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us trichocarpa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2초

개옻나무 추출물의 IgE 매개성 알레르기 반응 억제 효과 및 기전 (Rhus Trichocarpa Suppresses IgE-mediated Allergic Response In Vitro and In Vivo)

  • 임한나;김영미
    • 생약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18-124
    • /
    • 2013
  • Mast cells is the key effector cells for IgE-mediated allergic respon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Rhus trichocarpa extract (RT) inhibited IgE-mediated allergic responses in mast cells and an allergic animal model. We further tried to find its mechanism of action in mast cells. We found that RT suppressed antigen-stimulated degranulation and production of TNF-${\alpha}$ and IL-4 in rat basophilic leukemia (RBL)-2H3 mast cells and bone marrow-derived mast cells (BMMC), as well as IgE-mediated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PCA) in mice. As the mechanism of action of RT, it inhibited the activation of spleen tyrosine kinase (Syk), a pivotal signaling molecule for activation of mast cells and that of LAT, a downstream adaptor molecule of Syk in $Fc{\varepsilon}RI$-mediated signal pathways. RT also suppressed the activ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MAP) kinases and Akt. The current results demonstrated for the first time that RT has the anti-allergic effect through inhibiting degranulation and secretion of cytokines by suppression of Syk in antigen-stimulated mast cells. Therefore, RT might be useful for allergic diseases.

깃대봉-청옥산지역 능선부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he Ridge from Gittaebong to Cheongoksan)

  • 추갑철;김갑태;김정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54-360
    • /
    • 2002
  • 깃대봉에서 청옥산에 이르는 능선부의 산림생육현황과 군집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이 지역에 34개의 방형구(10m$\times$1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분석한 결과 조사 대상지는 3개의 군집(신갈나무 우점군집, 신갈나무-피나무 우점군집, 신갈나무-물푸레나무 우점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신갈나무와 소나무; 돌배나무와 백당나무, 회나무; 쇠물푸레나무와 철쭉 소나무; 노린재나무와 물개암나무, 개옻나무, 싸리, 철쭉과 진달래; 병꽃나무와 회나무, 개옻나무, 싸리; 개옻나무와 싸리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신갈나무와 피나무 당단풍 등의 수종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0.5981~0.8150으로 나타났다.

주요 지방산에 의한 한국산 옻나무屬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al Study by the Major Fatty Acid of Genus Rhus(anacardiaceae) in Korean)

  • 정재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02-209
    • /
    • 1998
  • Through total fatty acid analysis by the Gas chromatography, 17 different fatty acids were identified from the sap extracted from bark of Korean Rhus(Anacardiaceae), six species. Linoleic acid(C18 :2) and oleic acid(C18 : 1) were identified as major fatty acids for the species investigated, but except in R. chinensis.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for the species, one or two specific-fatty acid was detected, and its could be utilized as a useful taxonomic character.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by the 22 reliable characters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suggested first group was R.trichocarpa and R. succedanea, the second group, R.verniciflua, R.ambgua and R. sylvestris, but R.chinensis was a greatly independent species. The possible chemotaxonomic application of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bark in the genus Rhus was discussed.

  • PDF

한국산 옻나무과의 지리적 천연분포와 종의 특징 (Phyto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native Anacardiaceae)

  • 정재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65-173
    • /
    • 1995
  •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옻나무과 수종을 대상으로 석엽표본 조사와 현지답사를 통하여 지리적 분포 현황을 확인하였으며, 자생지서 수한 잎과 화서,열매,동아,줄기를 관찰하여 종의 특징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옻나무는 우리나라 전지역에 재배가 가능하며, 특히 추운지방에서 많은 재배를 하고 있었다. 잎은 개옻나무에 비해 두꺼웠으며, 열매는 황갈색이었다. 2. 개옻나무는 우리나라 남쪽 먼 일부도서지방을 제외한 전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엽병이 붉고, 열매는 6-7월에 성숙하며 강모가 있는게 특징이었다. 3. 산검양옻나무는 난대지방과 온대남부지방에 폭넓게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36$^{\circ}$이남지방의 해안과 제주도를 포함한 도서지방에 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주맥과 2차맥의 형성각이 70$^{\circ}$이상이었으며, 잎과 엽병에 많은 털이 있어 검양옻나무와 구별되었다. 4. 검양옻나무는 난대수종으로 제주도와 남쪽 일부 도서지방에만 분포하고 있었으며, 제주도에는 큰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잎은 피침형 내지 장타원형이며 털이 거의 없는게 다른 수종과 구별되었다. 5. 붉나무는 난온대지방에 매우 폭넓게 분포하는 수종으로, 우리나라 전지역에 자생하고 있으며, 해조 800-900m에까지 분포하고, 원추화서는 8-9월에 가지끝에 달리는 것이 특징이었다. 6. 덩굴옻나무는 난대지방에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연천군 광도와 상백도에 천연분포하고 있었으며, 낙엽덩굴성으로 잎은 삼출복엽이고, 질이며 광택이 있고, 뒤로 젖혀지는 특징이 있었다.

