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pository operation process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6초

스타트업 프로세스 리파지토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tart-up Process Repository System)

  • 성상현;손영우
    • 지식경영연구
    • /
    • 제20권3호
    • /
    • pp.107-117
    • /
    • 2019
  • Successful start-ups are driven by opportunities, teams, and the resources needed to grow the business. Systematic business process management is required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business operations. However, the existing entrepreneurial process research has limitations that it is difficult to intuitively and dynamically provide the necessary information for start-up operation, and it is necessary to define necessary information (resources, stakeholders, activities). In this study, we suggest the "Start-up Process Repository System" which overcomes limitations of existing entrepreneurial process research. The architecture for the Start-up Process Repository System provides five layers and enables each layer to interact four interfaces between each layer. This study improves start-ups' accessibility to the start-up business process repository created from the existing repository architecture and increases the utility derived from it by providing methodologies for components that offer useful start-up knowledge.

개인기록 전자출판 리포지토리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uilding Self-Publishing Repository for the Personal Digital Records)

  • 추기숙;남영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51-374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생산자 중심의 개인기록 전자출판 리포지토리 구축 모형(안)과 운영 모델의 실질적인 적용을 위해 필요한 세 가지 운영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1) DSpace 기반 전자출판 리포지토리 구축을 위한 필수 요소로 생산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 운영 주체, 운영 및 관리방안에 대한 사전 논의와 검토, 디지털 개인기록 생산자의 리포지토리 활성화방안, 저작권문제, 개발 및 보급과정, 법적인 체제구축 등을 제안한다. 2) 리포지토리 모형은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생산자 중심의 순환구조로 구축한다. 3) 여러기관이 연계한 리포지토리 모형을 통해 콘텐츠 배포와 키워드 검색, 사용 통계, 추천 시스템, 오픈 엑세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개인 이용자와 포탈업체, 전자출판사에게 동일하게 제공한다.

Generic Data Model 기반의 XML DBMS 설계 및 구현 (Designing and Implementing XML DBMS based on Generic Data Model)

  • 임종선;주경수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03-111
    • /
    • 2003
  • Nowadays XML is used for exchanging information in e-Commerce, especially B2B. Necessity of XML DBMS has being increased to efficiently process XML data. So a lots of database products for supporting XML are rapidly appeared in the market. In this paper, we made an XML DBMS system based on Generic Data Model. First we developed XML Adaptor based on Generic Data Model and added it on relational DBMS for developing XML DBMS. XML Adaptor is composed of Query Convertor and XML Repository System. The Query Convertor parse commands that are for XML data manipulation and then call the relevant component of XML Repository System for relational database operation. The XML Repository System handles relational database operations such as create, delete, store, and etc. In this way we can use a relational DBMS for manipulation XML data. Therefor we can build more economically XML DBMS.

  • PDF

대학 기관리포지터리 접근 경로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Access Source of Institutional Repository on University)

  • 이재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37-26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이용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A대학 기관리포지터리(IR)의 자료 유형별 이용통계와 이용자가 A-IR에 접근하는 접근경로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특히, 접근경로의 변화 추이에 초점을 맞추어 다양한 노출경로의 확보가 A-IR 이용확산에 기여한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SNS 등 시대적 소통방식이 A-IR의 접근경로로 활용된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서 향후 기관리포지터리를 활성화하는 노출경로의 다양화 등 운영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하 동굴식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의 환기시스템 고찰 (A Study on Ventilation System of Underground Low-Intermediate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 김영민;권오상;윤찬훈;권상기;김진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5-78
    • /
    • 2007
  • 지하 동굴식 처분장의 건설, 운영 및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처분한 이후 발생하게 되는 오염물질(Rn, CH CO, HS, Radiolysis에 의한 방사능 가스 등)은 적절한 공기량을 필요로 한 곳에 정확히 분배시킬 수 있는 환기시스템에 의해 통제되도록 하여야한다. 특히 지하 처분장은 여러 개의 진입 터널, 저장 터널, 공기 유입-배기 터널, 수직갱 등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회로망의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에 적절한 기술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환기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술적 접근을 위해 미국의 WIPP (Waste Isolation Pilot Plant)처분장과 스웨덴의 SFR (Slutforvar for Reaktoravfall) 중-저준위 처분장을 모델로 하여 두 처분장의 소요환기량을 선정하고 설계상 통풍로의 단면적, 길이, 표면 거칠기 등을 고려한 환기회로를 구성하였으며, 수학적으로 계산되는 각 회로의 저항에 대해 기술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선풍기의 용량과 수직갱 운용방안을 설계하였다. 두 처분장의 지형상의 규모 및 환기시설 비교 결과, SFR 처분장에 비해 WIPP 처분장에서와 같이 병렬구조가 많을수록 처분장 전체의 저항이 감소되며 이러한 결과로 환기시스템의 운용비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처분용량 증대를 위한 대단면의 SFR 처분장 구조와 전체 저항 감소를 위한 WIPP 처분장의 병렬구조를 조합한 형태가 가장 합리적이며 효율적인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방사성 폐기물 지층 처분장과 암반의 역학적 특성 변화 - ANDRA의 예 - (Mechanical evolution of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and rock mass - A review on ANDRA's case -)

