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ent Preference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3초

사회취약 독거노인 주택의 맞춤형 개조 현장상황 기술 연구 (A Descriptive Research on Field Situation of Customized Modification for Vulnerable Single Elderly Home)

  • 이연숙;김윤수;성초희;신유진;조원섭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8권3호
    • /
    • pp.55-64
    • /
    • 2017
  • Elderly population has increased rapidly and adjusting the environment is in demand to support their health. To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of elderly, an appropriate plan for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is needed upon the personal contex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sequence and to build an insight on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for vulnerable single elderly. It is a case study based on single target that includes 6 months of execution period deeply seeking the appropriate plan for implementation. The target is a male elderly aged 74 living in a single story detached house. The various research methods are applied in this study including exploratory, participatory, action and trade-off preference researches. The result shows that plan for home modification is complex outcome of interlocking uniqueness between residence environment and resident situation. If customized modification is targeted for residentially vulnerable social group, more sensitive approach aiming for the highest result is required due to financial constraint. To conclud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overall circumstances of a dwelling, a resident and various stakeholder is essential throughout the process. Since the aging-in-place of elderly cannot be achieved without self-sustaining living environment,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should be a tool to meet housing suitability.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the experts and future workforce with networks of local residents to share opinions and appropriate plans.

공간 가변형 공동주택의 복합구조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mposition structural system for the apartment with space variability)

  • 구교준;이정철;이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53-357
    • /
    • 2007
  • 경제수준 및 주거수준 향상에 따른 생활양식의 변화로 공동주택 입주자의 가족 구성과 주거 선호도가 다변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라이프 싸이클 및 라이프 스타일 만족을 위한 리모델링과 조기 재건축이 늘어나고 있으며, 공동주택 주거 계획의 핵심요소로써 오픈 하우징의 개념인 "가변성"이 강조되고 있다. 주거공간에 공간 가변성을 채택한 공동주택들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구조 안정성, 경제성 및 거주자 사용성을 만족시키는 최적의 공간 가변형 복합구조시스템은 개발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 공간 가변형 공동주택의 복합구조시스템 개발과정 및 특성을 분석하여 시스템 평가요소를 도출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각 시스템을 비교${\cdot}$분석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모듈화된 시스템 개발을 위한 현행 가변형 구조시스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공동주택 건축물의 지하주차장 내구성 분석 및 사용자 인식 연구 - 분당 신도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urability Analysis of Underground parking lot and User Awareness on apartment -Focusing on the Bundang New Town-)

  • 서명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727-734
    • /
    • 2021
  • 제 1기 신도시 중에서 분당신도시를 중심으로 거주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거주자의 신도시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현장조사 대상지에서 육안검사와 일부 기기검사로 내구성을 평가하고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동주택의 내구연한과 사용성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하여야 한다. 특히 급격한 열화 진행 부분에서 나타나고 있는 많은 균열들을 조속히 보수하여야 하며 체계적인 계획을 입안하여 진행하여야 한다. 분당 신도시 거주자의 공동주택 인식조사에서는 약 93.4%가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43.4%는 거주 지역에 대하여 호감을 가지고 선호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건설폐기물 발생저감을 위한 공동주택 리모델링 항목의 선호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eference of Apartments Remodeling Items for Reducing Construction Waste)

  • 채경석;양윤선;김용성;정인수;이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16-123
    • /
    • 2010
  • 2007년 주택법 시행령이 개정되어 리모델링 수요가증가함에 따라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리모델링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발생에 대한 대책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리모델링 계획 시 건설폐기물의 발생을 저감하기 위한 일환으로 공동주택 거주자의 리모델링 항목에 대한 우선순위를 조사하여 리모델링 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의 저감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기존 연구문헌 고찰을 통해 리모델링 항목을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 6개의 상위항목과 21개의 하위항목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항목들의 신뢰성 검증을 위해 전문가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공동주택 거주자의 리모델링 항목의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해 거주자의 특성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공동주택의 경과년수, 거주지역, 거주자의 재정상태에 따른 리모델링 항목의 선호도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리모델링뿐만 아니라 공동주택 계획시 거주자의 선호도에 대해 고려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였으며, 추후에는 이를 바탕으로 리모델링 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의 저감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임대아파트 특성과 공유교통서비스 선호간의 관계 분석 (Analy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ence on Shared Transport Service and the features of Rental Apartments)

