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earch Cards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31초

랜덤 Nonce 기반 사용자 인증 스킴의 안전성 개선에 관한 연구 (An Improved User Authentication Scheme Based on Random Nonce)

  • 주영도;안영화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3-40
    • /
    • 2010
  • 최근 Yoon 등[7]은 자신이 선택한 패스워드와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는 스킴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Yoon 등에 의해 제안된 스킴은 패스워드 기반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스킴에서 고려하는 보안 요구사항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공격자가 사용자의 스마트카드를 훔치거나 일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경우에 Yoon 등의 스킴은 off-line 패스워드 추측 공격에 취약하다는 것을 증명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보안 취약점을 해결할 수 있는 hash 함수와 랜덤 nonce 기반의 보다 개선된 인증 스킴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사용자 인증 스킴은 패스워드 추측 공격을 포함한 다양한 공격에 견딜 수 있는 스킴임을 보여주기 위해 보안성 분석을 병행한다. 비교분석 결과에 의하면 제안한 인증 스킴은 무시할 정도의 exclusive-OR 연산의 수행이 조금 더 요구되지만 Yoon 등의 인증 스킴보다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스킴임을 알 수 있다.

Implementation of Visible monkey into general-purpose Monte Carlo codes: MCNP, PHITS, and Geant4

  • Soo Min Lee;Chansoo Choi;Bangho Shin;Yumi Lee;Ji Won Choi;Bo-Wi Cheon;Chul Hee Min;Beom Sun Chung;Hyun Joon Choi ;Yeon Soo Yeom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5권11호
    • /
    • pp.4019-4025
    • /
    • 2023
  • Recently, a new monkey computational phantom, called Visible Monkey, was developed for non-ionizing radiation studies in animal research. In this study, we extended its applications to ionizing radiation studies by implementing the voxel model of the Visible Monkey into three general-purpose Monte Carlo (MC) codes: MCNP6, PHITS, and Geant4. The implementation work for MCNP and PHITS was conducted using the LATTICE, UNIVERSE, and FILL cards. The G4VNestedParameterisation class was used for Geant4. Then, organ dose coefficients (DCs) for idealized photon beams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were calculated using the three codes and compared, showing excellent agreement (differences <3%). Additionally, organ DCs in other directions (postero-anterior, left-lateral, and right-lateral)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newborn and 1-year-old reference phantom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e.g., the stomach DC of the monkey was 5-fold greater than that of the 1-year-old phantom at 0.03 MeV) while the differences tende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energy (mostly <20% at 10 MeV). The results of this study allows conducting MC simulations using the Visible Monkey to estimate organ-level doses, which should be valuable to support/improve monkey experiments involving ionizing radiation exposures.

$20\~30$대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의 정보탐색 유용성 및 소비자 만족도 (Usefulness of the 20's and 30's Internet searching and consumer satisfaction for Internet shopping)

  • 김인옥;계선자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9권2호
    • /
    • pp.111-126
    • /
    • 2005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some actual states qualities of consumers using of online mall users, as well as the factors that affect consumer satisfaction. A survey for this research was formed in order to find the consumer group between the ages of 20 and 30 who have experiences shopping online. From August 5th, 2002 to August 24th 2002, 424 were actually used tot this research The major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out of the people of the ages 20 to 30, the average age of people that actually purchase the online products was 27.7, and most were either office workers or students. Most of these people have purchased more than S products within a year, and won. Furthermore, $71.9\%$ of the payments were made using credit cards. The average days of using the Internet per week was 5.4 days, the average duration of utilization was 4 years, the average hours spent per day was 2 hours and 9 minutes, and the average time spent on searching information was 31 minutes per day. These peoples ability to put Internet to a practical use, their ability to use the information effectively, and the dangers of the Internet have received 3.66, 3.99, and 3.14 points out of the 5-point scale. In addition, the information search using the Internet received 3_44 points, and the consumer satisfaction received a fairly high score of 3.33 points. Second, the information searching factors involving the society and the Interact have showed efficiencies in people that received university education, people that purchase more than 3 products online per year, people that spend more than 100,000 won per year, and the people that make use of the Internet more often. Third, the customer satisfaction on Internet malls was greater in people that purchase more than 3 products, spend more than 100,000 won per year, make effective uses of the Internet, and Dow about the importance of the information search of the Internet. Fourth, the factors that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wer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net for searching information, the dangers of the Internet, and the hours spent on the Internet. The more uses of the Internet one makes, the less dangers one encounters, and the less one spends time on the internet, the higher ones customer satisfaction is was proven by this research.

