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ret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6초

고객의 자기조절성향이 서비스 실패에 따른 부정적 감정과 고객반응에 미치는 영향 - 귀인과정에 따른 조정적 역할을 중심으로 - (Self-Regulatory Mode Effects on Emotion and Customer's Response in Failed Services - Focusing on the moderate effect of attribution processing -)

  • 성형석;한상린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2권2호
    • /
    • pp.83-110
    • /
    • 2010
  • 기업의 서비스 실패로 인해 부정적 경험을 겪은 고객은 무의식적으로 그 원인의 추론을 통해 실망이나 후회의 부정적 감정을 얻게 되는데 이때 고객의 자기조절성향에 따른 감정의 발생은 각기 달리 나타나며, 이때 형성된 부정적 감정들은 서로 다른 고객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부정적 반응은 기업의 이미지 및 브랜드 가치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기업 매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서비스 회복 노력에 따른 추가적 비용도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는 서비스 영역에서 서비스 실패에 따른 고객의 부정적 감정의 선행요인 및 그 결과변수인 고객반응에 초점을 두고 있다. 즉 서비스 실패 시 자기조절성향(평가지향성과 목표지향성)이 부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과 이때 귀인과정(내적귀인 vs 외적귀인)에 따른 고객의 부정적 감정(후회감과 실망감)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부정적 감정들이 체념과 구전활동이라고 하는 고객 행동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기조절성향에 따른 후회감의 차이는 목표 지향적 성향이 강한 고객보다는 평가지향적 성향이 강한 고객일수록 후회감이 더 크고 반대로 목표지향적 성향이 강한 고객은 실망감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의 부정적 감정들은 귀인과정의 조절적 역할(내적귀인-후회감, 외적귀인-실망감)에 따라 서로 다른 감정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후회감과 실망감은 소비자의 서비스 실패 후 행동반응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본인의 의사결정에 따른 선택에 대해 후회감을 느낀 고객은 체념적 반응이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에 실망감을 느낀 고객은 서비스 제공자나 제3자에 대한 구전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소비자의 자원고갈이 제품구색간 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Resource Depletion on Deciding on Product Assortments Size)

  • 조연진;박청규;임현우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3호
    • /
    • pp.85-91
    • /
    • 2016
  • Purpose - Prior research has suggested that consumers typically prefer to have a larger number of options. However, preference of assortment size may depend on how depleted resources in consumers' mind are. Reduced capacity for self-regulation by resource depletion makes people rely on more intuitive and less effortful decision processing. When they are mentally depleted, people are likely to focus on the choice difficulty from large assortment, which leads to preference for the small assortment when they make a decision. It could be an important question potentially how being in a depleted mode through effortful self-regulation will influence on the evaluation of assortment size. To answer this questioner, we hypothesized that being engaged in self-regulation, as compared with not being engaged in self-regulation, will influence on the evaluation of product assortment size such as attractiveness, difficulty of choice, and anticipated regre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this study, we first manipulated self-regulatory resource availability using a self-regulation task (i.e., instructing participants to solve Sudoku puzzle vs. to solve diagram cube by filling any diagrams that they prefer into cube instead of number) and asked to indicate the difficulty of the tasks available to them ("How much difficulty did you feel when you complete the task?") Next, participants were asked to imagine that they were planning to buy a laptop at one of the two stores (small assortment: 6 options vs. large assortment: 30 options), both offering good quality of products. After reading the product descriptions,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consider all the information and choose a store that they would like to shop. Finally we measured the choice difficulty, evaluation of product assortments, and anticipated regret on a 7-point scale. We conducted two-way ANOVA in testing the main hypothesis that depleted consumers will show poorer subsequent self-control than non-depleted consumers when they make a decision in large assortment. Results - Compared with non-depleted participants, depleted participants showed the bigger difference from the degree of choice difficulty and product attractiveness between large and small assortments, but the result revealed only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resource depletion and assortment size on choice difficulty. Also depleted participants showed the smaller difference from the degree of anticipated regret between large and small assortments than non-depleted participants. Conclusion - Depleted individuals by a prior task are relatively effortless and intuitive form of choosing products so that they try to avoid making effortful trade-offs among choice difficulty such as large assortment, compare with non-depleted individuals. However, for anticipated regret, non-depleted individuals in small assortment anticipate more regret by excluding or at least restricting the possibility of buying attractive items or another kind of potential items than depleted individuals, regardless less choice difficulty in small option. To sum up,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individuals are influenced by self-regulatory resources and their self-regulatory conditions contribute to the overall positive or negative impact of product assortment on choice.

