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ource Managements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6초

초저주파음의 유해성 및 풍력 발전 소음 관리에 대한 고찰 (Harmfulness of infrasound and wind turbine noise managements)

  • 김성찬;최민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3-83
    • /
    • 2021
  • 풍력 발전은 미래의 청정 에너지원으로 활용 가치가 높으나, 초저주파 소음을 발생한다. 초저주파 소음은 차폐가 어려우며, 생리적으로 다양한 부정적인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Wind Turbine Syndrome (WTS)을 유발하는 초저주파수 풍력 소음의 유해성을 개관하고, 풍력 발전기 소음의 측정 및 관리를 위한 기술적인 측면을 고찰하고자 한다.

비용${\cdot}$일정 통합관리를 이용한 자원소요량산출과 발주속성 연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ow to Associate the Attribute of Procurement and the Calculated Material Requirement by Integrating Schedule and Cost)

  • 송영웅;최윤기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498-503
    • /
    • 2002
  • 건설 프로젝트의 자원관리는 공사원가의 절감, 건축물의 공정 및 품질확보에 직접적으로 관계되어 이외의 공사관리 요소와 함께 매우 중요한 요소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자원소요계획은 공사초기에 수립되고 고려요소가 다양하여 전사적 차원의 자원소요계획을 수립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관리자간의 정보의 단절로 실적정보관리가 불가능하다. 건설공사의 유기적 관리를 위해서는 각 관리 부분의 체계적 구성이 필요하며, 각 관리간의 사업수행정보와 실적자료의 주기적인 갱신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건설프로젝트관리체계에 맞추어 핵심 관리 요소는 비용과 일정정보라 할 수 있으며, 자원소요계획은 비용${\cdot}$일정 통합관리의 실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원소요계획의 근거를 명확히 하고, 발주속성과의 연계성 분석을 통하여 발주시점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용${\cdot}$일정 통합관리의 실적데이터 정보와 자원소요계획의 연계방안을 통하여, 자재소요산출방법과 자재별 발주속성을 고려한 자원관리체계를 제시한다.

  • PDF

중견건설업체의 다중현장관리를 위한 자재소요계획모델 (Material Planning Model for Multi-Project Management in Medium-sized Construction Companies)

  • 정성림;한주연;김경래;신동우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598-601
    • /
    • 2003
  • 건축공사의 규모가 대형화, 복잡화, 다양화 되면서 여러 현장에서 공사수행에 따른 많은 정보가 발생하여 본사로 보고 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들 중에서 매개 현장 및 다중 현장을 동시에 관리하기 위해서는 필요정보만을 추출하여 경영진이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지원체계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중견건설업체의 경우 대기업과 비교할 때 본사 조직의 미비 및 관리업무 시스템이 취약하여 다중현장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이러한 현장관리에 있어서 자원관리는 프로젝트 관리자의 중요한 관리대상이다. 그러나 자원계획을 일정정보와의 연계가 없이 주로 담당자의 경험과 판단에 근거하여 수립하기 때문에 일정이 변경될 때마다 계획을 수작업으로 수정해야하는 실정이며, 이로 인한 불필요한 공기지연이나 재고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견건설업체가 다수 현장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도록 현장의 작업일보와 공정관리 소프트웨어의 연계를 통한 자재소요계획모델을 제시한다.

  • PDF

중견건설업체의 다중현장관리를 위한 자재조달계획 지원 모델 (Material Planning Model for Multi-Project Management in Medium-sized Construction Companies)

  • 정성림;한주연;김경래;신동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106-114
    • /
    • 2004
  • 건축공사의 규모가 대형화, 복잡화, 다양화 되면서 개별 현장에서 공사수행에 따른 많은 정보가 발생하여 본사로 보고 되고있다. 이러한 정보들 중에서 개별 현장 및 다중 현장을 동시에 관리하기 위해서는 필요정보만을 추출하여 경영진이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지원체계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중견건설업체의 경우 대형건설업체와 비교할 때 본사 조직의 미비 및 관리업무 시스템이 취약하여 다중현장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이러한 현장관리에 있어서 자원관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자재관리는 프로젝트 관리자의 중요한 관리대상이다. 그러나 자재조달계획을 일정정보와의 연계가 없이 주로 담당자의 경험과 판단에 근거하여 수립하기 때문에 일정이 변경될 때마다 계획을 수작업으로 수정해야하는 실정이며, 이로 인한 불필요한 공기지연이나 재고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견건설업체가 다수 현장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도록 현장의 작업 일보와 공정관리 소프트웨어의 연계를 가정한 자재조달계획 지원모델을 제시한다.

조선산업의 HSE 관리 정보전략계획 (Information Strategic Planning of HSE Management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 오현수;장성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171-178
    • /
    • 2012
  • Shipbuilding is basically labor-intensive industry. It creates a number of job opportunities, but it is classified as a high risk industry like the construction industry. Shipyards show similarities in many aspects compared with the construction sites. There are many stakeholders of the HSE managements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such as ship owner, primary contractor and multi-layered subcontractors. The ship owners who are almost foreigners are treating strictly about safety and healt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ment an appropriate HSE management systems and for the management systems it is desirable to information technology (IT) to accommodate these complex and complicated problems and situations. It was developed the ISP (Information Strategic Planning) as a HSE management system for the shipbuilding industry. It consisted of the environment analysis, the As-Is analysis and the To-Be design. In this study, the ISP is introduced and further it is suggested that it should be connected to system of HR(Human resource), PM(Plant maintenance) and KM(Knowledge Management) to make the HSE management system efficient.

