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axing factor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1초

Superoxide에 의존하여 내피세포에서 유리되는 이완성 물질의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Characterization of Superoxide-dependent Endothelial Relaxing Factor(s))

  • 이기남;이원석;임병용;홍기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5-152
    • /
    • 1990
  • 최근 본 교실에서는 two-bath system을 이용하여 혈관 내피세포에서 superoxide에 의존한 혈관 이완성 물질을 동정하여 발표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상기 system을 이용하여 돼지의 관상동맥 내피세포에서 유리되는 superoxide에 의존한 이완성 물질이 고양이의 흥부 대동맥 내피 및 소의 대동맥 배양내피세포에서 얻어진 이완성 물질에 의한 이완과 매우 유사함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고양이 흥부 대동맥, 돼지 관상동맥의 내피세포 및 소 대동맥 배양 내피세포 등에서 유리되는 superoxide에 의존한 이완 물질은 모두 유사한 이완 작용을 나타내었다. 2. 돼지 관상 동맥 내피세포에서 유리되는 superoxide 의존성 이완 물질이 고양이의 흥부 대동맥 내피세포나 소의 대동맥 배양 내피세포에서 유리되는 이완 물질과는 다소 다른 점도 있었다. 즉, 돼지 관상동맥 내피세포에서 유리되는 이완 물질의 작용은 catalase나 superoxide dismutase(SOD)에 의하여 억제되었으나, 후자의 두 동맥 내피세포에서 유리되는 이완 물질은 SOD에 의해서만 억제되었다. 3. 이러한 이완성 물질들의 생성은 여러 lipoxygenase억제제인 gossypol, nordihydroguaiaretic acid, AA 861 및 eicosatetraynoic acid 등의 전처치에 의하여 봉쇄되었다. 4. Cyclooxygenase 억제제인 indomethacin이 나 cytochrome P-450 monooxygenase 억제제인 proadifen과 cimetidine에 의하여는 봉쇄되지 아니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이러한 이완성 물질들은 비록 각기 다른 종의 동물 모델에서 얻었다고 하더라도 장기에 따라 다소 반응의 차이는 있으나 동질성 이완 물질이며, 나아가 이러한 이완성 물질은 여러 조직의 허혈-재관류 손상에 있어서 병리생리학적으로 관련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Heterogeneity of 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

  • 홍기환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1회 추계심포지움 and 제2회 생리분자과학연구센터워크숍
    • /
    • pp.36-38
    • /
    • 1993
  • 내피세포 (endothelial cells, EC)는 amine, peptide, 단백, arachidonic acid 및 그 대사물 등의 여러 화학물질에 의하여 내피세포 의전성 이완물질 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 EDRF)을 유리할 뿐만 아니라 맥압(脈壓)과 같은 물리적 변동에 의하여서도 EDRF가 유리된다. EDRF는 처음에 Furchgott와 Zawadzki (1980)에 의하여 보고되었고, EDRF의 실질적인 성분이 무엇인가에 대하여는 그동안 많이 검토되어 왔다(Marshall 와 Kontos, Hong 등, 1990).Ignarro 등 (1987)과 Palmer등 (1987)은 EDRF에 의한 생물학적 반응이 NO (nitric oxide)와 유사하거나 같은 물질이라고 보고하였고,Furchgott 등 (1986)과 Ignarro등 (1988)도 EDRF가 NO와 유사하거나 같은 물질일 것이라고 단정하였다.

  • PDF

오수유(吳茱萸)가 선천성고혈압(先天性高血壓)흰쥐의 혈압(血壓)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f Evodiae Fructus on the blood pressure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 강신인;김호철;류항묵;양지선;정수연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50-58
    • /
    • 1998
  • The effects of the Evodiae fructus on the cardiovascular function were assessed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and isolated preparation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aortic strip.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methanol crude extract of Evodiae Fructus (0.5mg/kg) lowered aterial blood pressure which lasted for at least 4 hours. The hypotensive effect of Evodiae Fructus was more stronger with ${\alpha}-adrenoreceptor$ inhibitor(Phentholamine) and it was not affected by ${\beta}-adrenoreceptor$ inhibitor(Propranolol). The hypotensive effect of Evodiae Fructus was abolished by NAME. It is suggested that the hypotensive effect of Evodiae Fructus may be concern with 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 and it may be mediated through NO synthesis. Evodiae Fructus showed a vasorelaxing effect on denude aortic strip. It is suggested that Evodiae Fructus has a direct relaxing effect on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Judging from above results, it was proved that hypotensive effect of Evodiae Fructus. The mechanism of hypotensive action may be concern with 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 and direct relaxing effect on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Evodiae Fructus is applicable to hypertension.