  • PDF

확률논리와 조합논리 미형성 학생의 논리지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eaching of Logical Thinking Students with Non-formation in Probabilistic Reasoning and Combinational Reasoning)

  • 김영신;박애련;임수민;정재훈;김수완;송하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3권1호
    • /
    • pp.69-76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확률 논리와 조합 논리가 형성되지 않은 학생들에게 논리 지도를 위한 최적의 시기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430명을 대상으로 논리의 형성정도를 사전에 검사하였다. 검사도구는 GALT를 참고하여 개발하였고, 이는 과학 교육 전문가에게 타당도를 검증 받았다. 처리 프로그램은 두 가지 논리가 모두 형성되지 않은 각 학년 2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이는 바둑돌과 카드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검사도구이다. 4주 뒤 사후검사에서 확률논리와 조합논리의 발달정도를 알아보는 검사를 다시 수행하였고 그 변화는 확인되었다. 확률논리의 경우 4, 5, 6학년에서 형성율이 각각 15%, 25%, 40% 증가하였고, 평균도 .15, .30, .50 증가하였다. T-검증에 의한 의미있는 결과는 6학년 중에서 얻어졌다. 그러나 과도기 학생 비율(21.7%)를 제외하면 형성 학생의 비율은 5.0%로 여전히 저조하였고, 다수의 학생(73.3%)은 미형성 상태를 유지하였다. 조합논리의 경우 4, 5, 6학년에서 형성율이 각각 20%, 25%, 63.2% 증가하였고, 평균도 .20, .25, .63 증가하였다. T-검증에 의한 의미있는 결과는 역시 6학년 중에서 얻어졌다. 그러나 처치 후 논리 형성 학생으로의 전이는 없었으며, 과도기 학생의 비율만 35% 증가하였다. 위의 연구결과, 확률논리와 조합논리가 형성되지 않은 학생들은 학습을 통한 향상은 이루어 졌지만, 인지발달과 같은 질적인 변화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로 인하여 확률논리와 조합논리의 학습 효과가 큰 6학년 학생들의 인지수준 개선을 위한 여러 분야에서의 더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PDF

도서관경영(圖書館經營)에 있어서의 시스팀 분석기법응용(分析技法應用)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Systems Analysis Applied to Library Management)

  • 권기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78-210
    • /
    • 1974
  • It needs to put into practice the systems analysis in the analysis of some operations and status of library for the purpose of systematizing the work of reforming in the new easier form to process, to storage, to retrieve and to make use of the increasing informations and data of library. In this study, some of systems which are generally using in every library was caught in the case study of K university library. Having analyzed them with the two methods of the flowcharting and mathematical analysis, we found the obstructive factors in operation.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was gained the new system as the alternative one. A. Alternative System B. Advantages of alternative systems 1. In the reference room When it converts the present system into the new system, it can profit 6.771 won/user (13.815won-7.044won=6.771 won). Therefore, a half the average required cost of the present system can be saved. If this saving would be alloted for the cost 33,000won required to make the cataloging cards, it would be taken for 94 days (33,000 won ${\div}$ 6,771 won/user=4,874users. 4,874users ${\div}$ 52users/day=94days) to get it. The saving cost/year by the new system will be 95,417 won, and in the first year the initial cost (33,000won) reduces the saving cost to 62,417won. 2. In the periodical room The average required time for using the materials of the present system is 17 minutes/user and the average required cost/user is 23.775won, while the average required time of the new system is 4 minutes and the average required cost/user is 5.33won. Therefore, the new system has profit 4 times of the present system. Accordingly, it occurs when the dispersed periodical materials get together. 3. In the classification and cataloging When one processes - the oriental books - by the Linear Programming Technique, the maximum of the process can be increased from 11.6 volumes per librarian of the present system to 12 volumes per librarian of the new system increased 0.4 volume in a day, and cataloging by the manual printer can be shorten from 3 minutes per card of the present system to 1.5 minutes per card of the new system. Consequently, we can complete the other operations (books equipment, updating of cataloging cards, etc.) with 141 minutes which are saved in the course of the afore-mentioned works. 4. In the status of collections The average growth rate of 4 years from 1968 to 1971 is 9.825 %, and that of the purchased materials is 6.2% similar to the advanced nations, but it has the different position from 215,000 volumes by the Standard Degree for Establishment of College and Universit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otal collections 151,671 volumes and Dunns' growth model ($N_t=N_oe^{-at}$) claimed by Leimkuhler 155,297 volumes in 1971 is 3,626 volumes, and for the purpose of compensation the difference, we found the fact that it needs to have the increased budget of 24~30% per year, Thus, if the budget of 24~30 % per year. Thus, if the budget would be increased per year as the rate of the afore-mentioned figure, it would be reached at the Standard Degree for Establishment of College and University in 1975, and thereafter, it can be decreased to the lebel which is able to maintain the growth rate of 5~6% per year.

