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ynoutria sachalinensi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초

Molecular Identification of Reynoutria japonica Houtt. and R. sachalinensis (F. Schmidt) Nakai Using SNP Sites

  • Park, Hana;Yoon, Chang Young;Kim, Jin Sook;Kim, Joo-Hwa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43-751
    • /
    • 2015
  • Reynoutria japonica and R. sachalinensis have been used as medicinal resources in Korea. However, it is difficult to identify and determine these medicinal herbs correctly because they are usually customized and purchased as the fragmented rhizomes types. To develop molecular markers for distinguishing two species, we analyzed and compared the chloroplast DNA sequences of seven loci (atpB, matK, ccD-psaI, atpF-H, trnL-trnF, psbK-I and rpl32-trnL). Among them, we found two effective SNPs in psbK-I region for R. japonica and atpF-H region for R. sachalinensis. Based on these SNP sites, we designed the new R. japonica- specific primer which is able to amplify 300 bp fragment in psbK-I region. A similar strategy was applied for the atpF-H region of R. sachalinensis. These molecular markers would be successfully applied to recognize R. japonica and R. sachalinensis.

왕호장근(Reynoutria sachalinensis)을 이용한 배지에서의 느타리 균사 생장 효과 (The Effect of Reynoutria sachalinensis on Mycelial Growth of Pleurotus ostreatus)

  • 박원목;김영호;고한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4호통권79호
    • /
    • pp.322-328
    • /
    • 1996
  • 왕호장근(Reynoutria sachalinensis)은 국내에서 자라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잡초로써 단위 면적당 Biomass가 매우 높으므로 버섯재배의 첨가 기질로써 이용가능성을 시험하였다. 대조구인 malt extract agar보다 왕호장근 1/4 희석 배지에서 느타리 균사 생장이 우수하였으며 1/8 희석 배지에서는 대조구보다 3배나 균사생장이 빨랐으며 균총의 밀도도 매우 높았다. 또한 느타리 균사가 왕호장근 한천배양기의 최적 산도 및 희석비율을 알아본 결과 pH 6.5, 희석비율 1/8이 느타리 균사생장에 가장 적합하였다. 왕호장근, 톱밥 및 미강를 각각 혼합하여 균사생장을 비교하여 본 결과 왕호장근을 넣은 배지에서 느타리 생강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1.5 내지 2배의 균사생장을 보였다. 왕호장근 한천배양기의 희석비율 l/4, 1/8와 pH 4.5, 6.5, 8.5에서 느타리 균사와 Trichoderma sp.의 대칭배양에서 산도 및 희석농도와 관계없이 느타리 균사생장이 월등하게 나타났으며 Trichoderma sp.의 균사생장을 억제하였다. 왕호장근, 톱밥, 미강을 혼합하여 종균 제조시 톱밥+왕호장근 10%+미강 10%의 배지에서 균사활착이 대조구보다는 4내지 5일 빨랐으며 2배 이상의 균사생장을 보였고 균사의 밀도도 가장 우수하였다.

  • PDF

Cytotoxic Anthraquinones and Stilbenes from Reynoutria sachalinensis (Fr. Schm.) Nakai

  • Jin, Wenyi;Na, Min-Kyun;Song, Gyu-Yong;Lee, Young-Mi;Bae, Ki-Hwan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0-84
    • /
    • 2005
  • Five known anthraquinones, physcion (1), I-O-methylemodin (2), emodin (3), $physcion-8-O-{\beta},-D-glucopyranoside$ (5), $emodin-8-O-{\beta},-D-glucopyranoside$ (6) and two known stilbenes, trans-resveratrol (4), $trans-resveratrol-3-O-{\beta},-D-glucopyranoside$ (7) were isolated from MeOH extract of Reynoutria sachalinensis (Polygonaceae). All structures were unambiguously established by 1D and 2D NMR and MS data and the compounds were evaluated for their cytotoxicity against L1210, HL-60, BI6F10 tumor cell lines in MTT assay. Among the compounds, trans-resveratrol (4) exhibited significant cytotoxic activity with $IC_{50}$ values of 9.2, 6.7 and $9.8\;{\mu}g/ml$, against the test cell lines respectively, but compounds 1-3 exhibited the moderate cytotoxic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of Anthraquinones and Flavonoids from Flower of Reynoutria sachalinensis