  • PDF

뇌혈류 자가조절에 대한 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의 역할 (Role of 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 in Cerebral Autoregulation in vivo)

  • 홍기환;유성숙;임병용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7-37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콜린성 기전에 반응하여 분비되는 내피 의존성 이완물질(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 EDRF)나 nitric oxide(NO)가 마취 흰쥐의 뇌혈류 자가조절기전에 관여할 가능성을 관찰하였다. Acetylcholine($10^{-9}-10^{-6}M$)을 포함한 mock 뇌척수액(CSF)을 관류시 뇌연막 동맥은 농도에 의존하여 이완반응 나타내었고(평균; $19.3{\pm}1.7{\mu}m$, n=36), 이러한 이완반응은 $N{\omega}$-nitro-L-arginine(L-NNA, $10^{-5}M$)에 의해서 억제되었을 뿐 아니라 methylene blue($10^{-6}M$)나 oxyhemoglobin($10^{-6}M$)에 의하여도 억제되었다. 한편 이러한 acethlcholine에 의한 뇌연막동맥의 이완반응을 매게하는 무스카린 수용체는 무스카린 수용체 길항제의 봉쇄효과를 관찰한 실험에서 $M_1$$M_3$ 아형으로 생각되었다. L-Arginine을 함유한 mock CSF로 관류시 일어나는 일시적인 혈관이완반응은 NY 83583 ($10^{-5}M$)에 강력히 억제되었으나 L-NNA ($10^{-5}M$)에 의해서는 억제되지 아니하였다. 한편 acetylcholine과 L-arginine에 의한 혈관이완반응은 ATP-sensitive $K^+$ 통로 봉쇄제인 glibenclamide에 의해 유의하게 봉쇄되었다. 나아가 뇌연막동맥의 직경 변화를 동맥압의 변화에 대하여 검정한 결과 혈관이완과 혈관수축의 희귀 직선의 경사도는 $10^{-5}M$ L-NNA의 전처치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으나, $3{\times}10^{-6}M$ glibenclamide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혈압하강에 대해 쥐의 뇌연막동맥에 나타나는 혈관이완반응은 EDRF(NO)에 의해 매개되지 않는다고 사료된다.

  • PDF

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s of Small Resistance Arteries in Hypertension

  • Kang, Kyu-Tae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0권3호
    • /
    • pp.141-148
    • /
    • 2014
  • 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s (EDRFs), including nitric oxide (NO), prostacyclin ($PGI_2$), and endothelium-derived hyperpolarizing factor (EDHF), play pivotal roles in regulating vascular tone. Reduced EDRFs cause impaired endothelium-dependent vasorelaxation, or endothelial dysfunction. Impaired endothelium-dependent vasorelaxation in response to acetylcholine (ACh) is consistently observed in conduit vessels in human patients and experimental animal models of hypertension. Because small resistance arteries are known to produce more than one type of EDRF, the mechanism(s) mediating endothelium-dependent vasorelaxation in small resistance arteries may be different from that observed in conduit vessels under hypertensive conditions, where vasorelaxation is mainly dependent on NO. EDHF has been described as one of the principal mediators of endothelium-dependent vasorelaxation in small resistance arteries in normotensive animals. Furthermore, EDHF appears to become the predominant endothelium-dependent vasorelaxation pathway when the endothelial NO synthase (NOS3)/NO pathway is absent, as in NOS3-knockout mice, whereas some studies have shown that the EDHF pathway is dysfunctional in experimental models of hypertension. This article reviews our current knowledge regarding EDRFs in small arteries under normotensive and hypertensive conditions.

