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izome

검색결과 633건 처리시간 0.029초

해부형태적 특징과 SCAR Marker를 이용한 백출의 기원식물 판별 (Discrimination of Atractylodes Rhizome White Using Anatomical Characteristics and SCAR Markers)

  • 방경환;성정숙;박충헌;김동순;박춘근;유홍섭;박희운;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3-59
    • /
    • 2004
  • 국내 한약재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백출 건재약재의 기원을 판별하고자 해부형태적 특징과 종 특이적인 SCAR 마커 (SAjR2, SAmR1)를 적용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부형태적 특징으로 A. japonica에서는 주피에 코르크층이 매우 발달하여 있었고, 코르크층 내부 또는 아래에 석세포대가 연속적으로 발달하고 있었다. 유실은 A. japonica에서 뿌리횡단면에 전체적으로 다수 분포하여 잘 발달하고 있었으며 피충부분과 잘 발달된 방사조직 내에서도 목섬유다발이 다수 관찰됐다. 또한 유세포 내의 침상 결정물도 A. macrocephala보다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이러한 특징들을 종합한 결과, 국내 유통 국산 및 수입 백출은 모두 A. japonica의 해부형태적 특징을 따르고 있어 A. japonica로 동정되었다. 한편 RAPD clone으로부터 개발된 A. japonica 특이적인 SAjR2를 이용하여 PCR 한 결과 모든 샘플에서 600bp 크기의 한국백출 특이적인 밴드가 형성되었으며, A. macrocephala 특이적인 SAmR1을 이 용한 결과에서는 작물시험장에서 재배중인 A. macrocephala에서만 1200 bp크기의 특이적인 밴드가 형성되어,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한국백출과 중국백출은 모두 A. japonica로 동정되었다. 결론적으로 해부형태적 특성과 SCAR 마커는 A. japonica와 A. macrocephala 기원식물의 동정과 유통 건재 약재를 판별하기에 유용한 방법이었다.

전통 방법으로 제조한 소주 술덧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ju Mashes Brewed by Korean Traditional Method)

  • 인혜영;이택수;이동선;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34-140
    • /
    • 1995
  • 증류식 소주를 안동소주식, 문배주식, 이강주식, 진도홍주식의 전통 방법으로 제조하여 숙성 과정 중 술덧의 pH, 총산, 환원당, 총당, ${\beta}-amylase$, 에탄올, 고형분 등의 성분을 조사하였다. 술덧이 숙성됨에 따라 에탄올은 증가 경향을 보여 발효 16일에 $8.8{\sim}11.2%$까지 증가하였다. 발효 16일 후 술덧의 알콜 함량은 덧술이 첨가된 구가 첨가되지 않은 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총산은 $0.59{\sim}1.10%$까지 증가하였으며 시험구 중 안동소주식 담금 시험구에서 가장 많았다. 총당은 감소경향을 보여 16일에 $6.76{\sim}8.94{\%}$였고 이강주식 담금 시험구가 가장 적었다. 환원당은 담금 직후에는 $6.42{\sim}0.62%$로 안동소주식 담금 시험구가 가장 많았고 발효 16일에는 $0.30{\sim}0.09%$로 감소하였으며 시험구간에 차이가 없는 편이었다. 토고리를 변형하여 제작한 증류장치로 술덧을 증류하여 얻은 소주의 성분을 보면 에탄올 함량은 $35{\sim}40%$로 나타났고, 술덧보다 소주에서 pH가 다소 상승되었고 총산은 감소하였다. 시험구간에 이들 성분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술덧 중의 당분, 고형분은 소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후숙이나 약재 통과의 소주에서는 당분, 고형분이 다소 검출되었다.