인적자본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호텔기업을 중심으로-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Capitals and Innovative Behaviors -Focused on the Hotel Firms-)

  • 하용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440-449
    • /
    • 2010
  • 본 연구는 호텔기업의 인적자본이 조직몰입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몰입이 인적자본과 혁신 행동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밝혀내고자 서울지역에 소재한 특등호텔 종사원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인적자본이 조직몰입과 혁신행동에 영향력이 있고, 조직몰입이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력이 있음을 밝혀냈다. 또한 조직몰입이 인적자본과 혁신행동의 관계에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나타냄을 밝혀냈다. 이 결과는 호텔기업 인적자본의 중요성 및 종사원의 조직몰입이 경쟁환경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새로운 방향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공조설비 온라인 유지관리시스템 개발 및 효과분석 (A Development of the On-line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for the HVAC Systems and the Evaluation of Its Effects)

  • 이태원;김용기;우남섭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1권11호
    • /
    • pp.591-598
    • /
    • 2009
  • The service quality with the various building equipments tends to depend on the individual superintendent's capability and efforts generally and this often lead to poor maintenances and managements of them. N-BMS(Network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is a new type of building management method, which links principal equipments within many buildings into a communication network and carries out several significant missions such as fault detection, deterioration diagnosis and control the equipments and so on, as well as monitoring which is the main and unique purpose of the conventional BMS. How to construct the N-BMS was considered to keep performance of equipments high and thus to save energy and resource. LCC(Life Cycle Cost) based analysis was also performe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some maintenance and management works for the building HVAC systems.

한반도 주변 연안 해저를 통한 담지하수의 유출: 미래 수자원으로서의 중요성 (Submarine Discharge of Fresh Groundwater Through the Coastal Area of Korea Peninsula: Importance as a Future Water Resource)

  • 황동운;김규범;이재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5권4호
    • /
    • pp.192-202
    • /
    • 2010
  • 해저지하수 유출은 최근 전 지구적인 혹은 지역적인 규모에서 육상의 담수, 영양염류 및 다른 용존 화학원소들을 해양으로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특히, 해저를 통한 육상 담지하수의 해양으로의 유출은 해양환경학적 측면뿐만 아니라 미래 수자원 확보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해저를 통한 담지하수 유출은 전 세계 연안해역에서 일어나고 있으며, 그 양은 지역 또는 측정 방법에 따라 강물 유출량의 0.01-17% 범위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조사 및 계산된 한반도 주변 해저 담지하수의 유출량은 제주도, 영일만, 마산만, 여자만 지역에서 주변 강물 유출량의 약 50%, 57%, 89%, 420%로 다른 나라의 연안 해역에 비해 상당히 양이 많고 지역적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이용한 담지하수 유출량 계산 방법은 연안해역에서의 기초적인 물수지 방법을 이용한 것으로, 보다 정확한 담지하수 유출량 평가를 위해서는 앞으로 연안해역에서 물수지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가지 요인들(강수량, 조석, 증발, 물의 체류시간 등)의 시공간적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또한, 여전히 해저 담지하수 유출량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방법적인 문제가 많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수리역학적인 방법 및 seepage meter를 이용한 실제측정 등을 통한 상호비교가 요구된다.

u-GIS 환경에서 UML 2.0을 활용한 지하수 관리 데이터 모델링 (Water-well Management Data Modeling using UML 2.0 based in u-GIS Environment)

  • 정세훈;김경종;심춘보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523-531
    • /
    • 2011
  • 지하수 자원을 사용하기 위해 설치된 많은 관정들이 사용 후 폐공처리 소홀로 인하여 지하수 오염원이 된다. 또한 폐공된 관정에서는 중금속 및 유기화합물 등의 유해물질이 지하수로 유입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지하수 수질 악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와 GIS 기술을 접목한 u-GIS 환경 하에서 관정의 위치정보와 지하수 센싱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할 수 있는 지하수 관리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아울러 UML 2.0을 활용하여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사항, 시스템 내부 모듈들 간의 상호작용 및 데이터 흐름을 분석하여 시스템을 모델링한다. GIS 맵과 웹 환경,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등의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원격지에 있는 각 관정의 지하수 상태 및 관정 관련 속성 정보를 모니터링을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적층식 평판 키트형 카누 건조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1] - 카누 선체의 설계 및 적층식 평판 키트 분할 기법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hip Building for the Wooden Canoe by Piling-up Laminated Wooden Plates Kit [1] - A Design for canoe hull and laminating wooden plates for piling-up kit -)

  • 김희중;김성현;정재현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3권5호
    • /
    • pp.762-769
    • /
    • 2009
  • A canoe is one of the most popular boats in leisure on the water. Generally canoe has been built by good wooden strips. And canoe built by FRP is used for business recently. But by the users' demands for good quality and the restriction to environmental pollution the wooden canoes are required for personal and canoe building business. The modern wooden canoes were built by the strip construction method are used typically. However it is not suitable for the mass productivity requires effective resource operations and managements of men, materials, times, and price. On this paper the new construction method, called the piling-up laminated construction method, is studied to building a canoe using the piling-up with the laminated wooden plates gives more productivity than the others. First a canoe with various curved surfaces is designed from 3D design system. And the hull of canoe model is divided horizontally to generating the laminated plates that will be converting real wooden plates available from the market and will be routed by the manufacturing machine. After the simulating and analyzing of piling-up with the laminated plates, the canoe is building with less times, less men, less resources, and lower price than other method, avoid of the requirements of additional building tools. On the next paper the constructing of a real canoe using the manufactured wooden plates will be stud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