Optimal Convergence Rate of Empirical Bayes Tests for Uniform Distributions

  • Liang, Ta-Chen
    •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 /
    • 제31권1호
    • /
    • pp.33-43
    • /
    • 2002
  • The empirical Bayes linear loss two-action problem is studied. An empirical Bayes test $\delta$$_{n}$ $^{*}$ is proposed. It is shown that $\delta$$_{n}$ $^{*}$ is asymptotically optimal in the sense that its regret converges to zero at a rate $n^{-1}$ over a class of priors and the rate $n^{-1}$ is the optimal rate of convergence of empirical Bayes tests.sts.

전환장벽의 귀인이 부정적 감정과 불평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ttributions to Switching Barrier on Negative Emotions and Complain Behaviors)

  • 정윤희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2호
    • /
    • pp.223-237
    • /
    • 2017
  • 전환장벽은 고객의 이탈을 막는다는 점에서 주로 긍정적인 측면이 강조되었으나, 최근에는 기업이 설정한 전환장벽이 장기적으로 해로울 수 있음이 논의되기 시작하였다(Jones et al. 2000; 정윤희, 2012). 전환장벽의 부정적 영향에 관한 기존연구에서는 전환장벽이 소비자의 전환의 자유를 방해한다는 점에서 부정적 심리반응을 이끌 수 있음은 보여주었으나, 당장 기업에 줄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환장벽으로 인해 전환을 못하는 상황에 서비스 실패상황에 관한 연구를 적용하여 소비자들의 전환장벽에 대한 부정적 감정과 불평행동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전환을 어렵게 하는 전환장벽의 귀인(내적 혹은 외적)에 따라 후회와 원망을 경험하게 되고 이는 수용, 불평행동, 부정적 구전으로 이어질 것으로 가정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가설 검증한 결과, 내적귀인은 후회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외적귀인은 원망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후회는 수용과 불평행동에 영향을 주고, 원망은 불평행동과 부정적 구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환장벽이 고객들의 부정적 감정과 불평행동을 이끌어 기업에 즉각적 피해를 줄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기존연구를 확장하고 있으며, 전환장벽에 대한 신중한 실무적 활용을 시사한다.

  • PDF

소비자 실패 상황에서 후회의 효과: 자기자비의 조절 효과 (Effects of Regret in Consumer Failure Situation: Moderation of Self-Compassion)

  • 이성수;우석봉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119-126
    • /
    • 2019
  • 본 연구는 현상유지 또는 현상변화의 상황에서 실패를 경험할 때, 소비자들의 후회 경험에 따라 향후의 선택유지의도 또는 선택변경의도는 어떻게 달라질 것인지, 또한 자기자비라는 개인차 변인이 이러한 관계에서 어떻게 조절적 역할을 할 것인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나리오를 이용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첫째 연구 결과로서 후회는 선택결과의 불만족 경험과 행동의도 사이에서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둘째, 선행연구들처럼 본 연구도 일반적으로 현상유지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그 효과는 자기자비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자기자비가 높은 사람들은 현상유지 상황이든 현상변화 상황이든 후회와 향후 행동의도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반면, 자기자비가 낮은 사람들은 그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들은 전형적으로 현상유지효과를 보이고 있다.

한국의 교육광풍: 과연 한, 후회, 학습효과의 산물인가? (Koreans' Education Panic: A product of han, regret, or learning effect?)

