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he Danggol Valley in Taebaeksan Area, the Baekdudaegan  

Cho Hyun-Seo (Dept. of Forest Resource, Jinju Nat'l Univ.)
Kim Gab-Tae (college of life Sci. & Resour., Sanji Univ.)
Choo Gab-Chul (Dept. of Forest Resource, Chinju Nat'l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v.19, no.1, 2005 , pp. 55-6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o investigate the fore,:t community structure in the Danggol valley of Taebaeksan (Mt.), area, 45 plots$(10m\times10m)$, were set up with a random sampling method. By cluster analysis the forest community in the study area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Larix leptolepis community, Fraxinus rhynchophylla-Carpinus cordata community, Betula costata-Quercus mongolica community). There were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uonymus sachalinensis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Weigela subsessilis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Euonymus sachalinensis; Acer pseudo-sieboldianum and Acer tegmentosum; Quercus mongolica and Tilia amurensis. While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Acer pseudo-sieboldianum and Tilia amurensis, Acer ukurunduense: Quercus mongolica and Acer ukurunduense; Pinus koraiensis and Euonyms sachalinensis Fraxinus sieboldiana and Magnolia sieboldii, Carpinus cordata, Acer mono. Species diversity(H') of the investigated area was $0.7932\~1.2077$.
Keywords
종다양성;종간의 상관관계;낙엽송림;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갑태, 추갑철, 백길전(2000) 지리산 국립공원 명선봉, 덕평봉지역의 산렴군집구조에 관한 연구-구상나무군집-. 환경생태학회지 13(4): 299-308
2 이경재, 임경빈, 조재창, 류창희(1990) 속리산 림군집구조에 관한연구(1)-소나무림보존계획-. 응용생태연구 4(1): 23-32
3 임덕순(1999) 백두대간 산맥표기에 대한 역사.지리적 고찰. 백두대간의 개념복원과 관리방안 모색을 위한 심포지엄, 1-22쪽
4 추갑철, 김갑태, 김정오(2002) 깃대봉-청옥산지역 능선부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5(4): 354-360
5 Ludwig, J.A. and Reynolds(1988)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377pp
6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6b) 오대산 국립공원 동대산, 두노봉, 상왕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9(2): 147-155
7 Pielou, E.C.(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68pp
8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7) 설악산 국립공원 대청봉-소청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0(2): 240-250
9 김갑태, 백길전(1997) 설악산국립공원 대청봉-한계령 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1(4): 391-398
10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6a) 오대산 국립공원 상원사, 비로봉, 호령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0(1): 151-159
11 산림청, 한국환경생태학회(2001) 백두대간 자연생태계 보전 및 훼손지 복원방안조사 연구. 산림청, 279쪽
12 산림청, 녹색연협(1999) 백두대간 산림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산림청, 602쪽
13 김갑태, 김준선, 추갑철(1991) 반야봉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구상나무림-. 응용생태연구 5(1): 25-31
14 오구균, 박석곤(2002) 백두대간 피재-도래기재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환경생태학회지 15(4): 330-343
15 추갑철, 김갑태, 김정오(2001) 계룡산국립공원 자연보전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4(4): 287-295
16 박인협, 조재창, 오충현(1989) 가야산 지역 계곡부와 능선부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삼림 구조. 응용생태연구 3(1): 42-50
17 김갑태, 김준선, 추갑철(1993) 소백산 도솔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 6(2): 127-133
18 김갑태, 추갑철, 백길전(2003) 백두대간 대덕산-금대봉 자연 생태계보전지역의 산림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1): 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