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peater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33초

지상파방송 난시청 해소를 위한 특정소출력 DTV 중계기(I): 기술기준연구 (Low Power On-channel Repeater for Terrestrial DTV Broadcasting Services(I) : Technical Regulations)

  • 권원현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44-25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중소규모 지상파 DTV 방송의 난시청지역 해소를 위하여 우리나라 및 외국의 기술현황 및 관련 기술기준들을 고찰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출력 10mW/MHz 이하인 특정 소출력 디지털 텔레비전(DTV) 방송중계용 무선기기의 송신 요구기준을 제안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방식의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식은 기존 방식에 비해 경제적이고도 소형으로 중계기를 구현할 수 있어 수 km 미만의 중소규모 난시청 지역이 많이 발생하는 우리나라 DTV 수신환경 개선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ICS 극소출력 중계기를 이용한 난시청 개선 (Improvement of Fringe Area using ICS Extremely Low Power Repeater)

  • 최수철;조기량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97-104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지상파 Digital TV(Television) 방송의 난시청 지역 해소를 위하여 동일 채널 DTV ICS(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 극소출력 중계기를 이용한 필드 테스트 분석을 통한 효과를 입증하였다. 전국적으로 산재한 난시청 지역(자연적) 및 건물(인위적)중에서 7개소를 필드 테스트 지역으로 선정하고, 각 방송국(KBS1, KBS2, EBS, MBC, SBS)에 대하여 ICS 극소출력 중계기의 설치 전, 후의 수신 전계 강도와 SNR(Signal to Noise Ratios)을 측정하고, 또한 수신율 개선 현황을 통하여 ICS 극소출력 중계기의 효과를 검증하고, 향후 ICS 타입 극소출력 중계기의 확산을 위한 연구 기반을 제공하였다.

스마트폰 착신정보 자동 송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설계 (Application design for automatic transmission the incoming informations of the smart phone)

  • 박종안;김서궁;강성관;천종훈;강광원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63-17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휴대할 수 없는 수영장이나 찜질방 등 제한된 공간에서 스마트폰으로 수신되는 전화 및 SMS를 중계기와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설계를 제안하였다. 어플리케이션 설계는 사용자의 기본적인 정보를 저장하고, 전화 및 SMS를 수신 하였을 때, PhonStateListener와 SmsReceiver를 이용하여 발신자 번호와 사용자 기본정보를 데이터화 한다. 데이터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중계기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스마트폰 사용자는 수신정보를 중계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로 확인할 수 있다.

DTV 중계기의 대역외발사강도 특성평가 (Emission Mask Performance Evaluation of DTV Repeater)

  • 허영태;김광의;권원현;이춘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7권12호
    • /
    • pp.97-10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DTV 방송장치의 대역외발사강도에 대한 국내외 기준을 고찰하였으며, 장비유형별 방사 마스크 요구조건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DTV 중계기에 적합한 대역외방사특성 기분을 제안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기술기준의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제안된 기술기준 값을 이용하면 DTV 중계기의 소형화 및 저가화가 가능하며, 향후 디지털 전환에 필요한 방송구역 확대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Giga-Bit MODEM을 위한 BASK 시스템 설계 (BASK System Design For Giga-Bit MODEM)

  • 엄기환;강성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2권12호
    • /
    • pp.111-11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밀리미터파 대역에서의 Giga-bit 모뎀을 위한 BASK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의 송신단은 입력신호의 pulse shaping을 위해 고속의 shutter를 사용하며, ISI(Inter-Symbol Interference)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수신단은 SNR 개선과 rectangular pulse train을 만들기 위해 repeater를 사용한다. Repeter는 몇 개의 converter로 이루어져 있으며, converter는 low pass filter와 limiter로 구성된다. 또한, 수신된 신호에서 발생하는 랜덤 오류를 정정하기 위해 viterbi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BER을 개선 시켰다. 제안한 시스템은 Direct Conversion 방식으로 IF처리과정이 없으므로 시스템이 매우 간단하다.

지상파 DMB 소출력 중계기의 대역외발사강도 분석 (Out-of-Band Emission Mask Analysis of Terrestrial Low Power DMB Repeater)

  • 허영태;김광의;이춘호;이희성;권원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8B호
    • /
    • pp.1188-119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DMB 방송장치의 대역외발사강도에 대한 국내외 기준을 고찰하였으며, 10mW/MHz 이하의 지상파 소출력 중계기 방사 마스크 요구조건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소출력 DMB 중계기에 적합한 대역외방사특성 기준을 제안하였으며, 3개 블록들을 포함하는 멀티블록 중계기에 대한 기준도 함께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술기준의 타당성 및 유용성은 다양한 실험들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제안된 기술기준값을 이용하면 DMB 중계기의 소형화 및 저가화가 가능하며, 향후 DMB 음영지역 해소를 통한 방송구역 확대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메타구조 기반의 흡수체를 이용한 높은 격리도 특성의 WCDMA 댁내형 중계기 안테나 설계 (Design of WCDMA Indoor Repeater Antenna for High Isolation using the Absorber based on Metamaterial Structure)

