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llecting and Record of Wide Area Cultural Resources : the Case of Asian Cotton Cultural Resources

광역 문화자원의 수집과 기록 : 아시아 목화문화자원을 중심으로

  • 노시훈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In Asia, when cotton and cotton fabrics cultivated and produced in India of Southern Asia had spread to the whole Asia area by land and by sea, the Cotton Road and cotton fabric cultural area could be formed. In Korea, the traditional cotton (Gossypium arboreum) brought by Moon Ik-Jeom in 1363 was cultivated and then the Upland cotton (Gossypium hirsutum) brought via Japan could be produced from 1904. Especially, Gwangju/Jeonnam was the most active place in producing traditional cotton, and eventually became the center of cotton cultivation and fabric production after bringing in Upland cotton. In order to collect and record the cotton cultural resources in the broad area, the Cultural Resources Set, classified its component parts should be made first and then the collecting objects should be investigated. The collecting areas are selected based on the spreading paths and the regional significance of cotton. Since its difficulty of collecting the relevant resources from all of the places in Asia, it should be planned to share the resources through exchanges and cooperation among private, institution and organization. The relevant experts from the various fields should participate in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which are necessary for collecting and recording of wide area cultural resources. Considering the collecting limitation of genuine relics, the digital archives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n offered through a web site that everyone can use them freely by remote. It also needs to plan to display on and off-line for users to perceive the similarity, difference and interconnections of the resources with ease.

아시아에서는 기원전부터 남아시아의 인도에서 재배 생산한 목화와 면직물이 아시아 전 권역으로 육로와 해로를 통해 전파됨으로써 목화길과 면문화권이 형성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1363년 문익점이 중국에서 들여온 재래면을 재배하다가 1904년부터 일본을 통해 들어온 육지면을 재배하였다. 특히 광주 전남은 조선시대까지 재래면 생산이 가장 활발한 지역이었고, 육지면 도입 후에는 목화 재배와 면직물 생산의 중심지였다. 이처럼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목화문화자원을 수집 기록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 구성 요소들을 분류한 문화자원세트를 만들고 그에 따라 수집할 객체를 조사한다. 수집 대상 지역은 전파 경로와 목화에 관해 지역이 갖는 의미를 토대로 선정한다. 아시아 전체에서 관련 자원을 직접 수집하기 어려우므로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개인 기관 단체와의 교류 협력을 통해 자원을 공유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광역 문화자원의 수집 기록에 필요한 학제간 연구를 위해 다양한 분야의 관련 전문가를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 실제 유물 수집의 한계를 고려하여 디지털 형태의 자료를 위주로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이를 누구나 원격으로 향유 활용할 수 있도록 웹을 통해 제공하여야 한다. 사용자가 자원들의 유사와 차이, 상호간의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온 오프라인에서 비교 전시하는 방법을 마련하여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