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ular workers

검색결과 444건 처리시간 0.022초

정규직 및 비정규직 근로 형태가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o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 손신영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46-355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employment status upo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Methods: The data of the study were from the 11th Korean Labor Panel Data, obtained by using a face to face interview method. These data were analyzed by ANOVA,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o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non-regular workers was lower than that of the regular workers.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all subjects were economic status, age, gender, education, marital status, drinking, employment status, and egular work tim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workers were age, economic status, gender, and education.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non-regular workers were age, economic status, marital status, gender, education, and regular work time.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an association betwee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employment status.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may be affected by instability of temporary employment. The additional research to clarify the role of employment instability is recommended. Research on social policy to resolve health inequalities is recommended.

융복합 시대 비정규직 여성과 실업부조 도입의 필요성 (Non-regular Female Workers toward Convergence Era: Description and Unemployment Assistance)

  • 유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33-45
    • /
    • 2015
  • 우리나라 여성들의 노동시장 참여는 계속 증가해 왔지만, 이 증가를 이끈 주된 고용 형태는 정규직이 아니라 비정규직이었다. 남성 배우자의 임금이 불안정해지거나 혹은 일자리를 잃게 되면 특히 저학력 저소득층의 40대 이상 여성들은 가족의 생계를 전담하거나 보조하기 위해 노동시장으로 나오지만, 우리 사회는 이들을 노동시장의 가장 하위 집단으로 취급하면서 비정규직으로 채용하는 것을 당연시한다. 여성 비정규직 속에는 20대 아르바이트생, 고학력 전문직 계약직 여성들, 학습지 교사와 같은 특수고용형태 노동자, 고령의 저학력 판매 서비스직 여성들도 포함되어 있다. 이런 배경에서 본 논문은 우리나라 비정규직 여성 중 가장 취약 집단이자 대표 집단은 누구인지 규명하는 데 일차 목적이 있으며, 아울러 그들을 위한 소득보장 제도로는 무엇이 합당할지 검토하는데 이차 목적이 있다. 문헌분석과 통계수치 분석을 연구방법으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성 비정규직의 중에서, 40대 이상, 저학력, 저소득이면서, 남성배우자가 부재하거나 남성 소득에만 의지할 수 없는, 판매직 서비스직 단순노무직 여성들일수록 상대적으로 더욱 비정규직으로 취업한다는 결과를 제시한다. 따라서 그들을 위한 소득보장 제도는 정규직 위주, 남성 위주의 고용보험 제도의 개선보다는 실업부조의 도입이 더 현실적이고 시급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The Effect of Heterogeneous Wage Contracts on Macroeconomic Volatility in a Financially Fragile Economy

  • Kim, Jongheuk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21권2호
    • /
    • pp.167-197
    • /
    • 2017
  • I build a small open economy (SOE) 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 (DSGE) model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heterogeneous wage contract between regular and temporary workers on a macroeconomic volatility in a financially fragile economy. The imperfect financial market condition is captured by a quadratic financial adjustment cost for borrowing foreign assets, and the labor market friction is captured by a Nash bargaining process which is only available to the regular workers when they negotiate their wages with the firms while the temporary workers are given their wage which simply equals the marginal cost. As a result of impulse responsesto a domestic productivity shock, the higher elasticity of substitution between two types of workers and the lower weight on the regular workers in the firm's production process induce the higher volatilities in most variables. This is reasoned that the higher substitutability creates more volatile wage determination process while the lower share of the regular workers weakens their Nash bargaining power in the contract process.

코로나-19가 임금근로자의 노동조건에 미친 영향 - 고용형태별 차이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COVID-19 on the Working Conditions of Wage Workers - Focusing on Differences by Employment Types -)

  • 이용관
    • 노동경제논집
    • /
    • 제44권2호
    • /
    • pp.71-90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가 임금근로자의 노동시간과 임금에 미친 영향을 고용형태별로 비교분석하였다. 경제활동인구조사-근로형태별 부가조사(2017~2020)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코로나-19로 인해 비정규직은 정규직보다 노동시간이 더 감소해 임금소득 창출 기회가 축소됐다. 같은 기간 정규직과 비정규직 신규인력 간 노동시간과 임금 격차는 커졌는데, 이는 단시간·단기간 고용된 인력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초기수준을 기반으로 노동조건이 변화하므로 이러한 결과는 신규 및 고용안정성이 낮은 인력의 노동조건 개선 노력이 노동시장 불평등 해소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1인가구의 고용형태 및 연령별 혼자 식사(혼밥)관련 식행동 비교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 of Eating Alone in Single Households by Status of Workers and Age)

  • 조필규;오유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08-421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compared the dietary behaviors of single-person households when eating alone according to the employment pattern and age. Methods: A total of 566 people aged 20~59 years old were collected from the status of workers and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employment pattern (regular, non-regular workers and business owner). The subjects were collected by purposive quota sampling on a Gallup panel from June to November in 2017. The dietary behavior and perception of eating alone of the subjects were surveyed via online an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Results: The frequency of eating alon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egular group than the non-regular group and business group (p<0.01). The place of eating alon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egular and non-regular group in the convenience store, and business group in the office (p<0.001). Ramen, the menu when eating alon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n-regular group than the other groups (p<0.01). The preference for eating alone was lower in the older age group (p<0.05). The young aged group (aged 20~30) ate more fast food and felt more convenience than the older aged group aged 40~50 years (p<0.05). Conclusions: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a non-regular job have poorer dietary behavior in eating alone than those who had regular employment. In a situation of an increasing number of non-regular workers aged in their 20s and 30s, there is a high likelihood of social problems, such as health and poverty.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a healthy food selection environment to improve the dietary life of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non-regular jobs for the diverse types of single-person households.

