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us chinensis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4초

오배자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간기능, 혈청지질구성 및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hus chinensis Gall Extract on Liver Function, Plasma Lipid Composition and Antioxidant System in Rats with High Fat Diet)

  • 최무영;최은정;이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632-637
    • /
    • 1999
  •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hus chinensis gall extract on liver function, plasma lipid composition and antioxidant system in the obese rats with high fat diet for seven weeks. Thirty two male rats of Sprague Dawely strain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hey are normal group (basal diet), control group(high fat diet), III group(high fat diet with Rhus chinensis gall extract 25mg/kg body weight per day) and IV group(high fat diet with Rhus chinensis gall extract 250mg/kg body weight per day). Rats in III group and IV group were administered with Rhus chinensis gall extract accordingly. Weight gain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rat with Rhus chinensis gall extract group but showed no differences among treatment groups. Food intake and Food efficiency ratio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 groups. Plasma total cholesterol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Rhus chinensis gall extract group. HDL cholesterol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25mg/kg of Rhus chinensis gall extract group. However, in the 250mg/kg of Rhus chinensis gall extract group, these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05). GPT activiti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 groups. GOT activitie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the groups of Rhus chinensis gall extract groups. Lipid peroxide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ntrol group than those of normal group. In Rhus chinensis gall extract groups, lipid peroxide level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but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was progressively increased. Results of our research in this paper show that Rhus chinensis gall extract might improve liver function, antioxidant system and plasma lipid composition in rats with high fat diet.

  • PDF

붉나무(Rlus javanica)에서 오배자 형성과 발육에 관한 연구 (Study on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chlechtendalis chinensis Gall in Rhus javanica)

  • 이상명;이동운;박지두;김종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3-87
    • /
    • 1997
  • 붉나무에서 오배자면충의 오배자 형성 기작과 오배자면충의 발육 및 붉나무 잎 부위별 오배자 형성수를 조사한 결과, 오배자면충의 간모 출현에 의한 충영(오배자)형성 시기는 6월 중순이었으며 간모는 미성숙된 입엽의 뒷면에 정착기생한 뒤 반대방향으로 융기하여 충영을 형성하였다. 오배자는 9월 중순부터 급격히 발육하였으며 면충의 밀도가 많음에 따라 오배자의 무게도 무거웠다. 붉나무에서 오배자면충의 충영 형성 부위는 정엽에서 가까울수록 많았으며 복엽상에서는 익엽이 95.8%를 차지하였다.

  • PDF

붉나무(Rhus chinensis Mill)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Rhus chinensis Mill)

  • 박서영;이민호;소영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151-158
    • /
    • 2017
  • In this study, the Rhus chinensis Mill was divided into bark and inner bark.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xtracts were investigated by using the organic solvent fractions after the extraction and concentration with ethanol. This study showed the possibility of functional materials such as raw materials for cosmetics and food supplements. This study was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ive microorganisms (S. aureus, E. coli, B. subtilis, P. aeruginosa, and P. oval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B. subtilis was found to be high in the ethanol extract of. Second, DPPH scavenging activity was 86.4%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2.5 mg/mL bark part and 61.9%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2.5 mg/mL in inner Rhus chinensis Mill bark part. The ABTS scavenging activity was 79.2% free radical scavenging at 1 mg/mL bark fraction and 63%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1 mg/mL in inner bark, and bark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inner bark.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hus chinensis Mill extract can be used as a natural material. Specific and diverse physiological activity studies are expected in the future.

주요 지방산에 의한 한국산 옻나무屬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al Study by the Major Fatty Acid of Genus Rhus(anacardiaceae) in Korean)

  • 정재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02-209
    • /
    • 1998
  • Through total fatty acid analysis by the Gas chromatography, 17 different fatty acids were identified from the sap extracted from bark of Korean Rhus(Anacardiaceae), six species. Linoleic acid(C18 :2) and oleic acid(C18 : 1) were identified as major fatty acids for the species investigated, but except in R. chinensis.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for the species, one or two specific-fatty acid was detected, and its could be utilized as a useful taxonomic character.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by the 22 reliable characters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suggested first group was R.trichocarpa and R. succedanea, the second group, R.verniciflua, R.ambgua and R. sylvestris, but R.chinensis was a greatly independent species. The possible chemotaxonomic application of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bark in the genus Rhus was discussed.

