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ential service

검색결과 441건 처리시간 0.026초

Satellite-based Assessment of Ecosystem Services Considering Social Demand for Reduction of Fine Particulate Matter in Seoul

  • Lim, Chul-Hee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21-434
    • /
    • 2022
  • Fine particulate matter (PM2.5) has been the biggest environmental problem in Korea since the 2010s. The present study considers the value of urban forests and green infrastructure as an ecosystem service (ES) concept for PM2.5 reduction based on satellite and spatial data, with a focus on Seoul, Korea A method for the spatial ES assessment that considers social demand variables such as population and land price is suggested. First, an ES assessment based on natural environment information confirms that, while the vitality of vegetation is relatively low, the ES is high in the city center and residential areas, where the concentration of PM2.5 is high. Then, the ES assessment considering social demand (i.e., the ESS) confirms the existence of higher PM2.5 values in residential areas with high population density, and in main downtown areas. This is because the ESS of urban green infrastructure is high in areas with high land prices, high population density, and above-average PM2.5 concentrations. Further, when a future green infrastructure improvement scenario that considers the urban forest management plan is applied, the area of very high ESS is increased by 74% when the vegetation greenness of the green infrastructure in the residential area is increased by only 20%. This result suggests that green infrastructure and urban forests in the residential area should be continuously expanded and managed in order to maximize the PM2.5 reduction ES.

사회경제적 양극화와 도시 내 계층별 거주지 분리 (Socio-economic Polarization and Intra-urban Residential Segregation by Class)

  • 정수열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6
    • /
    • 2015
  • 세계화와 산업구조조정으로 사회경제적 양극화가 진행됨에 따라 계층 간 거주지 분리가 심화될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1990년대 말 경제위기로 사회경제적 양극화가 급진전했음을 주목하고 이가 도시 내 거주지 분리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시를 사례로 2000년대를 걸쳐 일어난 계층별 거주지 분리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계층은 교육수준으로 정의되었으며 자료는 동별로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서비스시스템(MDSS)을 통해 추출하였다. 거주지 분리의 주요 지리적 양태별로 개별 도시에서 시계열적 변화를 가늠하는 전역적 측도와 도시 내 공간적 변이를 보여주는 국지적 측도를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집중-균등을 측정하기 위해 전역적 지표로 상이지수를 그리고 국지적 지표로 입지계수를 활용하였으며 군집-노출을 측정하기 위해 전역적 지표로는 상호작용지수와 노출지수를 국지적 지표로는 로컬 Moran's I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사례지역에서 계층별 거주지 분화가 심화되었으며 도시내에서 뚜렷한 공간적 패턴을 보이고 있으며 계층 간 거주 패턴은 상호 연관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국내 수위 도시에서 경제 위기 이후 거주지 분리의 최근 변화상을 보다 체계적인 방법으로 파악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PDF

장애인시설종사자의 인권수행과정의 어려움에 대한 탐색적 연구 -부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Exploration on Difficulty of Human Rights Process Conducted in Caretaker Workers of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Focused on the Caretaker Workers of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in Busan-)

  • 김선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771-781
    • /
    • 2016
  •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가 인권수행과정에서 겪게 되는 추상적인 어려움을 다차원척도법을 활용하여 명확화하고 개념화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부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서술문 리스트를 수집하고, 인덱스카드(index card)를 분류토록 하였다. 분석결과 6개의 군집명이 도출되었고, 종사자들은 시설 내에서는 거주인과의 의사소통 갈등, 서비스 제공자의 의도가 고려되지 않고 종사자의 겉으로 드러나는 단순 행위나 거주인의 주관적인 인권상황인식에 근거한 거주인과 종사자와의 갈등이 종사자의 인권 수행의 어려움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시설 외부적으로는 인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장애인거주시설에 요구하는 인권관리 실무와 현장실무 간의 괴리로 인한 어려움, 외부 인권조사나 점검에 대한 경직성이나 종사자를 배려하지 않는 측면에서의 인권조사와 점검진행이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인권수행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한 몇 가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장애인 거주시설을 방문하여 시행한 무료 이동식 치과 진료에 대한 2014년 통계 (시설거주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이동치과진료에 대한 통계) (A SURVEY OF THE TREATMENT IN FREE MOBILE DENTAL CLINIC AT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ES (SURVEY OF FREE MOBILE DENTAL CLINIC: AT DISABLED RESIDENTIAL FACILITES))

