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s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6초

열차 하중 작용 시 블록식 보강토 옹벽으로 지지된 철도 노반의 거동 (Behavior Characteristics of Railway Roadbed Retained by Geosynthetic Reinforced Segmental Wall Under Train Load)

  • 이성혁;최찬용;이진욱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467-475
    • /
    • 2012
  • 지오그리드에 의해 부분 보강 및 전면 보강된 2가지 타입의 블록식 보강토 옹벽으로 지지된 철도노반의 열차하중 전달 메카니즘을 조사하기 위해 정 동적 열차하중 재하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노반은 높이 2.6m, 폭 5m, 뒷 길이 6m로 구축하였으며, 소정의 위치에 토압계, 변위계 및 변형율계를 설치하였다. 실험결과, 2가지 타입의 블록식 보강토 옹벽으로 지지된 철도노반에서의 벽체 변위 양상 및 보강 정도에 따른 연직 토압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동적 열차하중 재하시 벽체 상부에서 변형율이 감소하는 현상을 볼 수 있었으며, 열차하중 재하에 의한 잔류 변형율 및 변형율 증분은 현행 설계기준에 비해 매우 작은 값을 보이고 있었다.

평면변형압축시험을 이용한 보강토의 시간 의존적 변형 특성 연구 (Time-Dependent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Geosynthetic-Reinforced Soil Using Plane Strain Compression Tests)

  • 유충식;김선빈;이봉원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10호
    • /
    • pp.85-97
    • /
    • 2005
  • 보강토 구조물은 그동안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적용을 통해 기존의 옹벽구조물의 대체 공법으로서 그 적용성을 인정받고 있다. 최근 들어 교대 및 철도 시설 등에 적용됨에 따라 단기적인 안정성 이외에 장기적으로 지속하중 혹은 반복하중에 노출됨에 따른 장기거동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보강토체에 발생할 수 있는 장기변형 특성 고찰에 주안점을 두고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지오그리드와 화강풍화토로 형성된 보강토에 대한 지속하중 혹은 반복하중 등 다양한 하중이력에 대한 보강토 구조물의 장기 변형 특성 메카니즘을 평면변형압축(plane strain compression; PSC)시험을 통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보강토의 시간 의존적 압축변형은 보강토체에 작용하는 하중 특성뿐만 아니라 보강재의 역학적 특성에도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행하중을 작용함으로써 시간 의존적 잔류변형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뒷채움 지반에 비정착식 띠보강재를 설치한 역T형 옹벽의 현장 계측 (Field Measurements of Cantilever Wall with Unattached Strips in the Backfill)

  • 이종구;이만수;김명모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7-94
    • /
    • 2000
  • This paper concerns the distribution of earth pressures on a cantilever wall with unattached reinforcements in the backfill. This type of walls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reinforced earth walls in that unattached reinforcements are placed in the backfill of rigid retaining wall such as gravity wall and cantilever wall, instead of connecting reinforcements to the wall segments. Two large-scale prototype tests have been carried out with a 4m high cantilever wall; one with unreinforced backfill, the other with unattached strips in the backfill. The reinforcing effect of unattached strips are discussed based on the earth pressure distribution measured in two large-scale prototype tests. Also, the comparison between measured and predicted earth pressure on a wall with unattached strips are discussed herein to confirm the validity of analytical prediction.

  • PDF

축소모형실험에 의한 지속하중하에서의 보강토 옹벽의 거동특성 연구 (Behavior of Geosynthetic Reinforced Modular Block Walls under Sustained Loading using Reduced-Scale Model Test)

  • 유충식;김선빈;변요셉;김영훈;한대희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1-7
    • /
    • 2006
  • 보강토 옹벽이 콘크리트 옹벽에 비해 다양한 이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영구구조물로서 지속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대해 장기변형이 발생할 소지가 있다는 우려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축소모형실험을 실시하여 수집된 보강토 옹벽의 장기변형 메카니즘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실험결과 지속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있어 장기적으로 잔류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지속하중의 특성과 보강재 강성에 따라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기초지반의 강성이 보강토 옹벽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undation Stiffness on Behavior of Soil-reinforced Segmental Retaining Walls)

  • 유충식;김주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7-19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기초지반의 강성이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기초지반의 강성이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거동에 미치는 근본적인 메카니즘을 고찰하기 위해 보강토 옹벽에 대한 축소모형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축소모형실험 결과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모형실험에서 다룰 수 없었던 다양한 조건을 고려함과 아울러서 현장옹벽 응력수준의 거동을 고찰하기 위해 가상의 현장옹벽에 대해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매개변수 연구를 수행하였다. 모형실험 및 유한요소해석 결과에 의하면 기초지반의 강성이 감소할수록 벽체의 변위는 현저히 증가하며, 이러한 벽체변위 증가 현상은 보강토체 내부변형보다는 보강토체의 강체 거동으로 인해 야기되는 메카니즘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기초지반에 관련된 문제를 외적안정성의 개념에서 다루고 있는 현 설계기준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모형실험 및 유한요소해석 결과를 종합하여 실무적 측면에서의 중요성을 다각적으로 고찰하였다.

