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the Tourist's Behaviors and Satisfaction of the Gwangneung Area

문화.생태지역에 대한 관광행태와 만족도 분석: 광릉지역을 사례로

  • Kim, Sun-Hee (Institute of Korean Culture, Korea University)
  • 김선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Published : 2005.06.30

Abstract

The prim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ourist's behaviors and satisfaction of the Gwangneung area and get a reading on the tourist's socio-economic traits and the propensity of activities. In addition, it highlights surveys of the tourist's consciousness of cultural,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tourism resources available in the Gwangneung area and the possibilit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ways to make the most of these resources. This study found that even though Gwangneung is mostly a place for one day family outings. the tourist's demand for actually unreachable ecological resources is high while existing cultural tourism resources have less than the expected drawing power. It was also found that tourists recognize the need for preservation of the tourism resources of Gwangneung and its potential for further sustainable development. In particular, most tourists to Gwangneung are relatively satisfied with the status of preservation of its cultural and ecological resources and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accessibility, tourism facilities, and management are estimated at less than desired. Gwangneung would benefit by making efforts for the positive use of its tourism resources and improvement of convenience facilities, management and operation.

본 연구는 광릉지역의 관광행태와 이용 민족도 등을 분석하여 관광수요자의 기초적 속성과 행동 성향을 구명하는데 1차적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문화 생태자원 및 환경에 대한 관광객의 의식과 개발수요를 진단함으로써 광릉지역의 지속가능한 보전과 합리적인 이용 및 관리를 위한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지역의 관광행태를 분석한 결과 광릉지역의 관광유형은 가족중심의 당일 소풍형 또는 경유형으로 나타나 지역 내에서의 소비규모와 체류시간이 짧고, 서울 및 수도권 주민의 재방문율이 높았다. 생태환경 및 자원에 대한 선호도는 사실상 접근이 불가능한 생태자원에 대해 높은 선호도를 보인 반면 문화자원은 광릉지역의 관광견인력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광릉지역의 보전 및 활용 가치에 대한 관광객의 인지도는 모두 높게 평가되었을 뿐 아니라 문화 생태자원 및 환경의 보전에 대한 만족도 역시 높게 평가되었다. 반면 문화 생태자원 및 환경의 이용과 접근 시설과 관리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어 적극적인 자원활용과 시설개선 및 확충 등이 요구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