  • PDF

이용자 참여형 학교숲 설계에 관한 연구 - 대구 파동초등학교를 대상으로 - (User-participatory Design Process for School Forests - Focusing on Daegu Padong Elementary School -)

  • 정태열;권지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50-61
    • /
    • 2017
  • 본 연구는 학교숲의 이용자들이 설계 과정에 직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이용자 참여형 설계 과정을 고안하고, 이를 대구 파동초등학교에 적용해 설계를 진행하였다. 학교숲의 이용자는 저학년, 고학년, 지역주민(학부모 포함) 및 교직원 4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시청각 교육, 이미지 조사, 선호도 조사, 카드놀이, 모형놀이의 과정을 거쳐 이용자 참여형 설계를 실시하였으며, 1년여 후 이용 후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계과정으로 제일 먼저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청각 교육을 통해 학교숲의 개념을 정립하였고, '내가 원하는 학교숲'이라는 제목의 글짓기, 그림그리기 활동을 통한 이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다음 이미지 조사 시 빈도수가 높았던 공간과 시설물을 문항으로 한 선호도 조사를 저학년, 고학년, 교직원,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선호도 조사 결과,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던 공간과 시설물의 카드를 제작하여 4집단이 각각 학교 배치도 위에 놓아 원하는 공간과 시설물의 위치를 알아보았고, 이것을 토대로 모형을 작성하여 이용자들의 협의를 거쳐 하나의 기본구상안을 작성하였다. 기본구상안을 토대로 실시설계도를 작성하였으며, 학교숲을 완공한 후 1년이 지난 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이용 후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첫째 학교숲을 이용할 잠재력이 있는 모든 집단을 설계 참여 주체로 삼았다는 것, 둘째 설계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며, 각 과정에서 토론과 협의를 거쳐 의견을 구체화하여 이용자 스스로 하나의 안을 도출해내었다는 것, 셋째 학교숲 완공 후 이용 만족도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이용자들이 학교숲을 어떻게 활용하고, 어떤 공간을 가장 선호하는지 알 수 있으며, 선호공간이 설계과정에서도 관심도가 높았던 공간이었다는 점에서 이용자 참여는 중요한 부분이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는 것에 있다.

착한가격업소에 대한 소비자의 주관성연구 (A Study on the Subjective of Designation as the Resonable Price Restaurants on Customer)

  • 조용현;김호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96-404
    • /
    • 2018
  • 본 연구는 정부의 소규모외식업에 대한 지원정책의 일환인 착한가격업소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에 관한 주관성 연구를 통하여 정부지원정책이 외식업소의 경영자입장에서 보다 이용자의 입장에서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착한가격업소 지정 외식업소 이용에 대한 소비자의 주관적 관점을 분석하고자 Q-방법론을 선택하여 탐색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진술문카드를 응답자가 분류하는 방법으로 분석 작업이 행해졌고 Q모집단을 선정하여 구성하고, 이를 통해 진술문을 작성한 후 P샘플을 선정, 분류작업을 거쳐 얻어지는 Q-sort를 PC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Q요인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총 4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는데, 제1유형[(N=5): 가격대비 양적추구형], 제2유형[(N=2): 가격대비 맛추구형], 제3유형[(N=2): 청결추구형], 제4유형[(N=1): 위치확인형] 등으로서 각 유형마다 각각의 특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검출된 각각의 주관적 의견은 추후 다양한 연구의 밑거름이 될 것이며 향후 착한가격업소의 마케팅 수립과 정부의 외식업소 지원정책 방향에 있어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고려점포군에 따른 소비자 세분화와 점포이미지 중요도에 관한 연구 (Consumer Segmentation based on Consideration Set of Stores and Importance of Store Image)

