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ential Value

검색결과 431건 처리시간 0.034초

광교신도시의 지리적·풍수적 특성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주거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Geographical and Feng Shui Characteristics of Gwanggyo New Town on Residential Satisfaction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sidence Value)

  • 정태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453-464
    • /
    • 2021
  • 본 연구는 광교신도시의 지리적.풍수적 특성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주거가치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하는지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자료로 이론적, 제도적, 실무적 함의를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광교신도시 거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주거만족도에 영향요인을 조사를 한 한 결과, 지리적·풍수적 특성은 주거가치와 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였으며 주거가치도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전문적 풍수적 특성요인보다는 일반적 지리적 특성요인이 주거가치나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 일반 거주민에 익숙하고 더 유의한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주거만족에 영향요인으로 풍수적 특성요인과 지리적 특성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다는 데 연구 차별성이 있다. 또한 이런 분석 결과를 기초 자료로 신도시 개발 및 주거만족도 제고를 위한 정책설계 시 제도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데 연구 의의가 있다.

The Economic Value of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in Seoul

  • Yoo, Seung-Hoon;Lee, Seung-Ryul
    • 에너지공학
    • /
    • 제21권1호
    • /
    • pp.81-85
    • /
    • 2012
  • Electricity is the basic building block of economic development, and constitutes one of the vital infra-structural inputs in socio-economic development. The demand for electricity has been increasing due to extensive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a rise in the standard of living, as is the case with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This paper attempts to estimate the consumer surplus and the economic value of the residential consumption of electricity in Seoul to assist in decision-making in electricity management. The estimated consumer surplus represents the value of the area under the demand curve, above the actual price that is paid for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The estimated annual consumer surplus and economic value for the year 2005 amount to 2,144.7 and 3,727.4 billion won, respectively. The estimates per kWh were 184.9 and 316.0 won, respectively, which imply that the consumer surplus and the economic value of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significantly outweigh the average price of electricity in 2005 of 91.1 won per kWh.

소비자의 주거만족도와 투자가치가 매입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Consumers'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Investment Value on the Purchase Intention)

  • 황인성;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6호
    • /
    • pp.143-153
    • /
    • 2015
  • 최근 주택 시장에서 소비자의 투자가치가 미치는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으나 투자가치와 구매 의사결정에 사이의 관련성을 규명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거가치, 주거만족도, 투자가치, 그리고 매입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주거가치의 요인이 주거 만족도와 투자가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매입의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585명 거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1.0, AMOS 18.0을 사용하여 기초통계, 신뢰도, 구조 방정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가치의 요인분석 결과 주거품질, 경제성, 브랜드, 접근성의 4개의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주거가치 요인 중 주거품질과 브랜드는 주거만족도와 투자가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택시장에서 구매자의 긍정적인 투자가치와 주거만족도는 매입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주택 구매자의 긍정적 투자가치와 주거만족도는 주택시장에서 매입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결국 주택 수요자의 투자가치의 긍정적 전망이 주택 시장을 더욱 활성화 시킬 것임을 시사한다.

  • PDF

부산 지역 도로변과 주거지역의 NO와 NO2 농도 특성 (Characteristics of NO and NO2 at Roadside and Urban Residential Locations in Busan)

  • 전병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587-595
    • /
    • 2018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NO and $NO_2$ concentration at roadside (Choryangdong) and residential (Sujeongdong) locations in Busan. The NO concentration at roadside and residential were 34.7 and 8.0 ppb, respectively, and $NO_2$ at roadside and residential were 31.6 and $18.0ppb\;{\mu}g/m^3$, respectively. The NO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winter at roadside at 37.1 ppb, followed by 35.0 ppb and 34.0 ppb in summer and fall, respectively. $NO_2$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spring at roadside at 39.6 ppb, followed by 30.4 ppb and 28.3 ppb in fall and winter, respectively. Number of exceedances per year of 1 hr limit value (0.10 ppm) for $NO_2$ at roadside and residential were 3,585 and 3 hours, respectively. Number of exceedances per year of 24 hr limit value (0.06 ppm) for $NO_2$ at roadside and residential were 32 and 1 days, respectively. Number of exceedances per year of 1 hr limit value (0.1 ppm) for $O_3$ at roadside and residential were 1 and 14 days,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oadside and residential could provide insight into establishing a strategy to control urban air quality.

주택건설업체의 CRM에 의한 주거만족도가 브랜드가치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Brand Value Through Residential Satisfaction for CRM of Home Builders)

  • 정석황;장석주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425-450
    • /
    • 2016
  • Purpose: This study can provide a strategic advantage for the marketing information of CRM of apartment provider microscopically. It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o policy for public housing supply in the macro. Methods: This study is contained theoretical research on CRM & Residential Satisfaction & the brand of Apartments with the search for prior literature. Establish a research model to derive a hypothesis. It performs measurements aimed at an apartment tenant. After the test the hypothesis proposes a conclusion. Results: CRM activity of the housing construction companies is confirmed that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brand value. Conclusion: Housing construction companies through improved residential satisfaction have on the growth strategy that takes the brand value in regardless of environmental factor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CRM activities.