EFFECTS OF GINSENG SAPONIN ON ENDOTHELIUM - DEPENDENT VASCULAR RELAXATION IN RAT AORTA AND HYPERCHOLESTEROLEMIC RABBIT AORTA

  • Kim N.D.;Kang S.Y.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93년도 학술대회지
    • /
    • pp.40-48
    • /
    • 1993
  •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saponin extracted from the root of Panax ginseng lowered the blood pressure dose-dependently (10-200 mg/kg, B.W) in anesthetized rats. Therefore, experiments were designed to study the hypothesis that the lowering of blood pressure is associated with the release of 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 and the accumulation of guanosine 3, 5-cyclic monophosphate (cGMP). Rings of thoracic aorta with and without endothelium were suspended for the measurement of isometric tension in organ chamber and the tissue content of cGMP was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the presence of $indomethacin(10^{-5}M).$ Ginseng saponin $(10^{-5}-3{\times}10^{-6}g/ml)$ relaxed contractions induced by phenylephrine $10^{-6}M)$ in the aorta with endothelium but not in that without endothelium. Treatment of aortic rings with $N^G$ monomethyl-L-arginine (L-NMMA, $10^{-4}M$ for 30 min), a competitive inhibitor of nitric oxide synthase, and methylene blue $(MB,\;3{\times}10^{-7}M$ for 30 min). an inhibitor of soluble guanylate cyclase, diminished the relaxation induced by Ginseng saponin. Ginseng saponin $10^{-4}g/ml$ for 2 min) increased the accumulation of cGMP in rings with endothelium. L-NMMA and MB inhibited the accumulation of cGMP induced by Ginseng saponin. These data suggest that vascular relaxations induced by Ginseng saponin are mediated by release of 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 and the accumulation of cGMP. The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endothelial function in hypercholesterolemic rabbits was examined. In hypercholesterolemic rabbits fed with $2\%$ cholesterol for 8 weeks, relaxation of aortic rings to acetylcholine was impaired. The impaired relaxations of aortic rings in hypercholesterolemic rabbits were improved by dietary supplementation of Ginseng saponin, probably because of an improved release of endothelium - derived relaxing factor.

  • PDF

토끼 대동맥 내피에서 A23187에 의하여 유리되는 혈관이완물질의 특성에 관한 연구 (Release of a Stable 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 by A23187 from the Rabbit Aortic Endothelium)

  • 김치대;임병용;홍승철;홍기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5-133
    • /
    • 1991
  • 내피세포가 제거된 토끼의 적출 장간막 동맥에서 토끼의 대동맥 내피세포로 부터 A23187과 acetylcholine은 NO와 유사한 혈관 이완성 물질 (EDRF)을 유리한다. 이에 첨가하여 A23187은 acetylcholine과는 달리 superoxide anion에 의하여 파괴되지 않는 EDRF도 유리시킴을 확인하고 이의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정상적인 생리영양액에서는 A23187과 acetylcholine의 용량-반응 곡선은 내피세포에 의존하지 않는 sodium nitroprusside의 곡선과 유사하였다. 이들은 methylene blue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Hypoxanthine (HX)과 xanthine oxidase (XO)를 bath내로 투여시 phenylephrine에 의한 수축이 일과성으로 증가한 후 지속적으로 이완되었다. HX-XO 반응중에는 A23187은 장간막 동맥을 즉각적으로 이완시켰으나 acetylcholine의 이완작용은 소실되었다. A23187에 의하여 야기되는 장간막동맥의 이완은 50 mM $K^+-PSS$로 수축을 야기시켰을 때에는 나타나지 아니하였다. Superoxide dismutase를 전처치하였을 때는 HX-XO 반응중에도 acetylcholine 뿐만아니라 A23187에 의한 장간막 동맥의 수축은 이완되었다. 한편, acetylcholine에 의하여 야기되는 장간막 동맥의 이완은 A23187에 의하여 야기되는 이완에 비하여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에 훨씬 더 민감하게 억제되었다. 내피세포의 기능과는 무관한 sodium nitroprusside에 의하여 야기되는 이완은 PMA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때, A23187과 acetylcholine은 methylene blue에 의하여 억제되는 내피세포 의존성 이완을 야기시키고, 첨가하여 A23187은 어떤 병적 환경 아래서는 superoxide anion과 PMA에 저항성을 지닌 혈관이완성 물질을 유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앞으로 A23187에 의하여 유리되는 혈관 이완성 물질이 superoxide anion에 의존하여 생성된 것인지에 대하여는 추후의 연구과제이다.

