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Available Water Resources of Eastern Coastal Area, Korea

동해안지역 가용수자원의 시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박상덕 (강릉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심재현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방재연구실)
  • Published : 1997.04.01

Abstract

This i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available water resources (AWR) of the eastern coastal area in Korea. A rating curve was suggested at Yangyang water level station of the Yangyangnamdai river. Annual mean precipitation of this area is 1365.8mm. Annual mean precipitation in central and northern area of eastern coastal area is more than that of southern area because of orographic precipitation occurred by the north-easterly air flow from the East sea. By the correlation analysis of monthly rainfall depths between rainfall gauging stations it is presented that the rainfall gauging stations located in coastal region have the regional representativity, but the rainfall gauging stations located in the westward of mountains have a strong locality. AWR of eastern coastal area by the application of runoff coefficient 0.665 is 1134.5X106m3 and 28.6 percentage for total water resources. In each watershed AWR is 193.7X106m3 in the Yangyangnamdai river, 109X106m3 in the Kangnungnamdai river, and 146.0X106m3 in the Samcheokosip river. The seasonal changes of 30/3% in summer and 19.1% in water, and those of the AWR to total water resources are 86.3% in winter, 60.1% in spring, 50.1% in autumn, and 25.7% in summer.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to establish the water resources planning of eastern coastal area.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동해안 지역에서의 가용수자원 특성을 조사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양양 남대천 유역의 양양수위표 지점에서 수위-유량관계곡선을 제시하였다. 동해안 지역의 연평균 강수량은 1365.8mm로서 동해안 중부와 북부 지역이 남부지역보다 많다. 이는 중부와 북부지역의 강수가 동해로부터 유입되는 북동기류에 의한 지형성 강우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월강수량 계열의 강우관측 지점간 상관분석 결과 해안지역 강우 관측소는 지역적 대표성이 있으나 태백산맥 서쪽 지역은 국지성이 강하다. 양양남대천 유역에서 조사된 유출계수 0.665에 의하면 동해안지역의 가용수자원은 1134.5X106m3으로 총수자원량의 약 28.6%를 나타내고 있다. 주요 유역별 가용수자원량은 양양남대천 193.7X106m3, 강릉남대천 109X106m3, 삼척오십천 146.9X106m3이다. 가용수자원의 계절적 변화는 강수량의 계절적 변화에 비하여 작으며, 가용수자원량은 여름에 30.3%로 가장 많고 겨울에는 19.1%로 가장 적다. 총유출량에서 가용수자원이 차지하는 비율은 겨울 86.3%, 봄 60.1%, 가을 50.1%, 여름 25.7%의 순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동해안지역의 용수수급계획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동해안지역의 용수수급계획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추·동계 동풍계에 의한 영동해안지방 강우·강설현상-(1975-1994) 강릉지방 기상청
  2. 강릉남대천 하천정비기본계획 강원도
  3. 삼척오십천 하천정비기본계획 강원도
  4. 양양남대천 하천정비기본계획 강원도
  5. 한국수문조사년보 건설교통부
  6. 한강수계(상류부)유량측정 조사 보고서 건설교통부 한강홍수통제소
  7. 지상일기도 기상청
  8. 한국수문학회지 v.24 no.3 연유출량 추정모형 개발 김양수;정상만;이용수;서병하
  9. 강원기상특성집 v.3 북동기류에 의한 영동 지방의 강수특성 조사 김창세;정태원;최치영
  10. 한국수문학회지 v.26 no.1 연유출량 추정모형의 개선방안 이상훈
  11. 한국강수자료 제1,2권 중앙기상대
  12. 한국수문학회지 v.16 no.1 유역별 가용수자원의 추정연구 최종근;윤세의;이원환
  13. 하천시설기준(조사편) 한국수문학회
  14. Hydrology - An introduction to hydrological science Bras,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