  • PDF

한국산(韓國産) 옻나무과(科)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Korean-native Anacardiaceae)

  • 김삼식;정재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151-165
    • /
    • 1995
  • 한국산(韓國産) 옻나무과(科) 6식종(植種)과 외래(外來) 2식종(植種)을 대상(對象)으로 잎의 형태학적(形態學的) 형질조사(形質調査), 엽맥상(葉脈相)의 특징(特徵) 조사(調査), 주사전자현미경(走査電子顯微鏡)을 이용하여 기공(氣孔)과 잎의 epidermal 세포(細胞)의 구조특성(構造特性)을 조사(調査)하였다. 연구결과(硏究結果)에 대한 분류군간(分類群間)의 각 형질(形質)을 비교(比較)하였으며,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잎의 형태적(形態的) 형질(形質)에 의(依)한 유집분석(類集分析) 결과(結果) 산검양옻나무, 미국털옻나무, 검양옻나무 유집군(類集群)과 개옻나무, 붉나무, 옻나무 유집군(類集群) 및 덩굴옻나무, 미국덩굴옻나무 유집군(類集群)으로 분류(分類)되었다. 엽형질(葉形質)에 대(對)한 주성분(主成分) 분석(分析)에서는 Eigenvalue 1.0이상(以上)인 제(第)3 주성분(主成分)까지의 누적기여율(累積寄與率)은 82.6%로서 설명력(說明力)이 높았다. 2. 엽맥(葉脈)의 형태(形態)와 2차맥(次脈)의 분지각(分枝角)에 따라 망상(網狀), 곡주맥(曲走脈)과 방사상(放射狀) 곡주맥(曲走脈)으로 구분(區分)되었으며, 2차맥(次脈)의 발달(發達) 정도(程度)에 따라 종(種)의 식별(識別)이 가능(可能)하였으며, 종검색표(種檢索表)를 작성(作成)하였다. 3. 기공(氣孔) 형태(形態)는 paracytic과 anomocytic형(形)으로 구별(區別)되었으며, 기공지수(氣孔指數)에 따라 종간(種間)의 분류(分類)가 가능(可能)하였다. 또한 잎 표면세포(表面細胞)의 구조(構造)와 형태(形態)도 synclinal과 anticlinal cell wall pattern으로 구분(區分)되어 종간(種間)의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었다.

  • PDF

백두대간 도로사면의 생태적 녹화를 위한 자생수종 선정 (Native Plants Selection for Ecological Replantation in Roadside Cutting-slpoe of the Baekdu Range)

