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vitalization in The Street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3초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도시 단독주택지 가로공간 계획 (Street Planning of Urban Detached Housing Area for Revitalization of the Community)

  • 김묘정;하재명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97-20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information of street planning for revitalization oft the community in urban detached housing area. This study was accomplished by observations and actual survey, and suggested several street planning methods; exclusion of the passing through car and control of the resident's car by one-way passage, protection of the parking area to inside individual lot by the ‘Break down Fence’ campaign in Daegu, and provide the common space for social contact and community According to this program, the public street space cant be changed into the semi-private space and the semi-public space as common territory.

  • PDF

서울시 업종별 점포의 공간분포가 가로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The Influence Factors Analysis of The Street Revaitalization by Spatial Distribution of Small Retail Businesses' Classification in Seoul City)

  • 원유호;최창규;이주형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6호
    • /
    • pp.81-90
    • /
    • 2014
  •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주요요인으로 도출되었던 가로의 물리적 환경, 접근성, 밀도, 다양성 등의 보행증진요인을 기반으로 가로차원의 변수가 가로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보았다. 또한 Jacobs(1961)가 중요하다고 언급했던 업종의 다양성과 Ray Oldenburg(1989), Richard MacCormac(1983)이 주장했던 특정 공간이 가로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가로활성화 영향요인 모형을 업종별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해 본 결과, Jacobs(1961)가 주장했던 기본적인 가로 환경, 접근성, 밀도, 다양성 등의 보행증진요인은 주중과 주말의 모형에서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Ray Oldenburg(1989), Richard MacCormac(1983)이 주장했던 주요 업종은 주중과 주말에 따라 가로활성화에 영향을 주는 정도가 차이가 있음을 도출했다.

공간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요인 도출 - 청주시 육거리 시장을 중심으로 - (Derivation of Factors for Traditional Market Revitalization through Spatial Network Analysis - Focused on Yukgeori Market in Cheongju City -)

  • 정상규;반영운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10호
    • /
    • pp.55-61
    • /
    • 2018
  • Changes in consumer purchasing patterns due to construction of large Western-style commercial buildings and introduction of new purchasing methods in South Korea in the 1990s led to a gradual decline in traditional markets. Under such a new environment, Yukgeori market, one of Korea's exemplary markets, has continued to develop and survive, while maintaining the traditional market form of Korea, both physically and operationally. Therefore,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nfigurations supporting the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 we deduced social attributes of spaces in street network of Cheongju city and the neighborhood including Yukgeori market by calculating the depths of nodes in the network using analysis models based on space syntax. The results illustrated that long street with the function to attract people and acts as a bridge of traffic and communication between highly modernized commercial area and traditional market can lead to continuous win-win development of both areas and the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 through the promotion of social activities in the market. We expect that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cities, which lost tradition, will be achiev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소도읍 중심가로 활성화를 위한 보행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홍성군 광천읍 '광천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for the Small Town Main Street Revitalization -Focusing on 'Gwangcheon Main Street' in Hongseong County-)

  • 유선문;양상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450-2459
    • /
    • 2014
  • 이 연구는 광천소도읍의 중심가로인 '광천로'에서 이루어진 도시계획 도로 개설 및 가로 환경개선 사업에 현황과 그 결과를 분석하고, 침체된 소도읍 중심가로의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기본적인 계획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가로인 광천로에 대한 현장조사 및 이용자 인터뷰를 통하여, 장애물로 인한 보행로의 협소, 불법광고시설물로 인한 미관훼손 등이 문제점으로 파악되었다. 보행환경 개선을 통한 중심가로 활성화를 위해서는 첫째, 보행자 중심의 가로환경 구축, 둘째, 가로경관 개선, 셋째, 보행 친화적 상가 계획 그리고 마지막으로 지역 개발요소와의 연계를 통한 가로의 계획이 필요하다.

미국의 농촌개발사업 고찰과 시사점 - 메인 스트리트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Review on Rural Development Project in the United States and Its Application to Korea : Main Street Program)

  • 황한철
    • 농촌계획
    • /
    • 제15권4호
    • /
    • pp.147-160
    • /
    • 2009
  • In 1977, the Main Street Program(MSP) of the United States was founded by the National Trust for Historic Preservation to revitalize downtowns which suffered major declines in their economy and popul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methodology of MSP such as the Four-Point Approach and the Eight Principles, history of MSP, local program organizational structure, local program budgets and funding, official designation and so on. Three successful cases were discussed the background of an introduction to MSP, implementations, results and revitalization statistics. To be able to apply rural development projects in Korea, this study showed the implications such as the need for a program's ethic and methodology, a strong public-private partnership, a dedicated organization, a full-time professional program manager, a commitment to good design and comprehensive work plan, and an educational program of ongoing training for staff, volunteers and other residents.

도시 내 주상복합건축물의 공개공지 활성화를 위한 사례연구 - 부산시 '경성대·부경대역' 일대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Revitalization for Public Open Space of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 in Busan City : Focused on 'Kyungsung Univ.·Bukyung Nat'l Univ. Station'-area)

  • 최강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63-17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내 주상복합 건축물의 공개공지 활성화를 위한 계획 및 설계 방법론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부산시의 "경성대·부경대역' 일대의 주상복합건축물을 중심으로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의 틀은 공간구성·공개공지 가로시설물·공개공지 이용행태·가로와의 연계성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인의 접근이 용이한 개방된 위치에 실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비어있는 공간으로 구성되는 필요하다. 둘째, 사람들의 이용을 고려하여 실제적으로 휴식에 이용될 수 있는 가로시설물의 설치가 필요하다. 셋째, 일반인의 접근 및 이용행태를 고려한 계획 및 설계와 이를 통한 공간의 조성이 필요하다. 넷째, 가로와 공개공지의 통합과 이를 통한 가로와의 연계성에 있어서의 상승효과를 내는 것이 필요하다.