  • PDF

붉나무 캘러스 유도 및 그 추출물로부터 피부미백 효과에 관한 연구 (Induction and Proliferation of Callus in Rhus chinensis Mill. and Its Effect on Skin Whitening)

  • 김동명;정주영;이형곤;권용성;백진홍;이관호;장진훈;한인석
    • 생약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02-309
    • /
    • 202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optimize the condition for induction and proliferation of callus from Rhus chinensis Mill. and investigate the skin-brightening effect of Rhus chinensis callus (RCC). It was confirmed that the most proper plant growth regulator (PGR) for callus induction is 1.0 mg/L of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 The most optimal condition of PGR, medium and additives for callus proliferation were 2,4-D (1.0 mg/L), MS medium and citric acid, respectively. Inhibitory activities of tyrosinase were higher at 50 and 100 ㎍/mL of RCC extracts (41.86 and 75.56%, respectively) than arbutin (27.32%). As the results of measuring melanin inhibition in B16F1 melanocyte and B16F10 melanoma cell, RCC extracts increased its inhibitory activities concentration-dependently, and were found to have higher whitening effect than arbutin at a concentration of 100 ㎍/mL.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RCC can be used as an effective material for skin-brightening cosmetics.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and Intra-Species Diversity of Rhus chinensis

  • Kim, Inseo;Park, Jee Young;Lee, Yun Sun;Joh, Ho Jun;Kang, Shin Jae;Murukarthick, Jayakodi;Lee, Hyun Oh;Hur, Young-Jin;Kim, Yong;Kim, Kyung Hoon;Lee, Sang-Choon;Yang, Tae-Jin
    • Plant Breeding and Biotechnology
    • /
    • 제5권3호
    • /
    • pp.243-251
    • /
    • 2017
  • Rhus chinensis is a shrub widely distributed in Asia. It has been used for traditional medicine and ecological restoration. Here, we report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two R. chinensis genotypes collected from China and Korea. The assembled chloroplast genome of Chinese R. chinensis is 149,094 bp long, consisting of a large single copy (97,246 bp), a small single copy (18,644 bp) and a pair of inverted repeats (16,602 bp). Gene annotation revealed 77 protein coding genes, 30 tRNA genes, and 4 rRNA genes. A phylogenomic analysis of the chloroplast genomes with 11 known complete chloroplast genomes clarified the relationship of R. chinensis with the other plant species in the Sapindales order. A comparative chloroplast genome analysis identified 170 SNPs and 85 InDels at intra-species level of R. chinensis between Chinese and Korean collections. Based on the sequence diversity between Korea and Chinese R. chinensis plants, we developed three DNA markers useful for genetic diversity and authentication system. The chloroplast genome information obtained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nriching genetic resources and conservation of endemic Rhus species.

오배자 추출물의 항바이러스 활성 (Antivir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Rhus chinensis gall)

  • 이도승;민태선;이동선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4호
    • /
    • pp.379-382
    • /
    • 2018
  • Newcastle disease virus (NDV) 감염된 baby hamster kidney 세포에서 Syncytium (합포체) 형성은 세포막 표면으로의 수송된 바이러스 당단백질 hemagglutinin-neuramidase에 의해 일어난다. HAU 값은 추출물의 농도가 25과 $3.2{\mu}g/mL$ 사이에서는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25{\mu}g/mL$ 농도에서는 NDV 감염된 HAD (%)는 광범위한 흡착능의 감소를 나타났으나 바이러스 당단백질의 세포내 생합성은 저해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오배자 추출물은 바이러스 당단백질의 세포막으로의 수송과 함께 합포체 형성을 저해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것으로 결론된다. 또한 오배자 추출물의 저해활성을 조사한 결과 ${\alpha}-glucosidase$에 대한 추출물의 $IC_{50}$$12.5{\mu}g/mL$이었으며, ${\beta}-glucosidase$, ${\alpha}-glucosidase$, ${\beta}-mannosidase$에 대한 오배자 추출물의 $IC_{50}$은 각각 26, 36, $50{\mu}g/mL$로 나타나 ${\beta}-type$ glycosidases 보다 ${\alpha}-type$ glycosidase에 대한 효소활성 저해능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IC_{50}$ 농도에서는 세포내에서 당단백질 생합성은 저해되지 않으며 당단백질의 수송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향후 항바이러스 관련 작용기작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항균활성을 갖는 천연물 개발과 화장품 응용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ntimicrobial Plant Extracts and its Application to Cosmetics)