  • 정소걸;신중호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8권3호
    • /
    • pp.165-174
    • /
    • 2008
  • 지하 500 m의 처분장 주위 암반이 수 십 만년 이상 장기적으로 지압과 열하중을 받음으로 인해 발생되는 역학적-열적-수리적-화학적 특성변화에 대한 프랑스의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방사성 폐기물 처분에 관련된 연구 방향 설정과 부지확보 등 기초자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방사성 폐기물 관련 사업을 수행함에 있어 선택의 폭을 넓히기 위해서는 첫째, 처분심도를 비롯한 처분 대상 지질매체(화성암 및 퇴적암)의 결정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시급하며, 특히 처분장 건설시에 갱도 혹은 처분 셀 주위에 발생되었던 파쇄 균열이 처분장을 장기간 운영하는 과정에서 치료되는 특성에 대한 규명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장기적 EDZ 거동 변화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며 처분 개념의 가역성(reversibility)에 대한 검토도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한국형 방사성 폐기물 지층처분에 관한 타당성 검토와 개념설계를 바탕으로 구축된 지하실험실을 이용하여 처분장 설계 개념을 검증하는 연구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웹 서비스 기술을 활용한 국제 표준 기반의 플랜트 데이터 저장소의 구현 (Construction of an International Standard-Based Plant Data Repository Utilizing Web Services Technology)

  • 문두환;김병철
    • 산업공학
    • /
    • 제23권3호
    • /
    • pp.213-220
    • /
    • 2010
  • As the market becomes increasingly globalized and competition among companies increases in severity, various specialized organizations are participating across the process plant lifecycle, including the stages of design,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intenance, and dismantlement, in order to ensure efficiency and elevate competitiveness. In this regard, it is an important technical issue to develop services or information systems for sharing process plant data among participating organizations. ISO 15926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integration of lifecycle data for process plants including oil and gas facilities. ISO 15926 Part 7, a part of the ISO 15926 standard, specifies an implementation method called a facade that uses Web Services and ontology technologies for constructing plant data repositories and related services, with the aim of sharing lifecycle data of process plants. This paper discusses the ISO 15926-based prototype facade implemented for storing equipment data of nuclear power plants and servicing the data to interested organizations.

상호운용성 제공을 위한 PLCS 기반 SBA 통합협업환경 아키텍처 및 운용 방안 (PLCS-based Architecture and Operation Method for Interoperability in SBA Integrated Collaborative Environment)

  • 김황호;최진영;왕지남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87-92
    • /
    • 2010
  • In this paper, we suggest a PLCS-based architecture and operation method for providing interoperability in SBA integrated collaborative environment. Specifically, the suggested architecture is based on the distributed collaborative environment which employes the PLCS application protocol and integrated repository for representing and sharing product data information between collaborators remotely located. As an example of data representation, a military vehicle system is considered and two kinds of information, including state and activity/process, are explained. We expect that the suggested architecture can be used as a reference model to develop an efficient SBA integrated collaborative environment.

Physicochemical Property of Borosilicate Glass for Rare Earth Waste From the PyroGreen Process

  • Young Hwan Hwang;Mi-Hyun Lee;Cheon-Woo Kim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71-281
    • /
    • 2023
  •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vitrification of the rare earth oxide waste generated from the PyroGreen process. The target rare earth waste consisted of eight elements: Nd, Ce, La, Pr, Sm, Y, Gd, and Eu. The waste loading of the rare earth waste in the developed borosilicate glass system was 20wt%. The fabricated glass, processed at 1,200℃, exhibited uniform and homogeneous surface without any crystallization and precipitation. The viscos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melted glass at 1,200℃ were 7.2 poise and 1.1 S·cm-1, respectively, that were suitable for the operation of the vitrification facility. The calculated leaching index of Cs, Co, and Sr were 10.4, 10.6, and 9.8, respectively. The evaluated Product Consistency Test (PCT) normalized release of the glass indicated that the glass satisfied the requirements for the disposal acceptance criteria. Furthermore, the pristine, 90 days water immersed, 30 thermal cycled, and 10 MGy gamma ray irradiated glasses exhibited good compressive strength.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abricated glass containing rare earth waste from the PyroGreen process was acceptable for the disposal in the repository, in terms of chemical durability and mechanical strength.

효율적인 비즈니스 프로세스 운용을 위한 XMDR 데이터 허브 설계 (The Design of XMDR Data Hub for Efficient Business Process Operation)

  • 황치곤;정계동;최영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8D권3호
    • /
    • pp.149-156
    • /
    • 2011
  • 최근 기업의 시스템들은 데이터 공유와 협업을 위해 통합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통합을 위한 방법론으로 서비스 통합을 위한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와 서비스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통합을 위한 마스터 데이터가 등장했다. 본 논문은 BP(Business Process)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우리는 BP를 지원하기 위한 지식 저장소로 XMDR(eXtended Meta Data Registry)과 이를 운용하기 위한 데이터 허브를 구성한다. XMDR은 데이터 통합을 위한 MDM(Master Data Management)을 관리하고, 데이터 간의 이질성을 해결하고, 업무 간의 연관관계를 효율적으로 제공한다. 이것은 MDR(Meta Data Registry), 온톨로지, BR(Business Relations)으로 구성된다. MDR은 구조적 이질성을 해결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간의 관계성을 기술한다. 온톨로지는 의미적 이질성과 데이터 간의 관계성을 기술한다. BR은 업무 간의 관계성을 기술한다. XMDR 데이터 허브는 마스터 데이터의 관리를 지원하고, 프로세스 간의 상호작용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