지하차도 시공에 따른 인접 교각구조물 영향 및 보강효과 분석 (Analysis on the Influence and Reinforcement Effect of Adjacent Pier Structures according to the Underpass Construction)

  • 이동혁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29-39
    • /
    • 2022
  • 도심지의 심각한 교통체증을 해결하기 위해 지하차도, 대심도 지하도로, 광역급행철도 등 대규모 지하공간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심지 지하차도로 건설로 인해 인접한 도시철도 A호선 교각기초 영향 최소화 및 안정성 확보를 위해 흙막이 가시설 보강, 기초 보강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근접도 평가와 함께 지하차도 굴착공사로 인한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해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고 수치해석 결과를 통해 보강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존 보강을 수행한 결과에 비해 겹침 CIP와 지반보강 그라우팅을 실시할 경우 흙막이 가시설 벽체 변위는 50% 이상 저감되었고 기초말뚝의 응력에서도 45% 이상 감소 효과가 있었다. 수치해석결과 분석을 토대로 근접시공 시 보강그라우팅, 가시설 벽체의 강성 증대 등을 통해 가시설 벽체의 변위 발생을 적극적으로 억제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속하중 및 반복하중 재하시 보강토 옹벽의 잔류변형 특성 (Time-dependent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Geosynthetic Reinforced Modular Block Walls under Sustained/cyclic Loading)

  • 유충식;김영훈;한대희;김선빈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5-21
    • /
    • 2007
  • 보강토 옹벽은 기존 콘크리트 옹벽에 비하여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지속하중 혹은 반복하중 등에 의한 잔류변형의 우려로 영구 구조물로서의 적극적인 적용에 장애가 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강토 구조물의 시간 의존적 잔류변형 메카니즘의 규명과 아울러 잔류변형을 예측하고 제어하는 기술이 확보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보강토 옹벽에 발생할 수 있는 장기변형 특성 고찰에 주안점을 두고 지오그리드와 표준사로 뒤채움된 모형 보강토 옹벽에 대한 지속하중 혹은 반복하중 등 다양한 하중이력에 대한 보강토 구조물의 장기변형 특성 메카니즘을 축소모형실험을 통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보강토 옹벽의 시간의존적 변형은 작용하는 하중특성 뿐만 아니라 뒤채움흙 및 보강재의 역학적 특성에도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행하중을 작용함으로써 시간 의존적 잔류변형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파괴면을 고려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거동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ehavior of Block-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Considering Failure Surface)

  • 윤원섭;박준규;채영수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3-2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최근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와 시공법에 대한 국산화에 대한 요구로 전면벽체나 토목섬유 등을 대체할 수 있는 공법에 대한 개발 수요가 많아짐에 따라 경제적이고, 안정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개발을 실시하고, 새롭게 고안된 블록식 보강토 옹벽에 대해 수치해석을 실시하여 거동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제안된 보강토 옹벽은 첫째, 블록에 전단키를 두어 벽체를 일체화 하였으며, 둘째, 이론적인 파괴면에 보강재를 집중적으로 시공하여 전단 파괴면을 보강함으로써 옹벽의 안정성을 만족시키는 공법이다. 블록식 옹벽의 거동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해석에서 보강재의 사용 요소는 cable 요소와 strip 요소에 대해 수치해석을 실시하였으며, 보강재 길이, 간격, 블록의 일체화의 조건을 변화하여 해석하였다. 이러한 조건으로 해석한 결과 파괴면만 보강하는 경우보다 전면 벽체 블록과 체결을 위해 긴 보강재를 설치하는 경우가 보강효과를 증가시키고, 변위를 많이 구속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전면 벽체와 체결과 함께 일체화를 고려하기 위해 전단키를 설치하는 경우가 벽체를 개별요소로 해석한 경우보다 변위 구속효과가 있었다. 또한, 긴 보강재를 1간격과 2간격으로 시공한 경우의 발생 변형량은 AASHTO의 시공중 허용 발생변형량에 비해 작게 발생되어 본 연구에서 제안한 공법은 구조물의 중요도에 따라 보강재의 간격을 달리하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안정한 공법으로 판단된다.

연약지반에서 보강옹벽의 안정성을 위한 적정 치환영역의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Investigating Appropriate Replacement Area for the Stability of Reinforced Retaining Walls on Soft Ground)

  • 송용선;이병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6호
    • /
    • pp.113-120
    • /
    • 2007
  • 연약지반에 시공되는 보강토옹벽과 개비온옹벽에 대해서 옹벽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적정 치환영역을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검토하였다. 해석은 연약토층의 압밀단계를 포함하여 시공순서를 모사하는 단계별 해석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적정 치환영역의 제안을 위한 첫 단계로 치환깊이를 변화시킨 경우들에 대해서 시공단계에 따른 벽체 및 주변 지반의 거동을 조사하는 일련의 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들 해석결과를 문헌연구를 통하여 설정한 옹벽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벽체변위, 지반의 침하량 및 전단변형율 등의 한계값과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검토한 지반조건에서 벽체의 높이가 변하는 경우에 대한 적정 치환영역을 벽체의 높이에 대한 치환깊이의 비로 나타내는 시공표준도를 제안하였다

유한요소해석에 의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지진시 응답특성 (Seismic Response of Soil-Reinforced Segmental Retaining Walls by Finite Element Analysis)

  • 유충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15-25
    • /
    • 2001
  • 본 고에서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지진시 거동에 관한 유한요소해석 결과를 다루었다. 보강토 옹벽의 지진시 변위거동을 검토한 결과 벽체저부를 지점으로 하는 캔틸레버형태의 변위 거동을 보였으며 따라서 옹벽 상단부에서의 보강재 인장력 증가가 현저하게 나타나 벽체전반에 걸친 분포양상은 균등한 경향을 보였다. 한편, 지진하중으로 인한 증분유발인장력에 관하여 검토한 결과 기존의 보강토 옹벽 내진설계기준과 비교하여 정성.정량적인 측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였으며 내진설계기준이 전반적으로 과소평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서, 내진설계측면에서 변위억제 방안에 관한 매개변수 연구결과 임의 조건에 있어서 최대의 보강효과를 나타내는 보강재 임계 강성과 포설길이가 존재하며 최적의 보강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고에서는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실무 적용관점에서의 주안점을 언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