyo (The Institute for Policy Development, Busan Metropolitan City) ;
  • Baek, Kyung-Hoon (The Institute for Policy Development, Busan Metropolitan City) ;
  • Song, Mi-Koung (De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2.03.30

Abstract

The frequent occurrence of excessive phytoplankton populations in the downstream Nakdong River has been an important water quality problem in recent years. The limnological survey of the Nakdong River was conducted from January 1997 to December 1999 on once or twice per month. A typical phenomenon of eutrophication appears with the persistent algal bloom due to high nutrients in the mid-lower part of the river. This study showed that the point at which Chl. a concentration reaches maximum was affected by the water temperature and the flow rate. For example, Chl. a concentration reached maximum after around 380, 240 and 120 hours which were estimated from the time of flow at low (${\le}10^{\circ}C$), mean ($10{\sim}20^{\circ}C$) and high (${\ge}20^{\circ}C$) water temperature conditions, respectively. It was estimated that increase coefficients of phytoplankton (Chl. a) on the water temperature are 0.201, 0.254 and $0.289\;day^{-1}$, on the contrary, decrease coefficients are -0.012, -0.128 and $-0.193\;day^{-1}$ in low, mean and high water temperature. Therefore, to prevent formation of Chl. a maximum concentration in the specific water resourc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discharge of dam as well as to decrease.

낙동강 중${\cdot}$하류수역에서 1997년 1월부터 1999년 12월사이 3년간의 수온, Chl. a, 유량변동을 모니터링하였다. 유량별 Chl. a 지점별 분포는 강수량에 따른 하천유량의 증감으로 인해 Chl. a 최대농도지점이 상${\cdot}$하류로 이동하였고, 수온별 Chl. a 의 최대농도 분포 역시 수온변화에 따라 상${\cdot}$하류로 이동하여 하천유속과 수온이식물플랑크톤 최대현존량(Chl. a)지점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천유하시간을 이용하여 식물플랑크톤 최대성장시간을 수온별로 구분한 결과 저수온시에는 평균적으로 380시간, 상온시는 240시간, 고수온시는 120시간 정도에서 최고농도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중 ${\cdot}$하류수역에서 식물플랑크톤 농도 예측을 위한 수온별 성장 및 사멸계수는 $10{\circ}^C$ 이하에서는 0.201과 $-0.012\; day^{-1}$, $10{\sim}20{\circ}^C$에서는 0.254와 $-0.128\;day^{-1}$ 그리고 $20{\circ}^C$ 이상에서는 0.289와 $-0.193\;day^{-1}$로 각각 산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영양염 공급이 풍부한 낙동강 중 ${\cdot}$ 하류수계에서는 식물플랑크톤의 최대농도 지점이 수온과 유속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따라서 상수원과 같은 특정지점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최대현존량이 형성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댐 방류량 조절을 통해 최대현존량지점을 상 ${\cdot}$ 하류지역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식물플랑크톤 농도를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