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hododendron

검색결과 449건 처리시간 0.026초

도시림 식생의 생태적 특성과 복원모델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estoration Model of Vegetation in the Urban Forest)

  • 김석규;주경중;남정칠;박승범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0-9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 to restoration model of Pinus thunbergii in Saha-gu, Busa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vegetation restoration model is presented by separating community planting and edge planting. In community planting, as a group of canopy, there are 6 species; Pinus thunbergii, Quercus acutissima, Quercus dentata, Quercus serrata, Quercus alienna, Quercus variabilis. As a group of understory, there are 5 species; Platycarya strobilacea, Prunus sargentii, Styrax japonica, Eurya japonica, Morus bombycis. Also as a group of shrub, there were 15 kinds of species; Ulmus pavifolia, Ulmus davidiana, Lindera obtusiloba, Elaeagnus macrophylla, Mallotus japonicus, Ligustrum obtusifolium, Sorbus alnifolia, Rhus trichocarpa, Zanthoxylum schinifolium, Rosa wichuraiana, Rhus chinensis, Viburnum erosum, Rhododendron mucronulatum, Rhododendron yedoense, Indigofera pseudotinctoria. And as a group of edge vegetation, there were 10 kinds of species; Japanese Angelica, Symplocos chinensis, Pittosporum tobira, Lespedeza maximowiczii, Lespedeza bicolor, Rubus coreanus, Rubus idaeus, Vitis thunbergii, Ampelopsis brevipedunculata, Rosa multiflora. Vegetation restoration models of Pinus thunbergii community were calculated the units $400m^2$ for the average populations of the woody layer is 24 in canopy layer, 35 in understory layer, 410 in shrub layer, 34% herbaceous layer ground cover. And the average of breast-high area and canopy area is $10,852cm^2$ in canopy layer, in understory layer $1,546cm^2$, in shrub layer $1,158,660cm^2$.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rees is calculated as 2.0m in canopy layer, 1.9m in understory layer.

골프장에서 주황긴다리풍뎅이(Ectinohoplia rufipes)의 신 기주 식물 (Newly Listed Host Plants of Ectinohoplia rufipes in Korean Golf Courses)

  • 이상영;이동운;정재민;김영섭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9-184
    • /
    • 2008
  • 경기도 가평의 골프장에서 주황긴다리풍뎅이의 기주식물을 조사한 결과 7과 10종의 미기록 기주가 추가되어 주황긴다리풍뎅이의 기주식물은 30과 94종이 된다. 노박덩굴과의 회잎나무와 진달래과의 영산홍, 황철쭉, 느릅나무과의 혹느릅나무, 장미과의 사과나무와 야광나무, 인동과의 삼색병꽃나무, 버드나무과의 키버들, 참나무과의 바늘참나무가 주황긴다리 풍뎅이의 새로운 기주가 되었고, 자작나무와 사과나무, 핀참나무의 피해도가 높았다.

미기록종을 포함한 소요산의 선태류

  • 홍원식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권1호
    • /
    • pp.26-31
    • /
    • 1960
  • 1. Mt. Soyo is situated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approximately 37$^{\circ}$56'W. Latitude, 127$^{\circ}$4'N. Longitude. This mountain is about 530 meters above sea level, and consists mainly of granites. Above 200 meters the area is covered with oak trees (Quercus mongolica, Q. aliena) with a kind of Rhododendron (Rhododendron mucronulatum, R. schlippenbachii) as undergrowth. About 500 packets of bryophytes were collected by the writer in 1959. 2. The mosses collected in this region were of 68 species belonging to 51 genera. Those species may roughly be divided, as follows; 1) 15 species (22.1%) are distributed also in Europe and North America (Holarctic element). 2) 2 species (2.9%) occur also in Kamchatka and the Aleutians (North Pacific element). 3) 14 species (20.6%) are widely distributed every where (Cosmopolitan element). 4) 19 species (27.9%) occur also in the temperature region of the Far East (East Asiatic element). 5) 3 species (4.4%) occur also in Indomalaya and India (Tropical element). 6) 15 species (22.1%) are endemic to Japan and Korea. 3. The Hepaticae collected in this region are of 11 species belonging to 7 genera. Those may roughly be divided, as follows; 1) 4 species (36.4%) are distributed also in Europe and North America (Holarctc element). 2) 5 species (45.5%) occur also in the temperature region of the Far East (Asiatic element). 3) 1 species (9.1%) occur also in Indomlaya. 4) 1 species (9.1%) are endemic in Japan and Korea. 4. The species which are new to the flora of Korea are as follows; 1) Leucobryum glaucum (L.) Schimp. 2) Psedoleskeopsis dicurvata (Mitt.) Broth. 3) Thuidium delicatulum (Hedw.) Mitt. 4) Dolichotheca perrobustum (Broth.) Broth. 5) Brachiolejeunia sandvicensis (Gott). Evans. 6) Porella vernicosa Lindb. ssp. gracillina (Mitt.) Ando.