  • Zhang Xinfeng;Thuong Phuong Thien;Jin WenYi;Su Nguyen Duy;Sok Dai Eun;Bae KiHwan;Kang Sam Si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1호
    • /
    • pp.22-27
    • /
    • 2005
  • Bioassay-guided fractionation of methanol extract of Reynoutria sachalinensis flower using DPPH assay has led to the isolation of three anthraquinones and three flavonoids.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emodin (1), emodin-8-O-$\beta$-D-glucopyranoside (2), physcion-8-O-$\beta$-D­glucopyranoside (3), quercetin-3-O-$\alpha$-L-arabinofuranoside (4), quercetin-3-O-$\beta$-D-galactopyra­noside (5), and quercetin-3-O-$\beta$-D-glucuronopyranoside (6) by comparing their physicochemical and spectral data with those published in literatures. All isolated compounds were evaluated for antioxidant activities with free radical 1, 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nd $Cu^{2+}$-mediated low density lipoprotein (LDL) oxidation assay.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ree flavonoids, 4, 5, and 6 had remarkable antioxidant activities with the $IC_{50}$ values of 64.3, 54.7, and 46.2${\mu}M$ (DPPH scavenging), the $IC_{50}$ values of 6.0, 6.7, and $4.4{\mu}M$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nd the $IC_{50}$ values of 3.8, 3.2, and 5.4${\mu}M$ against LDL oxidation, respectively.

한국산 닭의덩굴속 호장근절 (마디풀과) 식물의 털의 형태와 분류 (Trichome morphology of Fallopia sect. Reynoutria (Polygonaceae) in Korea)

  • 문혜경;박진희;박종욱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1-5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닭의덩굴속 호장근절의 한반도산 분류군을 중심으로 잎 표피세포 및 털의 미세구조를 관찰하여, 이들 형질의 분류군간/분류군내 변이 양상을 구명하고 식별형질로서의 분류학적 유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절 분류군들의 표피세포의 형태는 향축면 표피세포의 경우 다각형, 배축면 표피세포는 수층벽이 파상인 부정형으로 근본적으로 유사하였으나, 표피상납질의 발달 정도는 분류군간/지역집단 간에 변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Fallopia sachalinensis는 본 절 다른 분류군과는 달리 모든 잎 배축면의 모든 표피세포에 표피상납질이 조밀하게 발달하며, 또한 울릉도 및 독도에 분포하는 본 종 개체들은 일본 및 사할린에 분포하는 개체들에 비해 표피상납질이 상대적으로 가늘게 발달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기공의 크기는 분류군내에서도 변이가 존재하였으며, 일반적으로 다배체(6, 8, 12배체)인 개체들이 4배체인 개체에 비해 기공이 큰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 조사된 본 절 분류군에는 크게, (1) 원추형 단세포 털, (2) 단세포 또는 2-8개의 세포가 한 줄로 연결된 선형의 털, (3) 다세포로 구성된 방패상 선모의 3 종류가 분포하였으며, 털의 종류와 분포 양상은 분류군 및 지역집단을 구분하는데 유용한 형질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독도에서 새롭게 발견된 Xylodon flaviporus (Xylodon flaviporus, a Newly Recorded Macrofungi in Dokdo, South Korea)

  • 조종원;곽영남;조성은;한상국;한재구;오승환;김창선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41-247
    • /
    • 2019
  • 2017년 독도의 버섯상 조사를 통해 관속식물인 왕호장근의 기부에 발생한 목재부후균 버섯표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목재부후균은 배착성으로 자라는 가죽질의 자실체를 형성하였고 자실층은 관공형태를 나타내었다. 또한 균사체계는 위이균사형이며 타원형의 담자포자를 형성하였다. 형태적 특징과 균류바코드 영역 (internal transcribed spacer of rDNA) 분석을 통하여 이 버섯을 Xylodon flaviporus (Berk. & M.A. Curtis ex Cooke) Riebesehl & Langer로 동정하였다. 이 버섯은 독도에서 서식이 확인된 두 번째 종이며, 다년생 초본식물인 왕호장근을 X. flaviporus의 새로운 기주식물로 보고하고자한다.