  • PDF

미치광이풀 모상근의 배양조건 구명 및 XAD Resin 처리에 의한 Tropane Alkaloid 생산 (Optimal Culture Conditions and XAD Resin on Tropane Alkaloid production in Scopolia parviflora Hairy Root Cultures)

  • 정희영;강민정;강영민;윤대진;박정동;정영관;최명석
    • KSBB Journal
    • /
    • 제17권6호
    • /
    • pp.525-530
    • /
    • 2002
  • 멸종위기의 자생식물인 미치광이풀로부터 중요 의약품인 tropane alkaloid를 대량 생산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모상근의 최적 배양조건 및 XAD를 이용한 물질 생산 최적 조건을 확립하였다. 모상근은 표면 살균된 지하경을 1.0 mg/1 IBA가 첨가된 B5배지에 배양하여 유도하였으며, 다양한 배양조건에서 생장된 모상근의 hyoscyamine과 scopolamine 함량은 HPLC로 분석하였다. 모상근의 생장에 적합한 배지로는 SH배지로 구명되었고, tropane alkaloid 생산을 위한 최적 배지로는 l/2B5배지로 나타났다. 모상근 생장에 가장 좋은 생장조절제로는 NAA로 나타났으며, 물질생산에는 생장조절제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서 좋았다. 모상근 생장에 적합한 탄소원으로는 3% sucrose였으며, 물질생산에는 5% scurose가 가장 좋았다. 모상근의 생장에 가장 양호한 접종농도는 0.5 g 였으며, 물질생산에는 1 g 처리구에서 좋았다. XAD 처리는 tropans alkaloid 생산성을 증가시켰으며, 배지내 물질방출을 유도하였으며, 총생산 물질의 50-80%를 회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미치광이풀 모상근 배양을 통한 tropane alkaloid 생산을 위한 생물공정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홍삼에 함유된 갈변물질 및 산성다당체에 대한 연구현황 (Current Studies on Browning Reaction Products and Acidic Polysaccharide in Korean Red Ginseng)

  • 이종원;도재호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0권1호
    • /
    • pp.41-48
    • /
    • 2006
  • 우리나라의 건강기능식품법에서는 인삼 또는 홍삼의 기능성이 자양강장, 면역증진 및 원기회복으로 한정되어 있다. 지금까지 홍삼에 함유된 갈변물질과 산성다당체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갈변물질은 항산화 활성과 면역증진기능, 그리고 산성다당체는 소화기관암의 증상개선, 면역기능 증진, 혈압개선, 혈액응고방지, 조혈기능, 알콜해독(간기능 회복, 고지혈 개선 등) 등의 효능이 우수하다고 보고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재 인삼과 홍삼의 3가지 기능성외에 항산화활성이라든지 그 외 더 많은 기능성을 추가할 필요성이 있으며, 또 홍삼에 함유되어 있는 활성성분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기준규격형제품은 물론이고 질병위험감소에 대해서 기능성을 표시할 수 있는 개별인정형 제품이나 나아가서는 일반 또는 전문의약품으로 개발하여 홍삼의 이용 가능성을 극대화시키고 국제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한국인삼으로 그 위상을 제고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발계(Smilax china L.)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 (Antioxidant and anticancer properties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the roots of Smilax china L.)

  • 김예진;손대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91-698
    • /
    • 2013
  • 식품 연구에서 흔히 사용되는 물과 주정(7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된 발계(SCR)의 열수 추출물(SCRW)과 에탄올 추출물(SCRW)의 총 플라보노이드 및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 활성, 항암활성을 측정하였다. SCRW와 SCRE는 DPPH(SCRW; 72.9%, SCRE; 42.4%)와 ABTS(SCRW; 81.6%, SCRE; 50.3%) 자유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소거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인 BHA(53.8% DPPH, 49.5% ABTS)보다 더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인체 유래 신장 정상세포(HEK293)에 대해서는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 독성이 없음을 확인한 반면, 인체 유래의 암세포(유방암세포; MCF-7, 폐암세포; A549, 위암세포; AGS)에 대해서는 대조군으로 사용된 항암제 CPA와 유사하거나 더 높은 세포성장 억제효과가 확인되었다. 특히 SCRE는 AGS에 대하여 $1,000{\mu}g/mL$ 농도에서 53.6%로 탁월한 위암 세포 성장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발계 추출물의 높은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이 확인되어 약리활성에 대한 기초연구 자료로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기능성 소재로써의 이용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vestigation of ginsenosides in different tissues after elicitor treatment in Panax ginseng