  • 이지영;이정노;이강태;이건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71-179
    • /
    • 2012
  • 본 연구는 항균 활성을 지니는 식물추출물을 찾고 화장품에서 방부제로서 적용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디스크 확산법(disk diffusion method)을 통해 3가지 식물 추출물, 함박꽃나무(천녀목란, Magnolia sieboldii), 오배자(Rhus chinensis), 메타세콰이어(Metasequioa glyptostroboides)가 항균활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세 물질의 최소저해농도(MIC)를 측정한 결과 메타세콰이어는 0.3 ~ 0.35 %, 함박꽃나무는 0.35 ~ 0.4 % 농도에서 곰팡이의 생장을 억제하고 오배자는 0.45 ~ 0.5 % 농도에서 세균의 생장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추출물 내의 항균 활성을 지니는 성분을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 메타세콰이어에서 분리한 caryophyllene oxide와 caryophyllene, 함박꽃나무에서 분리한 costunolide와 dehydrocostus lactone, 오배자에서 분리한 ethyl gallate, ethyl-3-gallate 등이 항균활성을 지닌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O/W 에멀션 제형에서 식물 추출물을 넣고 방부력을 확인한 결과 혼합사용 시 세균과 곰팡이 모두에 대한 방부효과 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함박꽃나무, 오배자, 메타세콰이어 추출물의 혼합물은 기존의 화학 방부제를 대체할 천연 방부제로서 화장품에서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약재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dicinal Herb Extracts)

  • 장형수;최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61-269
    • /
    • 2012
  • 본 연구에서 18종의 한약재추출물을 제조하여 병원성세균에 대한 한약재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오배자, 오미자 및 소목 메탄올 추출물은 대부분 균주에 대해 5 mg/mL 수준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나 15여 종의 한약재추출물들은 30 mg/mL 수준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오배자의 S. epidermidis와 Bor. bronchiseptica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는 0.6 mg/mL로 나타났다. 우수한 항균활성이 확인된 오배자, 소목, 오미자, 황금을 대상으로 극성이 다른 5가지 용매로 순차 분획하여 항균활성을 검토한 결과 대부분의 균주에서 EtOAc층이 다른 분획층에 비해 성장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항균력이 우수한 한약재추출물의 미생물 증식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증식배지에 0, 100, 300 및 500 ppm의 메탄올 추출물을 첨가하였다. 한약재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12시간 이후 급격한 균의 성장을 나타내고 있으나 오배자와 소목추출물의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그람 양성균인 S. aureus, S. epidermidis 및 L. monocytogenes는 뚜렷한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오배자추출물은 그람음성균인 Sal. Pullorum과 Sal. Choleraesuis의 성장을 저해하였고 Bor. bronchiseptica, E. coli serotype $O_8$은 오배자와 소목추출물은 낮은 농도에서 성장이 다소 저해되었음을 보여주었고,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균의 성장이 강하게 억제되었다.

한국산(韓國産) 옻나무과(科)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Korean-native Anacardiaceae)

  • 김삼식;정재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151-165
    • /
    • 1995
  • 한국산(韓國産) 옻나무과(科) 6식종(植種)과 외래(外來) 2식종(植種)을 대상(對象)으로 잎의 형태학적(形態學的) 형질조사(形質調査), 엽맥상(葉脈相)의 특징(特徵) 조사(調査), 주사전자현미경(走査電子顯微鏡)을 이용하여 기공(氣孔)과 잎의 epidermal 세포(細胞)의 구조특성(構造特性)을 조사(調査)하였다. 연구결과(硏究結果)에 대한 분류군간(分類群間)의 각 형질(形質)을 비교(比較)하였으며,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잎의 형태적(形態的) 형질(形質)에 의(依)한 유집분석(類集分析) 결과(結果) 산검양옻나무, 미국털옻나무, 검양옻나무 유집군(類集群)과 개옻나무, 붉나무, 옻나무 유집군(類集群) 및 덩굴옻나무, 미국덩굴옻나무 유집군(類集群)으로 분류(分類)되었다. 엽형질(葉形質)에 대(對)한 주성분(主成分) 분석(分析)에서는 Eigenvalue 1.0이상(以上)인 제(第)3 주성분(主成分)까지의 누적기여율(累積寄與率)은 82.6%로서 설명력(說明力)이 높았다. 2. 엽맥(葉脈)의 형태(形態)와 2차맥(次脈)의 분지각(分枝角)에 따라 망상(網狀), 곡주맥(曲走脈)과 방사상(放射狀) 곡주맥(曲走脈)으로 구분(區分)되었으며, 2차맥(次脈)의 발달(發達) 정도(程度)에 따라 종(種)의 식별(識別)이 가능(可能)하였으며, 종검색표(種檢索表)를 작성(作成)하였다. 3. 기공(氣孔) 형태(形態)는 paracytic과 anomocytic형(形)으로 구별(區別)되었으며, 기공지수(氣孔指數)에 따라 종간(種間)의 분류(分類)가 가능(可能)하였다. 또한 잎 표면세포(表面細胞)의 구조(構造)와 형태(形態)도 synclinal과 anticlinal cell wall pattern으로 구분(區分)되어 종간(種間)의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