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ease of a Stable 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 by A23187 from the Rabbit Aortic Endothelium

토끼 대동맥 내피에서 A23187에 의하여 유리되는 혈관이완물질의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Chi-Dae (Department of Pharmacology,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Rhim, Byung-Yong (Department of Pharmacology,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Hong, Sung-Chul (College of Pharmac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Hong, Ki-Whan (Department of Pharmacology,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김치대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 임병용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 홍승철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
  • 홍기환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Published : 1991.12.30

Abstract

In the isolated rabbit mesenteric artery denuded of endothelium, we characterized the identity of the A23187-induced endothelium-dependent relaxing factor (EDRF) released from the endothelium of rabbit aorta, which is distinct from that of acetylcholine-induced relaxing factor. In the normal physiological salt solution (PSS), the dose-response curves to A23187 and acetylcholine were overlapped together. Their effects were also inhibited by methylene blue. Upon application of hypoxanthine and xanthine oxidase into the bath, the phenylephrine-induced precontraction was transiently increased followed by the sustained relaxation. During the burst of hypoxanthine-xanthine oxidase reaction, the $Ca^{++}$ ionophore, A23187 but not acetylcholine was able to cause an immediate relaxation. However, A23187-induced relaxation was not manifested when precontracted by 50 mM $K^+-PSS$. Nevertheless, in the presence of superoxide dismutase, A23187 could produce an immediate relaxation without accompanying the transient contraction as acetylcholine did during the hypoxanthine-xanthine oxidase reaction. On the other hand, acetylcholine-induced relaxation was more sensitively inhibited by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than A23187-induced relaxation. Endothelium-independent relaxation to sodium nitroprusside was not affected by PMA.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both A23187 and acetylcholine cause the methylene blue-inhibitable endothelium-dependent relaxation, and in addition, A23187 may release a stable EDRF which is resistant to superoxide anion and PMA.

내피세포가 제거된 토끼의 적출 장간막 동맥에서 토끼의 대동맥 내피세포로 부터 A23187과 acetylcholine은 NO와 유사한 혈관 이완성 물질 (EDRF)을 유리한다. 이에 첨가하여 A23187은 acetylcholine과는 달리 superoxide anion에 의하여 파괴되지 않는 EDRF도 유리시킴을 확인하고 이의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정상적인 생리영양액에서는 A23187과 acetylcholine의 용량-반응 곡선은 내피세포에 의존하지 않는 sodium nitroprusside의 곡선과 유사하였다. 이들은 methylene blue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Hypoxanthine (HX)과 xanthine oxidase (XO)를 bath내로 투여시 phenylephrine에 의한 수축이 일과성으로 증가한 후 지속적으로 이완되었다. HX-XO 반응중에는 A23187은 장간막 동맥을 즉각적으로 이완시켰으나 acetylcholine의 이완작용은 소실되었다. A23187에 의하여 야기되는 장간막동맥의 이완은 50 mM $K^+-PSS$로 수축을 야기시켰을 때에는 나타나지 아니하였다. Superoxide dismutase를 전처치하였을 때는 HX-XO 반응중에도 acetylcholine 뿐만아니라 A23187에 의한 장간막 동맥의 수축은 이완되었다. 한편, acetylcholine에 의하여 야기되는 장간막 동맥의 이완은 A23187에 의하여 야기되는 이완에 비하여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에 훨씬 더 민감하게 억제되었다. 내피세포의 기능과는 무관한 sodium nitroprusside에 의하여 야기되는 이완은 PMA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때, A23187과 acetylcholine은 methylene blue에 의하여 억제되는 내피세포 의존성 이완을 야기시키고, 첨가하여 A23187은 어떤 병적 환경 아래서는 superoxide anion과 PMA에 저항성을 지닌 혈관이완성 물질을 유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앞으로 A23187에 의하여 유리되는 혈관 이완성 물질이 superoxide anion에 의존하여 생성된 것인지에 대하여는 추후의 연구과제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