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ources of the Area

검색결과 7,060건 처리시간 0.039초

동해안지역 가용수자원의 시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Available Water Resources of Eastern Coastal Area, Korea)

  • 박상덕;심재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0권2호
    • /
    • pp.165-175
    • /
    • 1997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동해안 지역에서의 가용수자원 특성을 조사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양양 남대천 유역의 양양수위표 지점에서 수위-유량관계곡선을 제시하였다. 동해안 지역의 연평균 강수량은 1365.8mm로서 동해안 중부와 북부 지역이 남부지역보다 많다. 이는 중부와 북부지역의 강수가 동해로부터 유입되는 북동기류에 의한 지형성 강우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월강수량 계열의 강우관측 지점간 상관분석 결과 해안지역 강우 관측소는 지역적 대표성이 있으나 태백산맥 서쪽 지역은 국지성이 강하다. 양양남대천 유역에서 조사된 유출계수 0.665에 의하면 동해안지역의 가용수자원은 1134.5X106m3으로 총수자원량의 약 28.6%를 나타내고 있다. 주요 유역별 가용수자원량은 양양남대천 193.7X106m3, 강릉남대천 109X106m3, 삼척오십천 146.9X106m3이다. 가용수자원의 계절적 변화는 강수량의 계절적 변화에 비하여 작으며, 가용수자원량은 여름에 30.3%로 가장 많고 겨울에는 19.1%로 가장 적다. 총유출량에서 가용수자원이 차지하는 비율은 겨울 86.3%, 봄 60.1%, 가을 50.1%, 여름 25.7%의 순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동해안지역의 용수수급계획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동해안지역의 용수수급계획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수요지향적 항만물류전문인력 공급체계 구축을 위한 지역대학의 역할 -부산지역 대학교육기관을 중심으로- (Roles of Regional Universities and Colleges on Establishing Education System for Specialized Human Resources in Port Logistics Area -Forced on Busan Region)

  • 손애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3-109
    • /
    • 2005
  • The paper draws the scales of supply and shortages of port logistics area's human resources based upon the future prospect of its supply and demand. Due to the problems that we face today with human resources training and inequality between the levels of demand and supply, introduction of a new training system by local universities and their overall improvement are brought up as the needs of the times. In order for these to happen, the local universities need to assure originality by specializing Port Logistics area. They need to develop demand-oriented port logistics education programs through establishment of cooperation among the universities, as well as expan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mprovement their educational programs. In addition the local universities have to act as the central of nurturing local talents by developing an educational-governmental cooperation, leading port & logistics' educational policy as think-tank and producting ready-to-work talent.

  • PDF

제방 축조에 따른 하천공간 토지이용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ariation of Land-use in River Area caused by Levee Construction)

  • 신형섭;홍일;김지성;김규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419-242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제방축조 전후 하천기능의 변화를 추정하기 위하여 하천 고유의 수문 지형학적 공간을 정의하고, GIS를 이용하여 하천공간을 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하천공간의 경계는 제방에 의한 홍수범람 차단효과를 무시한 100년 빈도의 잠재최대 홍수범람범위로부터 결정하였고, 토지이용이 불명한 저수로변 나지를 대상으로 사행대 경계를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1918년 토지이용 수치지도를 제작하였고, 동일한 범례로 2007년 환경부 토지피복도를 변환하여 제방 축조 전후 토지이용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제방 축조 후 만경강 하천공간 내 취락지구는 0.4% 증가하였고, 농경지는 11.6% 증가하였으며, 나지는 10. 0% 감소하여 기존 범람원이 토지의 생산성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활용됨을 확인하였다. 현재의 하천구역 면적은 사행대 면적과 비슷하였으나, 상 하류 전 구간에서 면적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생물서식처로서 하천 환경기능의 저하를 추정하였다.

Easy and Quick Survey Method to Estimate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in the Thin Forests

  • Mirzaei, Mehrdad;Bonyad, Amir Eslam;Bijarpas, Mahboobeh Mohebi;Golmohamadi, Fatemeh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1권2호
    • /
    • pp.73-77
    • /
    • 2015
  • Acquiring accurat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formation is necessary for the technical and scientific management of forest stands. In this study, stratification and systematic random sampling methods were used to estimation of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in study area. The estimator ($((E%)^2xT)$) was used to compare the systematic random and stratified sampling methods. 100 percent inventory was carried out in an area of 400 hectares; characteristics as: tree density, crown cover (canopy), and basal area were measured. Tree density of stands was compared through systemic random and stratified sampling methods. Findings of the study reveal that stratified sampling method gives a better representation of estimates than systematic random sampling.

수자원 영향평가를 위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불확실성 평가 (Uncertainties estimation of AOGCM-based climate scenarios for impact assessment on water resources)

  • 박이형;임은순;권원태;이은정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38-142
    • /
    • 2005
  • The change of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due to the global. warming eventually caused the variation of water availability in terms of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soil moisture, and runoff. In this reason national long-term water resource planning should be considered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Study of AOGCM-based scenario to proposed the plausible future states of the climate system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for hydrological impact assessment. Future climate changes over East Asia are projected from the coupled atmosphere-ocean general circulation model (AOGCM) simulations based on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Special Report on Emissions Scenarios (SRES) A2 and B2 scenarios using multi-model ensembles (MMEs) method (Min et al. 2004). MME method is used to reduce the uncertainty of individual models. However, the uncertainty increases are larger over the small area than the large area. It is demonstrated that the temperature increases is larger over continental area than oceanic area in the 21st century.