문화의 거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대전시 으능정이 거리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a Cultural Street)

  • 심준영;이시영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87-109
    • /
    • 2005
  •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cultural street and to find ways to revitalize a culture street. To achieve this, the study relied on empirical study method and the descriptive method; additionally, present condition survey was performed with a user interview. As a result, the item of 'night visit' shows the highest mean and the item of 'convenience of walking' follows. It means that this street has such a good condition in the convenience and accessibility of physical environment that it gives pedestrians pleasure like night activity and satisfying their curiosity. 5 lowest items of inquiry, however, are all about regional history and origin. It means that this cultural street did not reflect the history and embody the original form of the street. Also, this study proposes 4 type of street; a street with contents, a street with sequence, a street for pedestrians, and a street with identity.

  • PDF

거리정비사업의 주민참여방식 비교를 통한 지역활성화 효과 연구 (A Study on Regional Revitalization Effects of Street Improvement Projects through Comparison of the Types of Citizen Participation)

  • 채진해;김성학;양병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52-64
    • /
    • 2011
  •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거리정비사업에 참여한 주민 특성에 따른 지역의 거리정비사업 활성화 효과를 알아보고,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원주시와 시흥시에서 시행된 주민참여형 거리정비사업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심층면접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심층면접조사 결과, 원주시는 주민의 참여가 적극적이며 주도적인 주민주도형으로 분류되고, 시흥시는 주민의 의견이 제한적인 주민참가형으로 분류되었다. 설문조사는 상인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활성화 항목 21가지를 5점 리커트척도로 질문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8.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검증, 회귀분석, 집단별 평균분석, T검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일반적으로 분류하고 있는 물리적 경제적 사회적 지표에서 더 세분화된 물리적 경제적 파트너쉽 커뮤니티 4가지 지표로 나뉘어졌다. 주민참여 특성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민주도형이 주민참가형보다 모든 지표에서 활성화가 높게 나타났고, 물리적 경제적 활성화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물리적 활성화 지표가 사업추진방식의 특성과는 상관없이 지역주민의 만족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커뮤니티 활성화 지표도 두 사례에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물리적 성과만큼 소통도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사업추진 방식에 있어 주민주도형과 주민참여형은 파트너쉽활성화에 효과를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살펴볼 때 사업의 성과를 물리적 개선에만 본다면 굳이 주민참여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더라도 소기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지만, 도시재생의 목적에서 거리정비사업을 지역활성화의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파트너쉽과 커뮤니티와 같은 사회적 지표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업가로 활성화를 위한 보행공간의 리버빌리티 제고 (Importance of the Livability Factor of Pedestrian Space for Vitality of Commercial Street)

  • 강윤원;김종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5호
    • /
    • pp.723-728
    • /
    • 2022
  • 도시생활의 거점이며, 생활의 활력과 다양성을 제공하는 도시의 상업가로의 생동감은 도시 전체의 활기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상업가로가 활성화 되었다는 것은 보행 활성화와 관계가 있는데, 보행이라는 것은 단순한 이동 행위를 넘어 주변 환경과 폭넓은 상호작용을 하기에 생활의 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 생활의 질은 '리버빌리티(살기 좋음)'로 이어진다. 상업가로의 보행활성화를 위하여 리버빌리티 요소를 도출하고 상업가로 활성화에 있어 가장 중요하고 효과적인 것이 무엇일지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장소성의 세부 지표인 그 자체의 분위기, 목적성을 나타내는 항목이 우선순위가 높게 나왔고, 접근성에 속한 세부 지표가 후순위로 나옴을 알 수 있었다. 상업가로의 리버빌리티를 높이기 위해서는 그 공간의 장소성을 높이는 것을 우선으로 하고, 이로 인해 방문객의 방문 횟수와 머무르는 시간 등이 늘어남에 따라 보행이 활성화 된다면 지역 전체의 활력으로까지 확장될 수 있다.

기존도심재생을 위한 가로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천안시 명동패션거리 일대 가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eet Revitalization for Downtown Regeneration -Focused on the Myeong-dong Fashion Street in Cheonan City-)

  • 이기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5165-5176
    • /
    • 2010
  • 본 연구는 최근 극심한 쇠퇴현상을 겪고 있는 천안역 앞 명동패션거리 일대를 대상으로 도심재생차원에서의 가로활성화 방안을 모색한다. 천안시내 기존도심 지역의 물리 환경적 측면, 역사 문화적 측면,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 현황과 문제점들을 검토하고, 아울러 가로 방문자들을 대상으로 가로이용행태와 가로활성화와 관련한 의식을 조사하였다. 연구를 통해 제안된 해당 지역의 잠정적인 가로활성화 방안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물리 환경적 측면에서는 기존도심 토지소유자들의 개발동기를 유발할 수 있도록 법적 인센티브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요구되며, '명동거리' 내에 휴식 및 녹지공간 조성, 기존건물을 활용한 문화예술 공간의 확충과 함께 지하공간을 활용한 공영주차장 조성 등이 제안된다.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는 기존 가로별 업종 특성을 최대한 살리면서 획일적이지 않도록 '명동거리', '은행길', '옛시청길' 등 가로별로 독특한 테마를 설정하고 각각의 테마업종들이 예시된다. 역사 문화적 차원에서는 기존 도심이 갖고 있는 역사적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역사탐방로 등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기존 패션거리와 연계하여 보행네트워크화 하는 방안이 제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