  • PDF

진달래꽃(Rhododendron mucronulatum Flos.) 추출물로부터 Helicobacter pylori 억제 효과를 가지는 phenol성 물질의 정제 및 동정 (Pu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Phenol Compounds with Inhibitory Activity on Helicobacter pylori from Rhododendron mucronulatum Flos. Extracts)

  • 주인식;조영제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125-1131
    • /
    • 2009
  • 진달래꽃을 60% ethanol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H. pylori에 대한 저해활성의 측정과 저해물질의 분리 및 동정을 시행하였다. 또한 H. pylori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60% ethanol 추출물에서 phenol 화합물을 200${\mu}g/ml$ 이상 주입하였을 때부터 22 mm이상의 clear zone이 관찰되어 H. pylori균에 대한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저해물질의 분리는 Sephadex LH-20 column을 이용하여 분리한 결과 6개의 fraction으로 분리되었으며, H. pylori 저해활성을 나타낸 fraction D를 MCI-gel CHP-20 column을 이용하여 normal phase type인 ethanol 100%에서 0%로 농도를 감소시키며 용출한 결과 5개의 단일 물질 분획을 얻을 수 있었다. 그 중 세 가지의 물질에 대해 H. pylori저해활성이 나타나 FAB-MS, $^1H$$^{13}C$ NMR 및 IR spectrum을 사용하여 구조 동정한 결과 quercitrin (quercetin-3-O-rhamnopyranoside), myricitrin (myricetin-3-O-rhamnopyranoside) 및 quercetin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화분의 영양생화학적 연구 -진달래 화분(Rhododendron mucronulatum)이 간 Aniline Hydroxyl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Nutritional Biochemical Study on the Pollen Load. -Effect of Azalea(Rhododendron mucronulatum)Pollen on the Hepatic Microsmal Aniline Hydroxylase Activity-)

  • 권정숙;조수열;박종민;허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3-100
    • /
    • 1989
  • 진달래 화분 각 추출물이 약물 대사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 일환으로 각 추출물을 투여한 다음, 간 microsomal aniline hydroxylase 활성 변동을 관찰하는 한편, aniline의 대사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검토한 결과 Mouse 에 진달래 화분 각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본 실험에 사용된 투여용량 범위에서 혈성 ALT 및 AST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별다른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시험관내 실험에서, 진달래 화분 각 추출물이 간 microsmal aniline hydroxylase 활성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진달래 화분 물 추출물을 실험동물에 투여하였을 때, 기간과 용량에 비례하여 간 microsomal aniline hydroxylase 활성이 증가되었다. 진달래 화분 각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에서, n-butanol 추출물과 물 추출물 투여군에서 유의성있는 효소 활성 증가가 관찰되었다. 진달래 화분 n-butanol 추출물과 물 추출물 전처치에 의해서 혈액과 간조직내 aniline 농도가 현저히 감소되었다.

  • PDF

백두대간 부봉-포암산 구간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Bubong to Poamsan in Baekdudaegan, Korea)

  • 추갑철;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5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 /
    • pp.21-32
    • /
    • 2005
  • 백두대간 능선부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국립공원 월악산에 속하는 백두대간 부봉-포암산 구간 능선부에 방형구$(400m^2)$ 16개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16개 조사구는 신갈나무-소나무군집, 굴참나무-소나무-신갈나무군집의 2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백두대간 부봉-포암산 구간의 능선부는 대부분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일부에서 해발고가 낮은 지역에서 굴참나무, 소나무 등의 침엽수와 낙엽수종들이 혼효하고 있었다. 수종간의 상판관계에서는 조록싸리와 잣나무, 쇠물푸레나무와 진달래, 고로쇠 나무와 병꽃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노린재나무와 쇠물푸레, 진달래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지수는 $0.9066\~l.0821$ 범위로 백두대간에 위치한 다른 국립공원들의 능선부 식생에 비하여 다소 낮게 나타났다.