  • PDF

광역 문화자원의 수집과 기록 : 아시아 목화문화자원을 중심으로 (A Collecting and Record of Wide Area Cultural Resources : the Case of Asian Cotton Cultural Resources)

  • 노시훈
    • 기록학연구
    • /
    • 제28호
    • /
    • pp.123-153
    • /
    • 2011
  • 아시아에서는 기원전부터 남아시아의 인도에서 재배 생산한 목화와 면직물이 아시아 전 권역으로 육로와 해로를 통해 전파됨으로써 목화길과 면문화권이 형성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1363년 문익점이 중국에서 들여온 재래면을 재배하다가 1904년부터 일본을 통해 들어온 육지면을 재배하였다. 특히 광주 전남은 조선시대까지 재래면 생산이 가장 활발한 지역이었고, 육지면 도입 후에는 목화 재배와 면직물 생산의 중심지였다. 이처럼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목화문화자원을 수집 기록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 구성 요소들을 분류한 문화자원세트를 만들고 그에 따라 수집할 객체를 조사한다. 수집 대상 지역은 전파 경로와 목화에 관해 지역이 갖는 의미를 토대로 선정한다. 아시아 전체에서 관련 자원을 직접 수집하기 어려우므로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개인 기관 단체와의 교류 협력을 통해 자원을 공유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광역 문화자원의 수집 기록에 필요한 학제간 연구를 위해 다양한 분야의 관련 전문가를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 실제 유물 수집의 한계를 고려하여 디지털 형태의 자료를 위주로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이를 누구나 원격으로 향유 활용할 수 있도록 웹을 통해 제공하여야 한다. 사용자가 자원들의 유사와 차이, 상호간의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온 오프라인에서 비교 전시하는 방법을 마련하여야 한다.

문화.생태지역에 대한 관광행태와 만족도 분석: 광릉지역을 사례로 (Analysis on the Tourist's Behaviors and Satisfaction of the Gwangneung Area)

  • 김선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36-350
    • /
    • 2005
  • 본 연구는 광릉지역의 관광행태와 이용 민족도 등을 분석하여 관광수요자의 기초적 속성과 행동 성향을 구명하는데 1차적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문화 생태자원 및 환경에 대한 관광객의 의식과 개발수요를 진단함으로써 광릉지역의 지속가능한 보전과 합리적인 이용 및 관리를 위한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지역의 관광행태를 분석한 결과 광릉지역의 관광유형은 가족중심의 당일 소풍형 또는 경유형으로 나타나 지역 내에서의 소비규모와 체류시간이 짧고, 서울 및 수도권 주민의 재방문율이 높았다. 생태환경 및 자원에 대한 선호도는 사실상 접근이 불가능한 생태자원에 대해 높은 선호도를 보인 반면 문화자원은 광릉지역의 관광견인력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광릉지역의 보전 및 활용 가치에 대한 관광객의 인지도는 모두 높게 평가되었을 뿐 아니라 문화 생태자원 및 환경의 보전에 대한 만족도 역시 높게 평가되었다. 반면 문화 생태자원 및 환경의 이용과 접근 시설과 관리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어 적극적인 자원활용과 시설개선 및 확충 등이 요구되고 있다.

  • PDF

SUBPIXEL UNMIXING TECHNIQUE FOR DETECTION OF USEFUL MINERAL RESOURCES USING HYPERSPECTRAL IMAGERY

  • Hyun, Chang-Uk;Park, Hyeong-Do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66-67
    • /
    • 2008
  • Most mineral resources are located in subsurface but mineral exploration starts with a step of investigation in wide-area to find evidence of buried ores. Conventional technique for exploration on wide-area as a preliminary survey is an observation using naked eyes by geologist or chemical analysis using lots of samples obtained from target area. Hyperspectral remote sensing can overcome those subjective and time consuming survey and can produce mineral resources distribution map. Precise resource map requires information of mineral distribution in a subpixellevel because mineral is distributed as rock components or narrow veins. But most hyperspectral data is composed of pixels of several meters or more than ten meters scale. We reviewed subpixel unmixing algorithms which have been used for geological field and tested detection ability with Hyperion imagery, geological map and seven spectral curves of mineral and rock specimens which were obtained from study areas.

  • PDF

농촌지역 관광지개발에 있어 관광권 설정에 관한 연구 -전남 회남로를 사례로- (A Study on Development of Touristic Subregions in Rural Area - Case Study in the Haenahm County, Chonnam -)

  • 홍성권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17
    • /
    • 199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Haenahm county as a part of project, the'89 Comprehensive Planning of Rural Area. In order to increase household income of rural area and to meet increasing tourism demand in urban area, several tourism development directions and strategies were suggested in terms of resources, services, and transportat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Core tourism market has to be maintained by inforcement of unique image of the Haenahm county, such as the southern extremeity of Korean peninsula and tourism resources rich land. 2) New tourism products need to be introduced to attract fringe market of this area by use of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in the Haenahm county, such as terrain, climate, provincial park, music, dance and artifacts. 3) image of this county as a touristic resort would be escalated by development of high quality andclusterized accommodation in urbanized area of the Haenahm county 4) Development of private lodging, production of local brand by native food, beverage and artifacts, introduction of festival by folk song and folk dance would be helpful to stabilize a seasonal fluctuating demand level of ourismandlocalresidentsincome. 5) Diversification of tourism product needs to be provided for tourists in order to increase chances for enjoyment in the destination and to be involved in socially comfortable atmosphere. 6) Package tour by diversification of touristic subregions in this county and linkage system with touristic regions of other counties would helpful to lead visitors to stay long, resulting in increased expendi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