  • 신도겸;변완희;도명식;기호영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4-33
    • /
    • 2019
  • 공유교통과 대중교통을 통합하여 시민의 이동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MaaS는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LH 역시 임대아파트 입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공유교통 중심의 MaaS를 추진 중에 있다. 그러나 전국에 걸쳐 위치해 있는 임대아파트는 입주민 특성, 지역특성 등이 상이하다. 따라서 MaaS 도입에 따른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입주민 특성과 지역특성을 고려한 공유교통 공급 계획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LH 임대아파트에 대해 입주민 및 지역 특성에 따른 맞춤형 공유교통서비스를 찾고,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통해 임대아파트를 12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C&RT 방법을 활용하여 입주민의 공유교통서비스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카셰어링과 카풀, 공유주차 등 공유교통서비스는 대도시보다는 중소도시에 위치한 임대아파트에서 높은 선호 경향을 보였다. 특히 대중교통이 열악한 지역에서 카셰어링이나 카풀에 대한 선호가 높았고, 공공자전거의 경우에는 대도시와 중소도시 모두 높은 선호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향후 아파트 단지가 속한 지역 특성과 주민 특성에 따라 우선 적용이 가능한 공유교통서비스를 결정하는 방법론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공동주택단지 내 휘트니스 센터 시설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The Present Status Analysis of Interior Planning in a Fitness Center Inside an Apartment Complex)

  • 조영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87-94
    • /
    • 2005
  • Lately due to the sudden growth of the construction of an apartment complex in domestic market, many construction companies are eager to provide various public facilities to increase the apartment distribution rate. An introduction of a fitness center is popularized as a part of such development. There has been a continuing development in a private fitness based on analyzing the user's data. However a public fitness is quite different from the private in terms of a user's classification, preference rate, the pattern of use, and location which requires a different facility plan. Nevertheless, all these days a public fitness in an apartment house has been developed without a specific facility plan based on relevant materials. It is worried that such development would cause the facilities not to function as appropriate resident facilities and sink to idle on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the standard considered in facility planning in future and the base to guide an applying method. In the paper the present condition of fitness centers inside apartment houses has been compared to analyze the progress of the existing facilitie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organization and the structure divisi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s that public resident facilities is not the place to perform passive role for fixed activities but one to form a community through the human relationship based on the facility. Therefore a fitness center inside the apartment complex have to be designed to provide service and leisure space as one of main community facilities for residents. To obtain this purpose, when choosing facilities of an apartment complex, first of all the residents' standard of living, apartment size, residents' distinction rate of age and sex, the needs of the times should be fully considered Secondly, the size of each facility space have to be decided based on the practical data analysis in facility use such as space preference, average staying time. Also, future living culture requires the change of the function and spa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social values, so continuing research and data analysis are required to related to fitness center inside an apartment complex in order to present systematic approaching method and the paper will be expected to be a little step toward it.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한 경인항 이해관계자의 선호도 차이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Analysis of Difference in Preference of Stakeholders in Port Gyeongin Using Conjoint Analysis)

  • 박종민;양태현;박성훈;여기태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0-19
    • /
    • 2020
  • 경인항은 컨테이너 및 일반부두 시설을 갖추고 배후 관광자원 연계가 가능한 다기능 항만으로 개발되었으나, 소형항만이라는 한계와 주변 항만과 중복, 연계성 부족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지만 경인항 또는 인근에 물류거점이 필요한 입주기업은 특성상 목재류, 철재류, 공산품 등 특정 수출입 품목을 경인항을 통하여 처리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경인항 이해관계자의 효용분석을 통한 경인항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하여 경인항 이해관계자의 선호도를 분석하고, 각 이해관계자의 선호도 차이를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터미널 집단은 선석 접안능력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으며, 선사는 인센티브 규모를, 입주기업은 항만물류비를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했다. 경인항 관련 당사자들은 인식의 차이를 인지하고, 경인항 활성화를 위해 관계기관의 협조 및 운영사간의 상호협력 등 경인항 특성에 맞는 화주 발굴 및 제도적 정비를 갖출 필요가 있다.