  • PDF

백두대간 태백산지역 당골계곡의 산림군락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he Danggol Valley in Taebaeksan Area, the Baekdudaegan)

  • 조현서;김갑태;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5-62
    • /
    • 2005
  • 태백산지 역 당골계곡의 산림군집구조 파악을 위해 45개의 방형구$(10m\times10m)$를 설치하여 산림식생생육현황을 조사하였다. 이 지역은 3개의 군집(낙엽송 우점군집, 물푸레나무-까치박달 우점군집, 거제수나무-신갈나무 우점군집) 으로 분류되었으며,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회나무와 철쭉: 병꽃나무와 철쭉, 회나무; 당단풍과 산겨릅나무; 신갈나무와 피나무 등은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당단풍과 피나무, 부게꽃나무; 신갈나무와 부게꽃나무; 잣나무와 회나무; 쇠물푸레나무와 함박꽃나무, 거제수, 고로쇠나무 등의 수종 간에는 녁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본 조사지의 종 다양도는 $0.7932\~1.2077$로 나타났다.

덕유산국립공원 아고산(향적봉-제2덕유산) 지역의 산림군집구조 (Forest Structure of Subalpine Region from Hyangjeukbong to 2nd Deogyusan in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

  • 김갑태;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2-149
    • /
    • 2004
  • 덕유산 아고산 지역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향적봉-제2덕유산 구간 아고산 지역에 20개의 방형구(100$m^2$)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20개 조사구는 신갈나무군집, 사스래나무-가문비나무-주목군집, 주목-신갈나무-사스래나무군집의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덕유산 아고산(향적봉-제2덕유산)지역은 신갈나무, 주목, 사스래나무가 우점하고 있었다. 이 지역에는 우리나라 특산종인 구상나무가 부분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나, 구상나무의 상대우점치는 점차 작아지고 상대적으로 사스래나무의 상대우점치가 점차 커질 것이 라 판단된다. 사스래나무와 철쪽, 털진달래; 시닥나무와 고로쇠나무; 정향나무와 함박꽃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사스래나무와 시닥나무; 신갈나무와 고로쇠나무: 구상나무와 미역줄나무, 병꽃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부의 상관이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지수는 1.0316∼l.1776범위로 백두대간에 위치한 다른 국립공원들의 능선부 식생구조와 비슷하였다.

백두대간 부봉-포암산 구간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Bubong to Poamsan in Baekdudaegan, Korea)

  • 추갑철;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3-89
    • /
    • 2005
  • 백두대간 능선부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월악산국립공원에 속하는 백두대간 부봉-포암산 구간 능선부에 방형구$(400m^2)$ 16개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16개 조사구는 신갈나무-소나무군집 , 굴참나무-소나무-신갈나무군집 의 2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백두대간 부봉-포암산 구간의 능선부는 대부분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일부 해발고가 낮은 지역에서 굴참나무, 소나무 등의 침엽수와 낙엽수종들이 혼효하고 있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조록싸리와 잣나무, 쇠 물푸레나무와 진달래 , 고로쇠나무와 병 꽃나무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노린재나무와 쇠물푸레, 진달래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지수는 $0.9066\~1.0821$ 범위로 백두대간에 위치한 다른 국립공원들의 능선부 식생에 비하여 다소 낮게 나타났다.

월악산국립공원의 산림군집구조 - 영봉 및 도락산 일원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in the Woraksan National Park - Case Study of Yeongbong and Doraksan Region -)

  • 오구균;최송현;김성현;최우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0-98
    • /
    • 2005
  • 월악산국립공원 에 덕 주사-영 봉-신륵사구간과 도락산-상선암구간의 산림 군집 구조 분석 을 실시하기 위해 22개 조사구를 설치하고 classification기법 중 하나인 TWINSPAN을 이 용하여 군집 분리를 한 결과 소나무-졸참나무군집, 신갈나무-졸참나무군집, 신갈나무-물박달나무군집 ,소나무-신갈나무 군집, 신갈나무군집, 신갈나무-당단풍군집의 6개 식물군집으로 최종 분리되었다. 산림 군집 구조분석 결과 추정되는 천이계열은 교목층에서 소나무가 졸참나무, 신갈나무로 천이진행 이 예상되었고, 아교목층에서는 철쭉꽃이 쇠물푸레나무, 당단풍나무로 천이진행이 예측된다. 그러나 일부지역에서는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토지극상단계로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