  • Oh, Ji Yeon;Kim, Yu-Jin;Jang, Moon-Gi;Joo, Sung Chul;Kwon, Woo-Saeng;Kim, Se-Yeong;Jung, Seok-Kyu;Yang, Deok-Ch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8권4호
    • /
    • pp.270-277
    • /
    • 2014
  • Background: The effect of methyl jasmonate (MJ) on ginsenoside production in different organs of ginseng (Panax ginseng Meyer) was evaluated after the whole plant was dipped in an MJ-containing solution. MJ can induce the production of antioxidant defense genes and secondary metabolites in plants. In ginseng, MJ treatment in adventitious root resulted in the increase of dammarenediol synthase expression but a decrease of cycloartenol synthase expression, thereby enhancing ginsenoside biosynthesis. Although a previous study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MJ to affect ginsenoside production in adventitious roots, we conducted our research on entire plants by evaluating the effect of exogenous MJ on ginsenoside production with the aim of obtaining new approaches to study ginsenoside biosynthesis response to MJ in vivo. Methods: Different parts of MJ-treated ginseng plants were analyzed for ginsenoside contents (fine root, root body, epidermis, rhizome, stem, and leaf)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esults: The total ginsenoside content of the ginseng root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2 d of MJ treatment compared with the control not subjected to MJ. Our results revealed that MJ treatment enhances ginsenoside production not in the epidermis but in the stele of the ginseng root, implying transportation of ginsenosides from the root vasculature to the epidermis. Application of MJ enhanced protopanaxadiol (PPD)-type ginsenosides, whereas chilling treatment induced protopanaxatriol (PPT)-type ginsenosides.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production of PPD-type and PPT-type ginsenosides is differently affected by abiotic and biotic stresses in the ginseng plant, and they might play different defense mechanism roles.

비닐하우스와 관행재배 인삼의 생육특성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 비교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Ginsenoside Content of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Cultivated with Greenhouse and Traditional Shade Facility)

  • 이성우;김금숙;현동윤;김용범;김장욱;강승원;차선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57-161
    • /
    • 2011
  • Growth characteristics, root yield and ginsenoside contents of 3-year-old ginseng in greenhouse shaded by $30^{\circ}$ sloped-curtain made of aluminum were compared to traditional shade facility in order to develop cultural practice for organic ginseng. Light transmittance ratio in greenhouse with $30^{\circ}$ sloped-curtain shade was distinctly lower than that of traditional shade from sunrise to 9 a.m., while its ratio in greenhouse was higher than traditional shade since 9 a.m. due to the reflection of light. Air temperature of greenhouse was $1.3^{\circ}C$ higher than that of traditional shade on the first ten days of August due to more reflected light. Root yield of greenhouse was 44% higher than that of traditional cultivation because of the inflow of reflected light and the decrease of disease of Alternaria and Anthracnose by blocking rainfall. Dry matter partitioning ratio of rhizome and lateral root were increased in ginseng cultivated at greenhouse due to longer survival time in leaf than traditional cultivation. Total ginsenoside contents cultivated at greenhouse was decreased in the part of taproot, while it was increased in the part of lateral and fine root compare to traditional cultivation. Individual ginsenoside contents between greenhouse and traditional cultiv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more frequent in fine root than taproot and lateral root. Total ginsenoside contents including $Rb_1$, $Rb_2$, Rc, Rd, Re, Rf, $Rg_1$, and $Rg_2$ in whole root of 3-year-old ginseng did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greenhouse and traditional cultivation.

한국(韓國) 재래종(在來種) 지모(知母)의 특성비교(特性比較)에 따른 유연관계(類緣關係) 분석(分析) (Classification of Korean Native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by Cluster Analysis)

