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sk graph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5초

초등학교에서 속력 관련 단원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 구성에 관한 논의 (Composition of Curriculums and Textbooks for Speed-Related Units in Elementary School)

  • 전영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4호
    • /
    • pp.658-672
    • /
    • 2022
  • 초등학교 과학에서 속력 관련 단원의 독특한 교수·학습 곤란은 주로 학생의 수학적 사고력 및 속력의 측정과 관련된 절차적 지식의 부족에 기인한 것으로, 교육과정 및 교과서는 이점을 고려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속력 단원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 구성과 관련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3개 교육과정 및 이에 따른 교과서의 속력 관련 단원의 구성 체계와 내용을 살펴보고, 선행 연구에 비추어 적절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현재의 내용 구성은 이동 거리와 시간 및 속력 사이의 입체적인 관계를 파악하기 보다는 암기에 의한 기계적 알고리즘을 통해 물체의 속력만을 계산할 위험이 있어 이중 수직선과 같은 시각화 모형 및 간단한 수를 활용하여 속력의 의미를 단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이용하여 물체의 운동을 해석하는 활동보다는 실제 운동하는 물체의 이동 거리와 걸린 시간을 직접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내고 분석하도록 함으로써 과정 기능 등 탐구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적용 차시에서 현재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는 일상생활과의 연계를 강조하고 있지만 단원의 주된 학습 내용인 운동학과는 다소 다르게 동역학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있어 학습한 내용을 익히고 활용할 수 있도록 속력과 관련된 사례를 중심으로 내용을 새롭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밝혔다. 새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는 학습하기 어렵고 지도하기 까다로운 내용을 제외하기 보다는 과학의 가치를 깨닫고 과학 학습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핵심 주제를 체계적으로 깊이 학습할 기회를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강수지표를 이용한 우리나라 강수량의 시간적인 특성 변화 (Rainfall Variations of Temporal Characteristics of Korea Using Rainfall Indicators)

  • 홍성현;김영규;이원현;정은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4호
    • /
    • pp.393-40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과거에서부터 기록된 우리나라 65개의 관측소들을 대상으로 강수량 데이터를사용하여 강수빈도와 극한 지표들을 산출해 냄으로써, 지표에 따라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고 시공간적인 증 감율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를 시계열로 도시함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지만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는 통계적 방법인 Mann-Kendall 경향성 분석을 실시하여 이에 대해 파악하였다. 더불어 FARD를 이용하여 100년과 200년의 빈도확률강수량을 산정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강우특성을 크게 Amount, Extreme, Frequency로 분류하고 각각의 지수를 강우량 지수(Rainfall Index for Amount), 강우극치 지수(Rainfall Index for Extremes), 강우빈도 지수(Rainfall Index for Frequency)로 정의하고 RIA, RIE, RIF를 산술평균하여 홍수에 대한 종합적인 강우 위험도를 나타내는 평균 강우지수(Average Rainfall Index, ARI)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과거에 비해 최근 10년간 강우량의 정량적인 평가 특성은 양적으로 22.3%, 극치사상 발생측면은 26.2%, 빈도측면은 5.1% 증가하였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연구의 결과는 최근 우리나라 기후변화 경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므로 기후변화 대비 적응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한국 재난의 멱함수분포와 사회적 충격사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ower Law Distribution of Korean Disaster and Identification of Focusing Events)

  • 김용균;김상필;조형식;손홍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1호
    • /
    • pp.181-190
    • /
    • 2016
  • 전 세계적으로 재난으로 인한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재난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1세기 한국사회 역시, 메르스와 같은 신종 재난의 출현, 복합재난의 증가,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의 대형화를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복잡해지고 있는 한국의 재난 패턴을 분석하기 위하여 1948년부터 2014년까지의 한국에서 발생한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으로 인한 인명 재산 피해와 재난빈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우리나라 재난대응 조직에 변화를 가져온 사건들을 분석하여 멱함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의 재난 피해와 빈도 사이의 관계는 멱함수 법칙을 따른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설명할 수 있는 함수식의 계수를 계산하였다. 이와 더불어, 우리나라 재난대응조직의 변화는 대규모 피해로 사회전반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사회적 충격사건"들에 의해 유발되었으며, 이러한 사건들은 발생빈도는 낮지만 그 피해규모가 큰 사건들로서 멱함수의 긴 꼬리 부분에 위치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가 갖는 정책적 시사점은 정규분포곡선으로 설명되지 않는 멱함수의 긴 꼬리 부분에 위치한 사건들에 주목하여 재난대응을 위한 정책 수립이나 조직 정비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항해지원을 위한 해양환경정보 실시간 예보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Real-Time Forecasting System of Marine Environmental Information for Ship Routing)