  • 김형준;윤나내;서철헌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9권6호
    • /
    • pp.57-6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안테나 간 격리도 개선을 위해 메타구조 기반의 흡수체를 이용한 WCDMA 댁내형 중계기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메타구조 흡수체가 배열된 메인패치와 대역폭을 위한 기생패치로 이루어져 있다. WCDMA 대역폭을 만족하기 위해 메인패치와 기생패치 사이의 커플링을 이용하였다. 메타구조 기반의 흡수체의 크기는 $13mm{\times}13mm$ 이며, 흡수율은 2.18 GHz 대역에서 약 94 % 의 특성을 갖고 있다.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 사이의 격리도는 메타구조 기반의 흡수체를 이용하여 개선하였다. 제안된 WCDMA 댁내형 중계기 안테나는 1.92 GHz부터 2.17 GHz 대역에서 6 dBi 이상의 안테나 이득과 2 이하의 VSWR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송수신 안테나 사이의 격리도는 85 dB 이하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안된 안테나의 크기는 $75mm{\times}75mm$ 이다.

WCDMA 무선 중계기에서 파일럿 간섭제거 기법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a Pilot Interference Cancellation Scheme in a WCDMA Wireless Repeater)

  • 김선호;심희성;임성빈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6권6호
    • /
    • pp.111-117
    • /
    • 2009
  • WCDMA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 영역의 결정, 셀 인식, 동기화, 채널 추정, 신호 타이밍 포착 및 추적을 위해 파일럿 채널을 사용한다. 이동통신 서비스 수요의 증가로 인해 도심의 WCDMA 망 환경 하에서 단일한 무선 중계기는 다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지만 각각의 기지국에서 송신하는 파일럿 채널을 구분하지 못하기에 파일럿 간섭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파일럿 간섭은 단말기에서의 잦은 핸드오프로 인한 수신 감도의 저하, 전송 효율 및 통화 품질의 저하, 채널용량의 감소와 불필요한 전력 소모 증가 등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적응 추정 알고리즘인 NLMS 기법을 이용해서 WCDMA 무선 중계기에 적용 가능한 파일럿 간섭 제거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을 적용하여 각각 링크 레벨에서와 네트워크 레벨 에서 모의실험을 수행하여 무선 중계기 시스템에서의 성능 향상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링크 레벨 관점에서의 BER 성능 향상과 네트워크 레벨 관점에서 시스템의 콜 드랍 확률의 향상을 각각 확인하였다.

리피터를 이용한 IoT기기 관리시스템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using repeater)

  • 배상중;정재안;황도연;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65-566
    • /
    • 2018
  • 기존 IoT 시스템들은 서버에서 디바이스의 정보를 처리하는 중앙 집중형 시스템이며 무선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방식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무선랜 네트워크의 신호가 닿지 않아 IoT 제품을 사용할 수 없거나 더 강한 신호의 무선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리피터를 이용하여 IoT 제품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IoT 제품을 관리하며 서버에서 처리하는 데이터의 일부를 리피터에서 처리하여 서버의 부담을 줄이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무선랜 네트워크의 신호가 원인으로 생기는 문제는 리피터로 신호를 증폭함으로써 해결하고 서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과부화 문제는 리피터가 자신에게 연결된 IoT 제품을 관리함으로써 서버의 사용량을 줄이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이동 통신 중계기 설치를 통한 승강기 시스템의 전자파 환경 개선 (Improvement of Electromagnetic Environment Effects in aLift System by Installing a Mobile-Communication Repeater)

  • 임병철;정기범;정연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1125-113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자파 적합성을 고려하여 승강기 시스템 내에 중계기 안테나를 설치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승강로에 중계기 안테나를 설치하는 경우(Solution 1)와 승강기 내부에 중계기 안테나를 설치하는 경우 (Solution 2)의 2가지 solutions을 검토하였으며, Solution 2가 Solution 1보다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승강기에 대한 전자파 내성 기술 기준과 20 dB의 안전 마진을 고려하여 중계기 안테나의 출력(EIRP)을 -5 dBm으로 제한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이러한 출력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정밀 전력 제어 메커니즘에 따라 최적의 안정된 전자파 환경을 제공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무선을 활용하여 오히려 전자파 환경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준 본 연구가 Green ICT의 중요한 사례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