  • PDF

야관문(夜關門)이 토끼의 혈관과 음경해면체 수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spedezea Cuneata on the Contraction of Rabbit Common Carotid Artery and Corpus Cavernosum)

  • 박선영;김호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09-817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echanism of vasodilation of Lespedezea cuneata(LC) in rabbit common carotid artery and cavernosal smooth muscle. LC relaxed arterial strips precontracted with norepinephrine and cavernosal strips precontracted with phenylephrine. The arterial relaxation effects of LC was endothelium-dependent. $N{\omega}$-nitro-L-arginine(L-NNA), NOS inhibitor, methylene blue(MB), cGMP inhibitor, indomethacin(IM), cyclo-oxygenase inhibitor and tetraethylammonium chloride(TEA), KCa-channel blocker attenuate the relaxation responses of LC in arterial strips. In $Ca^{2+}$-free krebs-ringer solution, pretreatment of LC extract significantly reduced the contraction induced by addition $Ca^{2+}$. L-NNA reduced LC extract-induced relaxation in cavernosal strips, but IM, TEA and MB didn't affect LC extract-induced relaxation. When LC extract was applicated o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the nitric oxid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We conclude that in rabbit common carotid artery, LC may suppress influx of extra-cellular $Ca^{2+}$ through the release of endothelium derived relaxing factor including nitric oxide, prostacyclin, endothelium derived hyperpolarizing factor. And LC exerts a relaxing effect on corpus cavernosum through activating the NO.

홍삼 사포닌의 혈압강하작용과 내피의존성 혈관 이완에 미치는 효과 (The Antihypertensive Effect of Red Ginseng Saponin and the Endothelium-Derived Vascular Relaxation)

  • 강수연;김낙두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6권3호
    • /
    • pp.175-182
    • /
    • 1992
  •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saponin from the root of Panax ginseng (red ginseng) lowered the blood pressure in a dose-dependent manner (10~100 mg/kg B.W) in anesthetized rats. Therefore, experiments were designed to study whether this lowering of blood pressure is associated with the release of 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 Rings of thoracic aorta with and without endothelium were suspended for the measurement of isometric tension in organ chamber.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the presence of indomethacin (10-5 M). Ginseng saponin (10-5~3$\times$10-4 g/ml) relaxed contractions induced by phenylephrine (10-5 M) in the aorta with endothelium but not in that without endothelium. Treatment of aortic rings with NG_monomethyl-L-arginine (L-NMMA 10-4 M for 30 min), a competive inhibitor of nitric oxide synthase and methylene blue (M.B., 3$\times$10-7 M for 30 min), an inhibitor of soluble guanylate cyclase, diminished the relaxation induced by ginseng saponin. In thoracic aortic rings from rats treated with ginseng saponin for 2 weeks intraperitoneally, the relaxation to acetylcholine was increased compared with non-ginseng treated rings. These data suggest that red ginseng saponin evokes hypotension and that vascular relaxations induced by red ginseng saponin are inediatpd by release of 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

  • PDF

부동산 유형별 마케팅 전략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of Satisfaction by Marketing Strategic Based on the Type of Real Estate)

  • 김구회;이길재;원유호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4권1호
    • /
    • pp.195-212
    • /
    • 2014
  • 본 연구는 부동산 분양 및 개발 사업의 성패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부동산 마케팅 전략의 영향요인을 구축하고, 유형별 만족도의 영향요인을 PLS 회귀분석을 통해 도출하고자 한다. 자료 구축은 부동산 분양 및 개발 사업을 전문으로 하는 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부동산 유형 분류는 사업적 분류방식에 의해 주거용(residential)과 비주거용(nonresidential)으로 구분한다. 분석결과 주거유형의 경우 브랜드 신뢰, 제휴 및 협력관계 강화, 교통환경, 분양 조건 완화, 사업설명회, 미분양 특전, 납부 조건 완화 요인이 중요하게 도출되었으며, 비주거유형의 경우 납부 조건 완화, 고객지향성, 생활환경, 제휴 및 협력관계 강화, 커뮤니케이션 요인이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도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