  • 홍기용;신승호;송무석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6-52
    • /
    • 2005
  • 대양을 운항하는 선박의 최적 항로계획 수립에 중요한 해양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예보하는 시스템(MEIS)을 개발하였다. 예보정보는 위성관측 대양환경 자료를 기반으로 유럽중기기후예보센터가 처리한 실시간 자료를 바탕으로 하며, 장기 관측자료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한 통계적 정보와 함께 제공된다. MEIS시스템은 육상 기지국에 설치되어 해양환경정보를 취득하고 처리하는 육상자료처리시스템(MEIS-Center)과 선박에 탑재되어 가공된 해양환경정보를 화상으로 구현하고 최적항로 선정을 돕는 선박탑재화상구현시스템(MEIS-Ship)으로 구성되며, 운항중인 선박과 육상기지국간의 정보 송수신을 위한 위성통신 시스템을 활용한다. 해양환경 요소는 바람, 파랑, 기압, 폭풍을 포함하며, 바람은 풍향과 풍속 정보를 제공하고, 파랑은 너울과 풍파로 구분하여 파고, 파향, 파주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간 정보는 0.5°해상도로 5시간 간격의 10일 예보치가 매일 제공되며, 통계적 정보는 1.5° 해상도의 15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월평균 및 재현주기별 최대값이 산정된다. MEIS-Ship은 항로 시뮬레이션 기능을 제공하며, 설정된 항로에 대해 예보 및 통계적 해양환경정보를 그림 또는 표의 형태로 제공한다. MEIS는 예정 항로상의 정확한 실시간 해양환경 예보를 제공하므로 선박운항자가 항로의 위험도와 운항경제성을 고려하여 최적 항로를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 PDF

구개봉합술 후 발생한 구비강누공의 폐쇄 후 말소리 결과 : 증례보고 (Speech Outcome after Closure of Oronasal Fistula Following Cleft Palate Repair: A report of a case)

  • 서민교;김다와;김은주;윤보근;김성일;임대호;고승오;문승영;김현기;신효근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6
    • /
    • 2009
  • Oronasal fistula are a well-known complication of surgical treatment of cleft palate, occurring most frequently in the alveolus and hard palate. Previous reports have demonstrated that oronasal fistulas, particularly if greater than l cm in diameter, had an adverse effect on speech.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ze of the fistula and the influence on velopharyngeal function. The site and size of the fistula were indicated on graph paper with calipers and measured in $mm^2$. Speech assessment was carried out using a Nasometer, VPI articulation differential test, spectrography. Patient whose fistulas affected their speech had significantly larger fistulas than those whose fistulas did not. The study shows that the larger the fistula, the greater the risk of hypernasality and nasal emission, but even small fistulas can cause speech problems. If obstruction of the nasal passage is eliminated in a patient with a previously asymptomatic fistula, it may result in a fistula becoming symptomatic, resulting in hypernasality and nasal emission. In conclusion, even small fistulas can influence speech production and should be considered before any treatment is planned. The study lends support to early closure of oronasal fistulas, particularly before pharyngeal flap surgery is contemplated.