  • 임현수;이효설;최성철;이은영;김광철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8-61
    • /
    • 2015
  •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have more difficulty in caring oral hygiene than those living at h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cent 2014 dental treatment records of free mobile dental clinic service for disabled people in Korea. 203 disabled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participated in mobile dental clinic. Patients classified according to types of disability. Mental retardation were 75.3%, mental disorder were 6.0%, crippled disorder were 7.4%, brain disorder were 6.5%, visual disorder were1.4%, auditory and speech disorder were 2.3% and autism disorder were 0.9%. Performed treatments were 99 scaling and curettage, 88 fluoride varnish and TBI, 4 extraction, 1 endodontic treatment, 16 caries control (resin filling, GI filling), 1 denture repair and 8 refuse the treatment. Free mobile dental clinic can not provide complex dental treatment. So, the organization should systemize advanced dental treatment and regular preventive programs. Furthermore, we need to have a more concerns about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and constantly participate on a dental voluntary work.

복지권 관점에서 본 한국 장애인 거주시설의 개선방안 -자립과 돌봄 사이- (A Study on the Residential Institution for the Disabled in Korea based on Welfare Rights - between Self-Reliance and Caring -)

  • 유동철;김경미;김동기;신유리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2호
    • /
    • pp.409-436
    • /
    • 2013
  • 본 연구는 장애인 거주시설의 성격을 규명하고 거주시설을 이용하는 장애인의 사회접 배제를 방지하기 위해 복지권과 돌봄의 윤리 관점에서 거주시설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 장애인 거주시설의 주요한 특성으로는 집단성, 격리성, 권력불평등성, 비선택성을 지적하였으며, 이를 위해서는 돌봄의 윤리와 복지권의 관점에서 보충성의 원칙, 정상화의 원칙, 신뢰의 원칙, 개별성의 원칙에 따라 거주시설이 운영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정부의 과제로는 서비스신청권을 통한 일괄 조사, 시설의 소규모화와 지역사회 배치, 사례관리(개별지원)의 체계화, 서비스 제공과정의 구조화 등을 제시하였고, 시설운영자의 과제로서는 시설사회화의 노력 강화, 이용자 참여의 활성화를 제시하였다.

유전자 기반 영양 관리 및 운동 관리 서비스 설계 (A Design of Gene-based Nutritional and Exercise Management Service)

  • 이혜인;박주영;김영화;김희철;허경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18-520
    • /
    • 2019
  • 최근 기대수명이 늘어나면서 건강한 삶이 중요하게 되었다.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다양한 헬스케어 디바이스와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어, 보다 쉽고 편리한 건강관리가 가능해졌다. 특히,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NP, 단일염기 다형성)을 통해 개인의 유전적 특성 분석 영역이 확장되었으며, 이를 활용하여 개인적인 차이를 반영하는 치료 및 예방적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 개인의 유전자 정보 즉, SNP 상의 변이를 분석하여 비만, 당뇨, 고혈압과 같은 특정 만성질환 주의군을 구분하고 이들에게 필요한 영양 정보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GPS 기반으로 거주 지역 중심의 산책 코스, 생활 체육 공간 정보를 제공하여 운동을 독려할 수 있는 지역 거점 운동 관리 서비스를 설계하고자 한다.

  • PDF

노인요양시설 서비스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rvice Area Planning of Elderly Care Facilities)

  • 최종인;이낙운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11-20
    • /
    • 2008
  • The demand of the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ill be increased, because of the social changes which desire well organized medical treatment service. However, they have been illogically administrating such as preparing service at living space because of lacking places which provide living service. So the side of administration, it is necessary to have a security and improvement in that kind of needed place. The studies of elderly care facilities have been placing too much emphasis on the living space of the residential facilities and their welfare facilities compare with the service providing place which is ignored just as a part of the living space. This study focus on a situation of elderly care facilities and analyze a service space using in facilities, so it can be applied to service place plan for the future.