  • 허태균;남궁재은;張薇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_spc
    • /
    • pp.47-62
    • /
    • 2008
  • 현재 한국의 지나친 교육열을 반영하는 비정상적인 교육현상에 대한 피상적이고 거시적인 설명만이 존재하고, 반면에 자녀교육을 결정하는 학부모 개개인의 심리적 기제에 대한 규명이 미흡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널리 상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실제로 과학적인 방법으로 검증되지 않은 '부모 자신의 교육에 대한 한, 후회, 학습효과'와 같은 심리적 기제가 부모의 자녀교육양식과 자녀의 학습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초중고 548명의 학생과 그 부모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학습효과는 애정적 /자율적 양육태도와 합리적인 자녀교육의지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대로 한과 후회는 거부적 /통제적 양육태도와 맹목적인 자녀교육의지와 관련되어 있었고 학업스트레스를 높이고 효능감을 낮추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국사회의 비정상적인 교육열이 단순히 교육열이 높고 낮음의 양적인 문제가 아닌, 그 심리적 근원에 따른 질적인 문제라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 PDF

온라인 거래 환경에서의 상품 만족에 관한 이해 (Understanding Product Satisfaction in the Context of Online Trading)

  • 조현;박상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436-442
    • /
    • 2013
  • 최근 온라인 구매 환경이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가운데 지속적인 성공을 위해서는 구매자들의 만족에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거래 환경 사용자들의 만족을 설명하고,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성공요인을 검증한다. 기술수용모형에 근거하여 기초적인 변수들을 선별하고, 구매자의 성향을 대표할 수 있는 변수들을 선택하였다. 연구 변수로 상품 만족,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후회, 효용 극대 성향을 도입하였다. 온라인 구매 정보기술을 사용해 본 150명의 데이터가 PLS 연구 모형에 의해 검증되었다. 연구 결과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후회는 상품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효용 극대 성향 역시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후회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쳤다.

A class of accelerated sequential procedures with applications to estimation problems for some distributions useful in reliability theory

  • Joshi, Neeraj;Bapat, Sudeep R.;Shukla, Ashish Kumar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8권5호
    • /
    • pp.563-582
    • /
    • 2021
  • This paper deals with developing a general class of accelerated sequential procedures and obtaining the associated second-order approximations for the expected sample size and 'regret' (difference between the risks of the proposed accelerated sequential procedure and the optimum fixed sample size procedure) function. We establish that the estimation problems based on various lifetime distributions can be tackled with the help of the proposed class of accelerated sequential procedures. Extensive simulation analysis is presented in support of the accuracy of our proposed methodology using the Pareto distribution and a real data set on carbon fibers is also analyzed to demonstrate the practical utility. We also provide the brief details of some other inferential problems which can be seen as the applications of the proposed class of accelerated sequential procedures.

지역간 수단선택에 있어서 확률적 후회 최소화 모형의 적용 연구 (Application of Random Regret Minimization Model in the Context of Intercity Travel Mode Choice)

  • 진우정;이장호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87-96
    • /
    • 2016
  • 통행자 수단선택 연구에는 확률 효용 최대화 원칙(RUM)에 입각한 다항로짓모형이 주로 사용되어졌다. 그러나 최근 들어 RUM 원칙을 대신할 대안적 방법론의 제시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대안적 방법의 하나로 제시된 것이 확률적 후회 이론모형(RRM)이다. 본 연구는 지역간 통행자의 수단선택 행태를 모사함에 있어 RRM 모형을 적용하고, RUM 원칙을 적용한 다항로짓모형의 구축결과와 비교를 통하여 RRM 모형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RUM 모형과 RRM 모형 모두 모수 추정결과는 직관과 부합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모형의 자료 적합도는 RUM 모형보다 RRM 모형이 조금 더 높게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자료적합성 측면에서 RRM 모형이 RUM 모형보다 낫다고 판단할 수 있으나, 아직 일부 사례에만 검토되어졌기 때문에 추후 경로선택, 화물 운송수단 선택 등 더 많은 통행자의 선택상황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하겠다.