  • PDF

Case Studies of Comparing EN 954-1 and EN ISO 13849-1 Standard for Design of Industrial Machinery Safety Control System

  • Kim, Tae-Ho;Kim, Hong-Ki;Yoon, Hoon Yong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79-291
    • /
    • 2013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old standard EN 954-1 and new standard EN ISO 13849-1 through case study and provide necessity of adaptation of EN ISO 13849-1 in Korea. Background: International and EU harmonized standard EN ISO 13849 "safety of machinery - Safety-related parts of control system" is classified into Part 1: General principles for design and Part 2: Validation. EN ISO 13849-1 standard was introduced in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Union on September 8, 2009 as harmonized standard, and old standard EN 954-1 was withdrawn on December 31, 2011. So, EU decided to use of EN ISO 13849-1 standard forcibly from January 1, 2012 for safety of machinery. New machines need to be CE marked if they are to be placed on the market in the European Economic Area(EEA), Switzerland or Turkey, and Korean machine builder should apply EN ISO 3849-1 standard for safety of machinery accordingly. However, current Korean Safety Certification system(KCs mark) for dangerous machinery is not referred to EN ISO 13849-1 standard as safety standard. There is a need of research for adaptation of EN ISO 13849-1 standard in Korea as safety standards for new design of safety-related control system which use mostly electronic components. Method: Five case studies of representative designs for safety-related control system in accordance with EN 954-1were selected according to safety category from B to 4. And these five representative designs were tried to change new design in accordance with EN ISO 13849-1 standard. The results of comparison were analyzed in aspect of economy and technical complexity.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EN ISO 13849-1 provided quantitative method of application and it enabled designers to create safety-related control systems that require fewer components and less wiring, with many of the components being to a lower specification and, therefore, less costly. Conclusion: EN ISO 13849-1 standard is good for electronic safety-related control systems compare to EN 954-1. B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application of EN ISO 13849-1 and benefits, the application of EN ISO 13849-1 as safety standard for safety of machinery is urgent in Korea. Application: The results of comparing EN 954-1 and EN ISO 13849-1 standard might help to determine the adaptation of EN ISO 13849-1 standard for safety of industrial machinery in Korea.

Characteristics of Humidifier Use in Korean Pregnant Women: The Mothers and Children's Environmental Health (MOCEH) Study

  • Chang, Moon-Hee;Park, Hye-Sook;Ha, Min-A;Kim, Yang-Ho;Hong, Yun-Chul;Ha, Eun-Hee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7권
    • /
    • pp.3.1-3.4
    • /
    • 2012
  • Objectives: The current use of humidifier detergent and its harmful impact on humans has arisen as a societal environmental health issue. Therefore, in this study we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socio characteristics and humidifier use, as well as the monthly usage changes in pregnant women; thus, we report the actual status of humidifier usage of Korea's pregnant population. Methods: From a birth cohort of a Mothers and Children's Environmental Health (MOCEH) study, 1,144 pregnant women who responded through questionnaires including demo-socio characteristics, obstetric status and household environment including whether they use humidifier and frequency of us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characteristics and the relevance of the use of humidifiers was performed using a chi-square test, a t-test and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monthly usage rate was demonstrated in the graph. Results: The humidifier usage rate in pregnant women was 28.2%. The average frequency of humidifier usage was 4.6 days per week, 7.3 hours per day. The usage rate was higher in the multipara group and the above the age of 34 age group than in the primipara and below the age of 34 groups. Seoul showed a higher usage rate than Cheonan and Ulsan and as the education level and income increased, the usage rate of humidifiers among pregnant women also increased. In the monthly trend of usage rate, the winter season showed the highest usage rate of over 45% and the lowest in late summer and beginning of fall with a value of 12% or less. Conclusions: During pregnancy, the mother's body is especially vulnerable to hazardous environmental exposure that not only affects the pregnant woman but also the fetus. Further research is still needed to elucidate the route and effect of environmental risk factors. Therefore, based on precautionary and preventive principles, special interest and caution in harmful environments are strongly needed not only at an individual level but also at a national level.

반응 위험성분석 및 사고방지를 위한 스마트 합성경로 탐색시스템 (Smart Synthetic Path Search System for Prevention of Hazardous Chemical Accidents and Analysis of Reaction Risk)