  • PDF

장애학생이 받는 재택순회교육과 지역사회복지서비스가 사회적응행동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A Qualitative Study on the Effect of Residential and Itinerant Education on the Social Adaptation Behavior and Self-efficiency of Disabled students)

  • 신준옥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21-31
    • /
    • 2019
  • 이 연구는 장애학생이 받는 재택순회교육과 지역사회복지서비스가 사회적응행동과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효과성 연구를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8년 3월 6일부터 9월 5일까지 6개월 동안 7명의 장애학생으로 구성하여 사전조사와 개입까지 참여하였으나 건강상의 이유로 2명의 장애학생이 끝까지 참여하지 못하여 사후검사에서는 5명의 장애학생이 참여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택순회교육을 받으며 지역사회서비스를 받은 장애학생들은 사회적응행동 영역에서 사회인지, 대인관계, 사회적응, 직업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지역사회복지서비스에 참여함으로서 자아효능감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자신의 과제능력에 대한 자신감 및 신뢰감이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 참여한 재택순회교육 교사, 지역사회복지서비스를 진행했던 연구자, 장애인복지관 종사자, 자원봉사자, 장애학생의 가족 등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재택순회교육과 지역사회복지서비스를 연계하므로 장애학생의 사회통합을 위하여 사회적응행동 프로그램이 다양화 되어야 함을 기초자료로 제시하였다.

대중교통시설과 근린시설의 접근도에 따른 교통이용행태 및 교통비용 (Travel Demand and Transportation Cost of Household According to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 and to Service Facilities)

  • 김성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5-74
    • /
    • 2006
  • 승용차이용이 많이 유발될 수밖에 없는 지역으로의 주거이동은 쉽게 간과되는 가구의 교통비 지출에도 원인이 있다. 가구의 자동차수요를 적게 일으키고 교통비를 절감시키는 주거입지와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주거지역의 공급시설수준에 따른 가구의 교통수용행태를 분석하고 이러한 자료를 기반으로 실제에 가까운 가구의 교통비용을 산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중교통시설을 비롯한 근린시설들에 대한 접근도가 가구의 교통이용행태와 더불어 교통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지역은 광역 함부르크 시이고 1,640가구들을 통행행태에 대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개인의 대중교통이용과 교통거리는 대중교통 공급시설만으로는 큰 영향을 받지 못하고 근린시설공급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이 분석결과에서 나타났다. 또한 대중교통시설 및 근린시설이 부족한 지역일수록 여기에 있는 가구들의 승용차 보유수와 교통거리가 증가되었으며 이에 따라 결국 가구들의 교통비용이 늘어났다. 가구그룹들에서 교통비의 최고치와 최저치 사이에 가구당 월 약 200유로 차이가 났다. 가구가 쉽게 감지하기 어려운 주거입지별 평균 교통비용이 가시화되어 가구들에게 홍보된다면 가구의 주거이동행태를 교통수요가 적은 지역으로 유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기혼취업남녀의 직장보육시설에 대한 요구 (Needs for the employer-supported day care service of the married man and women workers)

  • 곽인숙;홍성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71-183
    • /
    • 200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needs for the employer-supported day care service and to analyze the factors related to the needs for the day care service of the married employees. KLFI(1995)'s National data were used and three Logistic models and one Catmod model were employed to analyse the effect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needs for the day care serv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alf of employed workers needed the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service. Second, they preferred the day care center near their residential area than in their work site. Third, according to their age, type of occupation, and their difficulties for the childcare and household work, employed men and women needs on site day care differently. Finally, their needs for the expenditure of duty care service differed by their age, sex, and occupation, and their levels of difficulties for the childcare and household work.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uty care service for the employed man and woman are supported diversely according to their needs and preferen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