기대가치와 인지가치 분석을 통한 주택유형별 주거환경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Directions of Different Housing Types through an Analyses on Expected Value and Perceived Value)

  • 진현수;김경훈;김재준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82-390
    • /
    • 2013
  • 최근 주택 보급률 상승과 국민 의식 및 경제수준이 향상되면서 주거환경에 대한 요구사항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주택유형별 주거환경에 대한 요구사항을 도출하여 거주자들이 원하는 주거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수행 방법은 분산분석을 통해 주택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차이를 검정하고, t검정을 통해 각각의 주택유형에 대한 기대가치와 인지가치의 차이를 검정하였다. 그리고 실행격자를 작성하여 주거환경 개선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주택유형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주거환경 변수가 도출되었으며, 주택유형별로 다르게 요구되는 주거환경 변수도 도출되었다.

비주거 한옥의 제도적 지원 필요성을 결정하는 가치요인 분석 (An Analysis of Decision Factor about the Necessary for Governmental Support of non-Residential Han-ok)

  • 남상덕;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4876-4883
    • /
    • 2013
  • 본 연구는 한옥보전 구역 내에서 비주거용 한옥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비주거한옥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한 근거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비주거한옥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비주거한옥의 가치를 평가하였다. 분석에는 로지스틱분석을 활용하였으며, 비주거한옥에 대한 제도적 지원 필요성에 동의하는 경우 어떠한 가치요인을 중요하게 판단하였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주거환경이 열악한 한옥의 활용, 한옥 외관상 가치, 지역의 생활복지 서비스 제공, 관광객 수용, 상업공간 제공, 역사성 부족, 한옥에 대한 개방성 강화 등의 7개의 요인이 비주거한옥에 대한 제도적 지원 필요성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형공원 조성에 의한 주변 주거지의 변화 분석 - 서울시 재생 가로공원과 복원하천 수변공원 사례 연구 - (The Investigation of Residential Area Changes by the Provision of Urban Linear Parks - Case Studies of the Regenerated Street Parks and the Uncovered Stream Parks in Seoul -)

  • 이주은;양우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7권6호
    • /
    • pp.45-55
    • /
    • 2016
  •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nges of residential area around the linear park.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value of linear park at the view of residents and discove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inear park and the residential area around it. To investigate this goal, the researcher chose case sites, the regenerated linear park and the uncovered stream park. This study analyzed the site around the linear parks with four points of view, the organization of urban Fabric, architecture, the economic value of the site and the behavior of residents. This research adopted several research methodologies like aerial photograph analysis, road-view analysis, paper research, and field study, observation, and expert interview to approach a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With that variation characteristic, the researcher determines the influence of linear park through the residential area around them. As the result, linear park gives positive effects of running sustainable residential area around them and acting as the pivot for the residential area. Also for the future, designers must consider this interactive relation between the linear park and residential area with the wide point of view.

서울의 학력집단별 거주지 분리와 아파트 가격의 차별화 (The Residential Segregation and the Differentiation of Housing Value in Seoul)

  • 최은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592-60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IMF 경제위기 이후 서울의 아파트 가격이 지역에 따라 양극화 되는 현상을 거주지 분리 심화라는 틀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의 지역별 아파트 가격 차별화와 고학력집단의 거주지 분리 정도를 밝히고, 아파트 가격과 고학력집단 거주 비율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 결과 거주지 분리와 아파트 가격의 차별화라는 공간적 과정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행정동을 단위로 45$\sim$59세 인구의 고학력집단 비율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한 결과 1990년에 이미 현재와 같은 학력집단별 거주지 분리가 관찰되고 있어, 거주지 분리가 지속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행정동별 고학력집단 거주 비운은 아파트 가격의 행정동별 변이와 밀접한 관련을 보이고 있다. 1997$\sim$2003년 사이 아파트 가격의 상승은 고학력집단이 공간적으로 집중되어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하였다. 그외 지역의 아파트 가격은 정체되어 있거나 소폭의 상승을 보여 아파트 가격의 지역차가 매우 강화되었다. 아파트 가격의 지역별 차별화는 거주집단에 따라 지역이 달라지는 거주지 분리 과정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 PDF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주거공간으로의 확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ansion of Fully Autonomous Vehicles into Residential Space)

  • 이현욱;반영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71-79
    • /
    • 2020
  • 최근 주거가치의 변동으로 인해, 주거공간 내에서의 다양한 공간에 대한 사용자 니즈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이동과 변형 등이 어려운 주거공간 특성상 최초 구성된 주거 형태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하고 재구성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이동이 가능한 공간 개념의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를 활용하여 변화하는 주거가치에 따른 사용자 니즈를 충족시킬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기존 주거공간을 유형화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사용자 연구를 통하여 주거를 위한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공간 유형을 도출하였다. 그 후 설문조사법과 통계적 분석을 통해 주거공간에 대한 사용자 니즈 분석과 도출된 공간 유형의 유용성 분석 및 유형 구체화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주거를 위한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사용자의 인식을 바탕으로 주거목적의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공간을 유형화하고 디자인 방향성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