  • 정준수;김창완;곽동호;신동일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6호
    • /
    • pp.781-789
    • /
    • 2019
  • 연구실 실험, 파일럿 플랜트 및 반응기 운전 중 화학물질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합성 실험을 시작하기전 사고예방을 위해 관련 정보들을 찾아볼 필요가 있으며, 공정설계 단계에서도 반응 폭주 예방을 위한 반응정보의 확보는 필수적이다. 합성반응 관련 정보는 인터넷을 포함해 다양한 source가 존재하지만, 검색에 오랜 시간이 걸리고, 합성법마다 사용되는 물질도 달라 적정경로 선택의 어려움이 있다. 연구자들의 합성경로 검색시간단축과 합성 시 존재할 수 있는 위험성 및 중간생성물질들의 확인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는 스마트 합성경로 탐색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탐색시스템은 Python 패키지인 Selenium을 사용한 Web scraping 및 Web crawling을 통해 인터넷에 존재하는 정보를 수집하여 DB를 자동으로 갱신한다. 경로 탐색 알고리즘은 depth-first search에 기반하여 목표 물질을 기준으로 탐색을 진행하고, 유해화학물질 등급, 수율 등을 구분하여, 제한된 경로 단계 수치내에 있는 모든 합성 경로를 제안한다. 또한 각자의 연구 목적에 맞게 연구원들이 가진 비공개 데이터를 형식을 맞춰 DB에 등록하여 확장할 수 있다. 시스템은 차후에 무료 사용이 가능하도록 open source로 공개할 예정이다. 개발 시스템은 연구자들이 제안된 경로를 참고하여 더 안전한 반응 방법을 찾고, 사고의 예방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이용한 횡경사 각도 예측 방법 연구 (Study of the Heeling Angle Prediction by using Simulation Data)

  • 윤동협;박충환;임남균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31-236
    • /
    • 2019
  • 선박의 대형화, 고속화 및 선종의 다양화는 운송수단 중 해양 운송수단의 비중을 크게 증가시켰으나 동시에, 선박사고의 발생도 같이 증가 되었다. 선박사고의 발생은 생명과 재산의 손실뿐만 아니라 환경재해까지 일으키기 때문에 막대한 경제적, 환경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특히, 여객선의 경우 인명의 피해가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선박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들이 논의 되어 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객선의 횡경사 각도를 바탕으로 전복의 위험까지 가게 되는 시간을 예측하여 위험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인명을 대피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12년~2016년 사이 침몰사고를 바탕으로 특정 시나리오를 설정하였으며, PRR1의 데이터를 MOSES V20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시간에 따른 횡경사 각도이며, 횡경사 에측을 위한 1차, 2차 방정식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하였다. 1차방정식의 경우 시뮬레이션 데이터가 선형적인 그래프를 나타내었기 때문에 낮은 오차율을 보이고 있으며, 2차방정식의 경우 초기에는 낮은 오차율을 보이고 있으나 추후 발생되는 각도에 대해서는 높은 오차율을 보이고 있었다.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의 통계적 자기 유사성 분석 및 시각화 (Stochastic Self-similarity Analysis and Visualization of Earthquakes on the Korean Peninsula)

  • 황재민;임지영;정해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2권11호
    • /
    • pp.493-504
    • /
    • 2023
  • 대한민국은 지진 판의 경계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역에 있으며, 이러한 지역에서 발생하는 판 내부 지진은 판 경계부 지진과 비교하면 일반적으로 규모가 작고 발생빈도도 낮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거 2년부터 1904년 사이 한반도에서 발생했던 지진과 최근 한반도 지진을 관측한 이래에 발생한 지진을 조사 및 분석한 결과 진도 규모 9까지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과 통계적 자기 유사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국립기상연구소에서 발표한 「한반도 역사지진 기록 (2년~1904년)」을 이용한다. 또한 본 논문을 통해서 해결한 문제는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데이터와 통계적 자기 유사성과 시각화의 관계 연구를 처음으로 규명하였으며, 그 결과 한반도 지진의 자기 유사성 정도를 판단하는 3가지 정량적인 추정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자기 유사성 파라메터 H 값(0.5 < H < 1)이 0.8이상으로 자기 유사성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그래프의 시각화를 통해 지진이 어느 지역에서 많이 발생했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향후 지진 발생시 피해를 예측하고 재산과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예측 시스템 개발과 지진 데이터 분석 및 모델링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뿐만아니라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기 유사성 프로세스는 지진활동의 패턴과 통계적 특성을 이해하고, 유사한 지진 사건을 그룹화하고 분류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지진 활동에 대한 예측, 지진 위험 평가 및 지진 공학 관련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