왕호장근의 성분 연구 (Anthraquinones from the Rhizome of Polygonum sachalinense)

  • 지형준;문희수;이용주
    • 약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7-43
    • /
    • 1983
  • The rhizome of Polygonum sachalinense Fr. Schm. (=Reynoutria sachalinensis Nakai, Polygonaceae) has been used as "Polygoni Rhizoma" (Hu Zhang) in the Orient as laxatives, diuretics and for treatment of suppurative dermatitis, gonorrhoea, favus and athlete's foot. From the methanolic extract of the dried rhizome physcion, emodin, emodin-8-O-$\beta$-D-glucoside as anthraquinone derivatives and .betha.-sitosterol glucoside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Stilbene derivatives which have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ies were also isolated.

  • PDF

한국산 닭의덩굴속 호장근절(마디풀과)의 화학분류학적 연구 (Flavonoid chemistry of Fallopia sect. Reynoutria (Polygonaceae) in Korea)

  • 박진희;문혜경;박종욱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0-1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닭의덩굴속 호장근절 분류군들을 대상으로 개체군 수준에서 flavonoid 분석을 수행하여, 본 절 분류군에서 나타나는 형태변이 양상을 화학적 측면에서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한반도에 분포하는 본 절 분류군들의 실체 및 한계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본 절 3분류군 15개체군의 잎으로부터 19종류의 서로 다른 flavonoid compound가 분리, 동정되었으며, 이들은 flavonol인 quercetin 및 kaempferol 3-O-glycoside들과 flavone인 apigenin및 luteolin C-glycoside들이었다. 이들 compound들 중 한국산 본 절 식물에 분포하는 주요 flavonoid compound는 quercetin 3-O-galactoside 와 quercetin 3-O-glucoside이었다. 본 절 한국산 분류군들은 그 flavonoid 조성에 의해 뚜렷이 구분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외부 형태학적 연구 결과와 전반적으로 일치하였다. 한편, 잡종으로 추정되는 논산 개체군의 flavonoid 조성은 F. japonica var. japonica, F. forbesii 및 F. sachalinensis와 일부 compound를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allopia japonica var. japonica의 경우, 염색체수 배수화에 따른 flavonoid 조성의 정성적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나, 지리적 변이가 일부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약용식물의 최종당화산물 생성저해활성 검색 (II) (Screening of Korean Herbal Medicines with Inhibitory Activity on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Formation (II))

  • 이윤미;김영숙;김종민;장대식;김주환;유정림;김진숙
    • 생약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23-227
    • /
    • 2008
  •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contribute to the progression of micro and macrovsacular complication of diabetes and therefore present a promising target for therapeutic agents. In this study, 40 Korean herbal medicines have been investigated with an in vitro evaluation system using AGEs inhibitory activity. Of these, 21 herbal medicines $(IC_{50}<50{\mu}g/ml)$ exhibited an inhibitory activity against AGEs formation compared with anminoguanidine $(IC_{50}=72.12{\mu}g/ml)$. Particularly, 7 herbal medicines, Actinidia arguta (root and stem), Crataegus pinnatifida (twig), Camellia japonica (whole), Kalopanax pictus (bark), Lagerstroemia indica (leaf-stem), Reynoutria sachalinensis (root) showed more potent inhibitory activity (approximately 3-10 fold) than the positive control aminoguanidine.

울릉도 섬시호 자생지의 생태학적 특성 및 식물상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Bupleurum latissimum in Ulleung Island)

  • 안영희;이성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751-761
    • /
    • 2007
  • This study is carried out through ecological situation of native Bupleurum latissimum habitats and the research of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conservation of native sites, restoration of alternative habitats and preliminary data for application of useful medicinal plant. Native Bupleurum latissimum habitats were distributed on lower and middle part of the mountain from Altitude 54m to 185m, and the directions of slope were researched as usually northen and western slope. As a result of phytosociological research in 12 stands of native Bupleurum latissimum habitats, they were seperated to two communities(Bupleurum latissimum typical community and Bupleurum latissimum-Galium spurium community) in accordance with containable rate of the organic matter and soil hardeness. Soil condition is usually constituted as loamy sand and clay loam. Bupleurum latissimum is propagated in valuable soil conditions. Bupleurum latissimum lives with Morus bombycis, Reynoutria sachalinensis in Bupleurum latissimum typical community and Thalictrum aquilegifolium, Stellaria media, Hedera rhombea etc. is appeared with Bupleurum latissimum in Bupleurum latissimum-Galium spurium community. Especially, companion species were researched as Aster glehni, Dystaenia takeshimana and so on.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this study is 44 families, 88genus 82species, 2 subspecies, 14 varietas, 4 forma and total 102 taxa. Plants of compositae occupied 10.78% among whole of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