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erial Planning Model for Multi-Project Management in Medium-sized Construction Companies

중견건설업체의 다중현장관리를 위한 자재조달계획 지원 모델

  • Published : 2004.04.01

Abstract

As the scale of construction work is enlarged, complicated and diversified, much construction information from the large number of construction sites is generated and reported to the head office. To control much information generated in construction sites simultaneously, the necessity of supporting system which could extract necessary information is increased. However, comparing with those of large companies, medium-sized companies's organization of head office and management system are weak. So it's difficult to manage multi-projects. Among these site managements, resource management is an important management area. But, resource planning is based on experience and judgement and has not associated with schedule information. So when schedule is changed, the plan must be amended manually. This study investigates material-planning model for multi-project management which is connected with daily report system and scheduling software.

건축공사의 규모가 대형화, 복잡화, 다양화 되면서 개별 현장에서 공사수행에 따른 많은 정보가 발생하여 본사로 보고 되고있다. 이러한 정보들 중에서 개별 현장 및 다중 현장을 동시에 관리하기 위해서는 필요정보만을 추출하여 경영진이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지원체계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중견건설업체의 경우 대형건설업체와 비교할 때 본사 조직의 미비 및 관리업무 시스템이 취약하여 다중현장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이러한 현장관리에 있어서 자원관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자재관리는 프로젝트 관리자의 중요한 관리대상이다. 그러나 자재조달계획을 일정정보와의 연계가 없이 주로 담당자의 경험과 판단에 근거하여 수립하기 때문에 일정이 변경될 때마다 계획을 수작업으로 수정해야하는 실정이며, 이로 인한 불필요한 공기지연이나 재고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견건설업체가 다수 현장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도록 현장의 작업 일보와 공정관리 소프트웨어의 연계를 가정한 자재조달계획 지원모델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석훈, '건설경영실무', 기문당, pp261-309
  2. 김민형, '중소건설업의 경영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건설산업연구원, 1997
  3. 김문한 외 공저, '건설경영공학', 기문당, pp271-291,1999
  4. 박대홍 외 2인, '건설 현장 자원소요예측시스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7권 11호, 2001.11
  5. 송상훈 외 2 인, '정보분석을 통한 자재관리 프로세스 재설계',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권11호, 2002
  6. 송영웅 외 1인, '비용.일정 통합관리를 이용한 자원소요량 산출과 발주속성 연계에 관한 연구', 제3회 한국건설관리 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498, 2002
  7. 이동렬, '디지털 정보화를 통한 현장 자원 및 정보관리기술에 관한 연구', promat 가을, pp15-28, 2001
  8. 유혁상, 남웅찬, 'Microsoft Project 2000(성공 프로젝트를 위한 전략과 실정)', 베스트북, 2002
  9. 최광희 외 3인 , '중소건설업체의 다중현장관리를 위한 공사 관리업무의 효율화방안',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9권 4호, 2003.1
  10. Jake Sturn, 'Professional VB UML', 정보문화사, pp22-233, 1999
  11. James S. Pennypacker, Lowell D. Dye, 'Managing Multiple Projects', Marcel Dekker, Inc, 2002
  12. PMI, 'A Guide to the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1996
  13. Richard E. Westney, 'Computerized Management of Multiple Small Projects', Marcel Dekker, Inc,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