취업형태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Persistence of Employment Types)

  • 류기철
    • 노동경제논집
    • /
    • 제24권1호
    • /
    • pp.207-230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취업형태를 정규직 임금근로, 비정규직 임금근로 및 자영업의 세 유형으로 구분하여 한국노동패널 자료에 포함된 남자근로자들의 전직에 따른 취업형태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또한 경쟁적 위험도 모형을 추정함으로써 이들의 재취업시의 취업형태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을 행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퇴직한 일자리애서의 취업형태가 새 일자리에서의 취업형태를 결정하는 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또한 직장이동이 반복되는 경우 그 영향력이 점차로 약화되기는 하나 직전 직장 이전에 취업했던 일자리에서의 취업형태도 새 직장에서의 취업형태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전 직장에서 비정규직으로 근무하다 실직한 근로자는 전직 이전의 직장에서 정규직으로 취업했던 근로자에 비해 정규직에 재취업할 가능성은 크게 낮은 반면 또다시 비정규직에 재취업할 가능성온 크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찬가지로 퇴직한 직장에서의 취업 형태가 자영직이었던 근로자는 전직 이전의 직장에서 정규직으로 취업했던 근로자에 비해 정규직에 재취업할 가농성은 크게 낮은 반면, 또다시 자영직에 재취업할 가능성은 크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남자근로자의 경우 비정규직 또는 자영직 일자리가 막다른 일자리로서의 성격을 가진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고 하더라도 일단 비정규직 또는 자영직에 취업한 근로자가 전직을 통해 정규직 일자리로 옮겨가기가 쉽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이와 함께 실업률이 높아질수록 정규직과 자영직에의 취업 가능성은 낮아지나 비정규직에의 취업 가능성은 오히려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노동시장에서의 수급조건이 근로자에게 불리할수록 노동시장의 비정규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고용형태별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 : 고용형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Employment Type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Types)

  • 김찬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206-216
    • /
    • 2007
  •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비정규직 문제에 주목하여 고용형태별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정규직 185명과 비정규직 148명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 직무자체에 대한 만족에서만 비정규직이 정규직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조직몰입 수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또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간의 관계에 대한 고용형태의 조절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추가분석을 통하여 직무만족 하위변수 중 정규직은 직무자체에 대한 만족이, 비정규직은 직무자체, 승진, 상사에 대한 만족이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해당 요인들의 지속적인 강화 등 고용형태별 전략적 시사점을 탐색하였고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고용형태에 따른 IT 종사자의 건강습관과 직무스트레스 (Health Habits and Job Stress among IT Workers According to Employment Type)

  • 정혜선;장원기;최은희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71-379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health habits such as smoking, drinking, and exercise on job stress among IT workers. Method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otal of 300 people (30 persons per business place) at 10 IT work sites performing computer and information system tasks, and 275 data points were analyzed. The survey items were general characteristic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employment type, physical burden, amount of drinking, smoking, exercise, and job stres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on-regular workers showed higher smoking, exercise, and job stress than did regular workers by employment type, but exercise was not significant. Regular workers had a higher rate of drinking than non-regular workers.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alcohol drinking were gender and age, and factors affecting smoking were gender and employment type. Third,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were annual income, long working hours, physical burden, and employment type.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mployment patterns in smoking, drinking, and job stress manage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eply analyze what affects the health behaviors and job stress of IT workers and explore ways to mitigate them.

병원 아웃소싱 직원과 정규직원의 조직문화 인식이 직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 Culture between Outsourcing Workers and Regular Workers)

  • 장효강;류황건;배성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79-288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의 정규직원과 아웃소싱 직원간의 일반적 특성을 이해하고, 아웃소싱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차이를 분석하며, 근무환경, 가치관, 조직문화요인 등의 요소들을 비교분석하고, 이러한 요인들을 최적화하여 직무만족과 직무몰입, 이직의도에 각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정규직원들이 직업에 대한 자부심,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인정수준, 상사에 대한 업무지시 방식에 대한 만족도, 하루업무량에 대한 만족도 등에 대한 내용들에 있어서 아웃소싱 직원에 비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문화 요인으로, 정규 직원에게서는 이념수행과 가치관이, 아웃소싱 직원에게서는 가치관과 이념인식, 교육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아웃소싱 직원들의 긍정적인 가치관 확립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직원 채용시 긍정적 가치관을 소유하고 있는 직원을 선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제조업 근로자의 화학물질 인식도 비교 (Comparison of Recognition of Chemical Substances of Cosmetics Manufacturing Workers)

  • 이상민;박근섭;어원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7-27
    • /
    • 2020
  •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employment(regular and non-regular group) and departments classification (administration, product and research group) and the levels of recognition of chemical substances, a total of 117 workers in cosmetics workplaces. Mainly, regular group and research group showed higher recognition of chemical substances (PPE, ventilation, chemical management, hazards in handling chemicals, skin contact) than non-regular group and administration, product group, but In some cases, production and administrative groups were high. Descriptive statistics(SAS ver9.2)was performed. the results of recognition of chemical substances were analyze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by t-test, and anova, (P=0.05). These results cosmetics manufacturing workplaces have normal level of the perception of chemical substances. In most of the employment types, the regular workers showed high recognition, and the working departments showed high recognition in the research and production groups. Therefore, OEM and ODM cosmetics manufacturers regularly identify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workplaces and workers, and suggest the development of experience and practiced education programs and risk assessment tools that can raise worker awar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