  • 이지혜;권혜진;전기성;김남춘;박관수;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67-74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proper species for early stage replantation in cutting-slope area of the Baekdu Range roadside. In the cutting-slope area and upper forest area of the cutting-slope area, sample plots of 104 were selected and their vegetations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investigated. We found total 151 species in the 104 plots. The species of high frequency of Baekdu Range roadside were found in the order of Lespedeza bicolor, Festuca arundinacea, Eragrostis curvula, Pinus densiflora, Salix hulteni, Lespedeza cuneata, Erigeron annuus, Rubus crataegifolius, Spodiopogon sibiricus, etc. The dominancy of Festuca arundinacea, Eragrostis curvula, Lespedeza bicolor, Pinus densiflora, Salix hulteni, Spodiopogon sibiricus, Miscanthus sinensis, Lespedeza maximowiczii, Acer ginnala were 12.74%, 10.43%, 7.48%, 4.42%, 4.09%, 3.13%, 2.49%, 2.45%, 2.40% in the roadside cutting-slope, respectively. The importance value of Quercus mongolica, Lindera obtusiloba, Rhododendron mucronulatum, Lespedeza maximowiczii,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Lespedeza bicolor, Quercus serrata, Rhus trichocarpa were 17.32%, 13.82%, 11.60%, 11.31%, 8.76%, 8.04%, 7.65%, 7.10% in shrub layer of the upper forest area, respectively. The species of Carex lanceolata, Spodiopogon sibiricus, Carex siderosticta, Miscanthus sinensis, Artemisia sp., Potentilla fragarioides var. major, Astilbe chinensis var. davidii,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Aster scaber, Lysimachia clethroides, Patrinia villosa, Lindera obtusiloba, Rhododendron mucronulatum,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Rhus trichocarpa, Stephanandra incisa, Zanthoxylum schinifolium, Lespedeza sp., Lespedeza cuneata, Amorpha fruticosa, Ligustrum obtusifolium, and Weigela subsessilis, may be more helpful in stabilizing of the cutting-slope area and making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forest area.

한국 자생식물 추출물 23종의 Aldo-keto reductase family 1 B10 (AKR 1 B10) 효소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23 Korean Local Plant Extracts on Aldo-keto reductase family 1 B10 (AKR 1 B10))

  • 이주영;송대근;정상훈;김종환;안수용;노주원;판철호
    • 생약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38-243
    • /
    • 2009
  • We examined ethanol extracts prepared from 23 Korean local plants obtained in Pyeongchang, Gangwon-do for their inhibitory effects on recombinant human AKR 1 B10 (rhAKR1B10) in vitro. To do this, rhAKR1B10 was first expressed in E. coli as a biological active form and purified by using Ni-affinity chromatography follow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Then, rhAKR1B10 was used for screening out 23 Korean local plant extracts having an inhibitory activity against itself. Among them, six extracts showed more than 50% inhibition of rhAKR1B10 activity at the concentration of $10{\mu}g$/ml. Especially, the extracts of 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Nakai and Rhus trichocarpa Miq. were the most potent because their $IC_{50}$ values were 2.94 and $2.00{\mu}g$/ml, respectively.

한국산 소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연구 (Plant Sociological Studies on the Pinus densiflora Forest in Korea)

  • Lee, Woo-Tchul;Lee, Cheol-Hwa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2권4호
    • /
    • pp.257-284
    • /
    • 198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haracterize pinus densiflora forests in middle province (Mt. Seolag, Mt. Taebaik) south province (Mt. Sokli, Mt. Jiri) and south-coast province (Mt. Daedun) of Korea. The appearance species in the P. densiflora alliance included 325 taxa and vari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slopes. The steeper the slope was, the fewer number of taxa were observed.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south-coast province was gradually changing to the south hemispheric factors. Dominant species groups of P. densiflora alliance were classified into P. densiflora, Quercus serrata ( layer), Rhus trichocarpa ( layer), Lespedeza maximowiczii var. tomentella (S layer), Artemisia keiskeana, Carex humilis var. nana, Spodiopogon sibiricus (K layer). Quercus variabilis, Fraxinus sieboldiana and Styrax japonica association were formed under the P. densiflora alliance. Quercus, Rhus, Lespedeza and Rhododendron groups maintained high ecological relationships one another. The soil factors (pH, organic matters, and water field capacity)and relative light intensity tended to show negative correlation, whic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provinces. The P. densiflora forests of Korea were classified into one alliance and four associations, that is, pinion densiflorae Suz.-Tok. 1966, Quercetum variabilae ass. nov., Quercetum mongolicae ass. nov. Fraxinetum sieboldianae ass. nov. and Styraxetum japonicae ass. nov.

