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sistence of Employment Types

취업형태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01.01.05
  • Accepted : 2001.02.22
  • Published : 2001.03.31

Abstract

This paper uses the Korean Labor Panel data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employment types of male workers following their job changes with the classification of workers into three categories: regular wage workers, non-regular wage workers, and self-employed workers. It also estimates a competing-risks hazard model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types of work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type of employment of a worker at an immediate previous job has a critical importance in determining his employment type at a new job and that the types of employment at jobs other than the immediate previous job also play some role in determining the type of employment at a new job, although their impact declines as the number of intervening jobs increases. A job loser, who worked as a non-regular worker at his immediate previous job, for example, is considerably less likely to find a regular job, but more likely to get reemployed at another non-regular job than one who worked as a regular worker at his immediate previous job. Similarly, a worker who quit self-employment is much less likely to find a regular job but more likely to restart his own business than one who worked as a regular worker at his immediate previous job.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ot easy at all for a worker who worked as either a non-regular worker or self-employed worker to become a regular worker, although it might be premature to assert that non-regular jobs or self-employed jobs are dead-end jobs. Another interesting finding of this analysis is that a high unemployment rate lowers a probability of reemployment at either regular jobs or self-employed jobs, but raises a non-regular job reemployment probability, which strongly implies that as labor market conditions become adverse to workers the proportion of non-regular employment can rise rapidly.

본 논문에서는 취업형태를 정규직 임금근로, 비정규직 임금근로 및 자영업의 세 유형으로 구분하여 한국노동패널 자료에 포함된 남자근로자들의 전직에 따른 취업형태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또한 경쟁적 위험도 모형을 추정함으로써 이들의 재취업시의 취업형태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을 행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퇴직한 일자리애서의 취업형태가 새 일자리에서의 취업형태를 결정하는 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또한 직장이동이 반복되는 경우 그 영향력이 점차로 약화되기는 하나 직전 직장 이전에 취업했던 일자리에서의 취업형태도 새 직장에서의 취업형태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전 직장에서 비정규직으로 근무하다 실직한 근로자는 전직 이전의 직장에서 정규직으로 취업했던 근로자에 비해 정규직에 재취업할 가능성은 크게 낮은 반면 또다시 비정규직에 재취업할 가능성온 크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찬가지로 퇴직한 직장에서의 취업 형태가 자영직이었던 근로자는 전직 이전의 직장에서 정규직으로 취업했던 근로자에 비해 정규직에 재취업할 가농성은 크게 낮은 반면, 또다시 자영직에 재취업할 가능성은 크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남자근로자의 경우 비정규직 또는 자영직 일자리가 막다른 일자리로서의 성격을 가진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고 하더라도 일단 비정규직 또는 자영직에 취업한 근로자가 전직을 통해 정규직 일자리로 옮겨가기가 쉽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이와 함께 실업률이 높아질수록 정규직과 자영직에의 취업 가능성은 낮아지나 비정규직에의 취업 가능성은 오히려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노동시장에서의 수급조건이 근로자에게 불리할수록 노동시장의 비정규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