  • 김한나;이은영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2권2호
    • /
    • pp.79-102
    • /
    • 2007
  • 점포의 평가는 소비자의 마음속에 자리 잡고 있는 유사한 경쟁점포들 내에서 이루어지게 되며, 이렇게 "소비자가 특정 점포선택을 할 때 실제 고려하게 되는 점포들의 집합"을 고려점포군(考廬店鋪群; consideration set of stores)이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의류제품을 구매할 때 점포선택과정 중에 형성하는 고려점포군을 알아보고, 고려점포군과 점포이미지 중요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의류점포선택과정을 통해 형성된 고려점포군은 결과적으로 고려점포수와 고려하는 점포유형에 따라 다시 구체화될 수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소비자 유형화를 실시한 결과 '소수-가두점 고려집단', '소수-시장 고려집단', '소수-백화점 고려집단', '소수-백화점/아울렛 고려집단', '다수-백화점/시장 고려집단', '다수-백화점/가두점 고려집단', '다수-백화점 고려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유형화된 소비자 집단별 점포이미지 중요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예를 들면, 시장을 고려점포유형으로 포함하는 소수-시장 고려집단과 다수-백화점/시장 고려집단은 저렴한 가격을 중요한 점포이미지로 여겼으며, 소수-백화점 고려집단은 점포 마일리지 카드나 할인카드, 다수-백화점/가두점 고려집단은 주변 여가공간 요인을 중요한 점포이미지로 꼽아 집단별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들은 점포 운영자들이 자사 목표고객과 경쟁점포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서베이를 이용한 입찰게임에서 출발점 편의의 추정 (Estimating Method of Starting Point Bias in Bidding Game)

  • 박용치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4권2호
    • /
    • pp.63-86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과 그 인근 지역에서 수돗물의 질을 끌이지 않고도 마실 수 있는 수준으로 개선한다는 가정 아래 이에 대 한 지불의사액을 결정하고자 할 때 가상상황 가치평가 기법의 입찰게임에서 출발점 편의의 존재 여부를 검정하는 것이다. 모든 가상상황 가치평가 기법 가운데 입찰게임이 가장 정상가격을 얻는 데 가깝기 때문에 지불의사액(WTP)을 절정하기 위하며 3가지(저$.$$.$고)의 서로 다른 입찰값의 출발점 그룹을 사용하였다. 응답자들은 출발점에 무작위적으로 배정되었고 사전 검사된 면접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출발점 편의의 증거를 밝히기 위하여 비모수적 검정과 로짓(Logit)모델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출발점 집단에서는 높은 지불의사액을, 낮은 집단에서는 낮은 지불의사액을 나타내었으며 이것은 출발점 편의의 존재를 확인하는 것이다. 출발점 편의의 문제는 지불카드나 입찰게임 없이 응답자에게 최대 지불의사액을 직접 질문함으로써 회피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질문은 대답하기에 아주 어렵고, 무응답을 증가시키며 비현실적인 것이 될 수 있다.

  • PDF

위치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LBSNS)를 이용한 POI 정보 강화 방안 (Enrichment of POI information based on LBSNS)

  • 조성환;가칠오;허용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8권2호
    • /
    • pp.109-119
    • /
    • 2018
  • 도시의 POI는 사용자들에게 어떤 중요성을 가지고 있는 특별한 장소이다. 예를 들어 식당, 박물관, 호텔, 극장 그리고 랜드마크 등이다. 이들은 그 역할 때문에 우리의 사회 경제적 생활 속에서 온라인 지도나 소셜 네트워크 등의 위치기반 어플리케이션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지리적 위치 등의 POI에 대한 기본 정보는 웹을 통해서 쉽게 얻을 수 있는 반면, 와이파이 가능 여부, 신용카드 가능 여부, 야외 좌석 여부, 놀이방 운영 여부, 개점 시간, 다른 사용자들의 평가 및 평점 등의 세부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또 다른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LBSNS 데이터와 POI 위치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여 연결해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LBSNS의 누적되어 있는 방대한 정보로부터 POI의 정보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기 위한 방법으로 LBSNS 데이터와 POI의 위치 오차해결 방법을 제안하여 두 데이터 집합의 융합 정보를 생성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POI와 LBSNS의 정보 융합 방법을 통하여 개별 POI 정보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POI에 대한 풍부하고 빠른 정보 수집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