노인요양시설의 이용특성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 Us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Nursing Institutions)

  • 추연철;이동숙;윤충열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57-65
    • /
    • 2010
  • The graying of population is not only a significant problem in developing countries, but also in a small country which is passing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has raised a number of nuclear family. Moreover, changes in the environment and development in science such as a medical development and improving standard of health and hygiene have raised an average life expectancy. Considering these factors, average age of population is going up continue. Developed countries such as Europe, US and Japan have already experienced the graying and some countries have entered aged society. Korea is expected to be reached post-aged society in 7 years which is faster than developed countries that started aging society earlier tha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analysis of resident's opinions and preference and using space of elders facilities and seeking a plan to construct the facilities through suggesting standard of use space. Firstly, this report will classify current situation of spacial organization on elder facilities focusing on major sectors and will compare in size. Moreover, standard of area distribution through an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each spacial organization. Secondly, The report will compare and analyze between space and main traffic line through classifying traffic lines between staffs and residents of elder facilities and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each traffic line. Lastly, this will study perception and preference on staffs at elders facilities and middle old aged people who are potential demander, and compare between these people.

도시 재생 디자인 선호 요소 분석 -봉산마을 도시재생 현황을 중심으로- (Analysis on Preferred Elements of Urban Regeneration Design -Focusing on the Case of Bongsan Village-)

  • 한현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319-325
    • /
    • 2021
  • 도시 재생 사업은 낙후된 상업지역이나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경제를 활성화하고 주거 지역의 생활의 개선을 통해서 도시의 공동체를 유지하는 활동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다양한 국내 및 해외의 도시재생의 성공 사례 및 부산영도 봉산마을 내 도시 재생 관련 설문 내용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에 따른 각 사례별 주요 키워드를 도출하여 이를 그룹화하고 상위 키워드를 작성하였다. 13개의 상위 키워드를 리커트의 5점 척도를 활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최종 선정된 10개의 키워드를 대상으로 AHP를 진행하였다. AHP 분석 결과 "공간 및 물리적 속성"에 대한 선호도는 "공공성", "지속 가능성", "정체성" 순으로, "컨텐츠 및 시스템 속성"의 선호도는 "주민 참여", "편의성", "지역성", "지자체 참여" 순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도시재생 키워드의 선호도 분석을 통해 향후 보다 더 활성화되는 다양한 도시재생 사업과 관련하여 도시재생 디자인을 수립하기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으로의 역할의 제시가 필요하다.

고령친화 홈네트워크 서비스개발을 위한 중장년층 소비자 선호에 관한 연구 (Preference of Consumers After Late 40's for Developing Future Home Network Services)

  • 김민수;이연숙
    • KIEAE Journal
    • /
    • 제7권2호
    • /
    • pp.47-55
    • /
    • 2007
  •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become closely connected with housing environment. Especially for the matured population, it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y need substantial support in their daily liv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needs of digital network services for future housing development. Previous researches were limited to digital technology of network systems and its usage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focuses on not only the technology but services. This study consists of literatures review and empirical survey. The subjects were the mid-age and pre-elderly between 45 to 65. The analysis of this study results outlined as follows: First, the pre-elderly appeared to have, in general, positive perceptions about digital services of the housing environment. The results of needs for each space's, showed strongly in basic safety and aiding system for memories. Second, there are differences in needs according to respondent's characteristics such as sex, income, job, house type, experience in digital system. Third,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what they think and what they really responded in both spaces and services. It menas that present planning elements may not attractive and suitable to resi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esign the services. In the futur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making comfortable space not convenient space. That is, excluding unnecessary elements and pick up the right ones for resident's real dem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