  • 한승호;박상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66-275
    • /
    • 1997
  • 지모는 야생에서 수집하여 순화재배하고 있는 약용작물로서 근경을 주로 이용하고 있으며 주성분은 사포닌으로서 발한, 진통, 이뇨 등의 약리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시험은 전국 각지에서 수집한 지모 재래종 20계통의 작물학적 특성조사로 수집 재래종간 유연관계(類緣關係)를 밝혀 지모의 재래종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1. 화경수, 화축장 등과 같은 화경기관에 관련된 특성들의 변이가 엽장, 근경길이 등 지상부 또는 지하부에 관련된 특성들의 변이 보다 높았다. 2. 지상부 생육이 왕성할수록 화경장, 화경수등 생식기관도 잘 발달되었으나 화경의 발달은 엽의 엽록소함량과 부의 상관관계 를 나타내었다. 3. 지하부 특성은 업의 생육특성보다 화경관련 형질과 상호 관련성 이 높았다. 4. 중심 연결법에 의한 군집 분석결과 크게 2 group으로 분류되었는데 A group은 B group에 비하여 엽수, 화경수가 많고 화경장, 화경직경이 길고 굵으며 지상부 건물중이 무거운 등 지상부 생육이 왕성하였다. 5. A group은 잎의 크기, 화축장 및 화경직경에 의하여 다시 2개군으로 분류되었고 B group은 엽수, 화경수, 지상부 건물중 등에 의하여 2개군으로 분류 되었다.

  • PDF

취학전(就學前) 아동(兒童)의 영양실태조사(營養實態調査)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urvey of Nutritional Status on Pre-school Children in Korea)

  • 최경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1-35
    • /
    • 1982
  • (1) 열량(熱量)및 모든 영양소(營養素)를 1일(日) 섭취량(攝取量)과 권장량(勸奬量)를 비교(比較)할때 열량(熱量)에서 남(男)68.7%, 여(女)70.0% ca에서 여(女) 78.3%로 섭취율(攝取率)이 낮았고 다른 영양소(營養素)는 권장량(勸奬量)보다 높은 비율(比率)로 섭취(攝取)하고 있었다. (2) 탄수화물(炭水化物), 지방(脂肪), 단백질(蛋白質)의 비율(比率)은 남(男)64 : 11 : 24, 여(女)66 : 11 : 23이었다. (3) 식품섭취(食品攝取)는 동물성(動物性)보다 식물성섭취(植物性攝取)가 높았고 곡류(穀類)및 서류(薯類)의 섭취(攝取)가 32.8%로 가장 높았다. (4) 어머니의 영양지식(營養知識)과 영양소섭취량(營養素攝取量)과의 관계(關係)는 남(男)의 경우 열량(熱量), 단백질(蛋白質), Ca와 여아(女兒)의 경우 열량섭취(熱量攝取)에서 유의적인 차이(差異)를 보여주어 영양지식(營養知識)이 높을수록 높은 함량(熱量)을 섭취(攝取)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한국산 꿩의다리속(Thalictrum L.) 식물의 형태학적 연구 (The morphology of Thalictrum L. in Korea)

  • 박성준;박선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33-458
    • /
    • 2008
  • 한국산 꿩의다리속 식물에 대해 뿌리, 잎, 화서, 꽃, 수술, 암술, 열매 등 형태 형질의 종합적인 검토를 통하여 형질의 분류학적 가치를 논하고, 이에 따라 새로운 종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화된 줄기 및 뿌리는 수근형, 괴경을 갖는 수근형, 괴근형, 팽미근형(tuberoid), 지하경, 지상경으로 구분되었다. 줄기는 능선의 유무 또는 털의 유무에 따라 구분되었으며, 잎은 일반적으로 2-3회 3출엽이며, 엽선, 엽저, 탁엽의 모양, 열편의 수로 구분되었다. 화서는 산방화서와 원추화서로 구분되고, 꽃은 양성화이다. 꽃잎이 없으며, 개화시 꽃받침이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구분되고, 다양한 형태를 하고 있어 종을 동정하는데 중요한 형질로 나타났다. 특히 수술은 약의 모양과 정단모양, 약의 털, 수술대의 팽창정도, 수술대의 표피형태 등에 따라 구분되며, 암술은 주두의 모양, 자방의 선모유무, 심피자루의 길이 등에 따라 구분되었다. 열매는 수과의 형태를 가지며, 수과의 모양, 수과의 능선 또는 날개의 유무, 과병의 길이 등에 따라 구분되었다. 조사된 형질 중 절을 구별하는 데는 수술대의 확장정도, 약의 모양, 수과의 날개와 능선, 수과의 팽창 정도 등이 식별형질이 사용되었으며 종 동정을 하기 위한 유용한 형질은 뿌리, 잎의 모양, 수술과 암술의 모양, 수과의 부리 및 과병의 길이, 수과와 잎의 털 등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