  • PDF

溫山工團 周邊의 森林植生에 관한 調査 (Study on forest vegetation in the vicinity of onsan industrial complex)

  • Kim, Jong-Gab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5권3호
    • /
    • pp.231-246
    • /
    • 1992
  • In order to estimate effects of air pollution for pinus thunbergii forests arounding onsan industrial complex, structure of forest vegrtation was surveyed. In the survey of forest vegetation, pinus densiflora have been died or being withered, and importance value(I.V) of rhododendron mucromulatum and lespedeza spp. were low at the vicinity of industrial complex. Especially lespedeza maximowiczii and l. maritima were not entirely appeared at the vicinity of industrial complex. I.V. of quercus serrata, robinia pseudoacacia and alnus firma were preferably high at the vicinity of industrial complex, and those of smilax china, rubus crataegifolius and rhus trichocarpa were similar at every site and it could be guessed that those had a tolerance. Number of species had a difference over 10 species at the vicinity of industrial complex as compared with those of remote sites, and species diversity showed highly at the farther sites of industrial complex, and also at the low layer, number of species, species diversity and evennes were low at the vicinity of industrialcomplex and species weakened to air pollution were disappearing. It was possible that forest vegetation would be changed from pinus spp. to community of a. firma and r. pseudoacacia.

  • PDF

자웅이주성(雌雄異株性) 옻나무속(屬) 3수종(樹種)의 자연집단(自然集團)에서 성비(性比)와 성간(性間) 생장량(生長量) 및 공간적(空間的) 분포(分布) (Sex Ratios, Size and Growth Variation, and Spatial and Age Distribution between the Sexes in Natural Populations of Three Species of Dioecious Rhus(Anacardiaceae))

  • 김삼식;이정환;정재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2호
    • /
    • pp.201-210
    • /
    • 1998
  • 자웅이주성(雌雄異株性)으로서 우리나라에 자생(自生)하는 옻나무속(屬) 6개 수종(樹種) 중 종자번식(種子繁殖)을 하는 개옻나무와 산검양옻나무, 그리고 종자번식(種子繁殖)보다는 주로 영양번식(營養繁殖)을 하는 붉나무의 자연집단(自然集團)에 있어서 성비(性比)와 암 수그루 개체(個體)의 크기, 생장량(生長量)의 차이(差異), 공간적(空間的) 분포(分布) 및 연령(年齡)의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하여 이들 결과(結果)를 토대로 종간(種間) 및 종내(種內) 집단간(集團間) 변이(變異)를 분석하였다. 3개 수종(樹種)에서 성비(性比)는 집단간(集團間)에 다양한 변이(變異)가 있었으나 암그루의 수(數가) 숫그루에 비해 현저하게 많았으며, 붉나무의 성비(性比)는 개옻나무와 산검양옻나무에 비해 보다 낮은 결과(結果)를 보였다. 성간(性間) 개체(個體)의 크기와 생장량(生長量)의 분석(分析) 결과(結果) 개옻나무와 산검양옻나무는 숫그루가 암그루 보다 유의적(有意的)으로 우세하였으나, 붉나무는 유의적(有意的)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리고 3개 수종(樹種)에서 모두 개체(個體)당 꽃피는 가지의 수(數)와 가지당 화서(花序)의 수(數)는 숫그루가 많았으나, 개체(個體)당 가지의 수(數)와 가지당 잎의 수(數), 화서(花序) 1개당 잎의 수(數)는 암그루가 많았다. 이 결과는 숫그루가 화분(花粉)의 공급(供給)을 위해, 암그루는 종자생산(種子生産)을 최대로 하기 위한 생식적(生植的) 노력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개옻나무의 성간(性間) 공간적(空間的) 분포(分布)에 대한 분석(分析) 결과(結果) 암 수그루 모두 임의분포(任意分布)를 하였으며, 치수(稚樹)들은 모수들 주변에서 집중분포(集中分布)의 경향을 보였다. 수종별(樹種別) 연령분포(年齡分布)에 관한 분석(分析) 결과(結果) 종자(種子)로 번식(繁殖)하는 개옻나무와 산검양옻나무는 영양번식(營養繁殖)을 주로 하는 붉나무에 비해 어릴 때 개화(開花)하는 비율(比率)이 낮았으며, 성숙목(成熟木)들은 높은 연령계급(年齡階級)에 분포(分布)하는 비율(比率)이 높았다. 번식방법(繁殖方法)이 다른 두 group들은 선호(選好)하는 생육지(生育地)가 다를 뿐만 아니라 성비(性比)와 성간(性間) 생장량(生長量)에서도 서로 다른 결과(結果)를 보였는데, 이 결과(結果)들을 종합하면 두 group간에 성간(性間) 생식(生殖)과 영양생장(營養生長)에 대한 양분(養分)의 분배(分配)가 다를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